삼성 기획서의 비밀 - 초일류 기획자 만들기 프로젝트
노동형 지음 / 청년정신 / 2011년 2월
평점 :
품절


기술직이나 특수직이 아니라면 누구나 처음 직장생활을 할 때 맡게 되는 기본적인 업무가 문서 작성 업무일 것이다. 만약 자신이 기획이나 홍보, 광고 관련 업무를 한다면 이는 핵심 업무라고도 할 수 있다.
직장에서 기획서, 보고서 등 다양한 문서 작업은 매일 이루어지는 업무 중에 하나다. 새내기 직장인은 당연하겠지만, 어느 정도 익숙해진 2~3년차 평사원과 대리급 사원들도 기획에 대한 두려움을 조금씩은 가지고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이런 노하우는 오랜 기간의 경력으로만 쌓을 수 있는 것일까? 물론 모든 일에 익숙해지고 능숙해지려면 시간이 걸리겠지만, 체계적으로 잘 정리된 노하우가 있다면 적은 시간의 투자로 좀 더 빠르게 익힐 수도 있다.   

 

저자는 10년 동안 삼성전자 마케팅 팀에서 근무하며 익혔던 실무 기획 경험과 다수의 기업에서 기획과 기획서 작성 강의를 해오면서 익힌 교육론을 바탕으로 이 책을 집필했다. 따라서 이 책에는 문서 작성 및 기획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고 자신감을 심어줄 수 있는 실용적인 노하우가 가득 담겨져 있다.  

이 책이 다른 기획서 작성 노하우를 담은 책들과 구별되는 점은 실제 대기업에서 활용하고 있는 다양한 문서작성 및 기획 노하우를 담았다는 것과 더불어 가상의 신입사원 김성실이라는 인물을 등장시켜서 스토리텔링 형식으로 진행된다는 점이다.
대기업 총괄기획팀에 배치된 신입사원 김성실 사원은 회사생활의 멘토와 같은 나명철 대리로부터 핵심적인 다양한 노하우를 전수받고 함께 실전 프로젝트의 일원이 되어 실무경험을 쌓게 된다. 이를 통해서 문서작성의 기술과 기획안 분석방법, 정보수집과 커뮤니케이션에서부터 기획서 프레젠테이션 작성, 차별화된 기획서 만들기, 기획서 요약법, 초일류 기획자를 위한 노하우 등에 이르기까지 22가지의 주제를 바탕으로 세부적인 노하우를 배우게 된다.
이 책에는 김성실 사원이 실무 프로젝트를 통해서 진행하게 되는 단계별 업무 과정 및 작성하게 되는 각종 문서들이 사례와 예시를 통해서 독자들에게 디테일하게 공유되어 있다. 또한 단순히 문서작성에만 초점을 맞춘 것이 아닌 프로젝트 예시를 통해서 기획 시작에서부터 마무리 단계까지 해당 노하우가 체계적으로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는 점이 돋보이고, 기획 실무에 도움이 되는 교양서도 추천한 점이 인상적이다.
이 책은 독자가 가상의 인물을 통해서 진행되는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지루함 없이 자연스럽게 노하우를 배울 수 있도록 구성되었고, 하루에 한 시간, 22시간의 투자로 아마추어에서 프로로, 초보 기획자에서 초일류 기획자로 변화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 책을 처음 펼쳤을 때 다양한 예제 표와 샘플문서, 수많은 텍스트로 구성된 두툼한 사이즈에 교과서와 같은 느낌을 받아서 살짝 걱정이 들기도 했다. 하지만 처음 느낌과는 다르게 지루할 수 있는 기획에 대한 설명을 스토리텔링으로 구성하여 ‘스마트폰 런칭 프로젝트’라는 사례를 따라가며 단계별로 구성되어서 생각보다 쉽게 익힐 수 있었다. 또한 실제 친근한 선배가 설명해주듯이 중요한 노하우와 유익한 팁들을 사이사이에 공유해주었기에 기대이상의 만족감을 얻을 수 있었다. 우리나라의 대표 대기업인 삼성의 실무기획 과정을 실전과 같이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구성하여 지루하지 않게 풀어나가는 점이 이 책의 최고의 매력이자 강점이 아닐까 싶다.
자신이 실무에서 기획서와 다양한 문서작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거나 기획진행을 위한 세부적인 노하우가 필요한 사람, 마케팅 역량을 키우고 싶은 개인사업자라면 이 책을 추천해주고 싶다. 또한 취업준비생과 신입사원에게는 상사가 만족하는 기획서 작성의 최강 지침서로써 가치가 있는 만큼 이 책을 통해서 체계적으로 학습해보기를 추천한다. 많은 기업들의 표준이 되는 대기업의 문서 작성 표준을 익히고 실제 프로젝트 진행과정도 간접경험해볼 수 있기에 적은 시간의 투자로 많은 것들을 얻어갈 수 있을 것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종이달 2022-07-06 08: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