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조 사람혁명 - 상대를 내 사람으로 만드는 힘
신동준 지음 / 한국경제신문 / 2011년 11월
평점 :
품절


보통 삼국지에서 선인을 대표하는 것은 유비, 악인을 대표하는 것은 조조로 생각하곤 한다. 하지만, 결국 승자는 유비가 아니라 조조였다. 과연 그가 유비보다 무엇이 뛰어났기에 어떤 능력을 가졌기에 마지막의 승자가 되었을까? 유비와 조조의 결정적 차이는 사람혁명이라고 불릴 수 있는 인재등용의 차이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유비 쪽에도 뛰어난 인재들은 있었지만, 조조와는 비교가 되지 않았다. 유비 쪽의 최고의 지략가인 제갈량조차도 인재등용에 있어서 너무나 신중했기에 오히려 인재활용에 있어서 성공적이지 못했다. 반면 조조 역시 인재등용에 있어서는 철저하면서도 고집스러웠지만, 그만의 차별화된 인재관이 있었다. 조조는 철저하게 능력 위주로 인재를 등용했고 그들의 마음까지 얻어냈다. 그는 힘들게 모은 인재들을 참수할 수 없었기에 적과 내통한 명단조차도 과감히 불태운 인물이었다.

 

 

조조의 휘하에는 힘 좋고 용맹한 장군들도 많았고, 똑똑한 지략가도 많았으며, 언변과 글 솜씨가 뛰어난 문사도 많았다. 실로 다양한 분야의 인재들이 조조를 뒷받침하고 있었다. 그는 전통과 신분 위주로 인재를 선발하던 시대적 관행과 가치에 얽매이지 않고 신분과 형식을 따지지 않고 실력 위주로 과감하게 인재를 발탁했다. 전쟁 중에 적장인 서황을 스카웃한 일, 마지막까지 관우의 가치를 아쉬워했던 점 등 자신이 원하는 인재라면 적도 스카웃하려고 노력했다. 또한 자신이 등용한 인재를 적재적소에 배치하여 신뢰로써 그들을 믿고 지원했다.
이 책에는 이러한 조조의 용인술을 바탕으로 사람혁명이라고 불릴 수 있는 인재발탁과 인재에 대한 가치관, 리더십이 담겨있다. 더욱이 단순히 특징을 정리한 것만이 아닌 삼국지에 등장하는 사건과 상황을 바탕으로 이야기와 함께 전개되기 때문에 좀 더 쉽게 이해하며 흥미롭게 접할 수 있다는 것도 이 책의 강점이다.

 

 

조조는 사랑받는 리더는 아니었다. 조조는 강력한 두려움으로 부하를 사로잡았다. 하지만, 단순히 두려움만으로 부하를 다스렸다면 그들 모두 조조에게 충성스러울 수는 없었을 것이다. 강력한 카리스마와 리더십과 더불어 자신의 부하라면 의심하지 않고 능력을 최고로 발휘할 수 있도록 믿고 지원했기에 그들 모두 조조에게 충성할 수 있었다. 자신을 믿고 지원하는 상관을 따르는 것은 인지상정일 것이다. 비록 삼국연의에서 조조는 만고의 간웅으로 비춰지지만, 조조는 난세를 평정하고 백성들이 잘 살 수 있는 나라를 만든 영웅이기도 했다. 그런 면에서 최근에 조조가 다양한 분야에서 재조명되고 있듯이 현시대에 가장 알맞은 리더상일지 모르겠다. 이 책에서 제시하는 15가지 조조의 사람경영법은 리더를 포함한 구성원들 모두에게 오늘 날 무한경쟁시대에서 위기를 이겨내는 훌륭한 지혜로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