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랑 비탈 - 인간을 도약시키는 근원적 힘
윤철호 지음 / 북스넛 / 2010년 6월
평점 :
품절


인간을 도약시키는 근원적인 힘이라는 이 책의 문구가 시선을 사로잡았다. 더욱이 도쿄공대 출신의 공학 박사인 저자가 인생이라는 큰 틀을 자신의 경험과 전문적인 식견을 통해서 과학적으로 풀어나가고 있기에 본인 또한 공대출신에 관련분야 종사자로써 이 책에 남다른 관심이 생겼다. 저자는 공학과 철학을 기초로 사람들의 긍정적인 변화를 돕는 인간공학 박사이다. 두 분야가 어울리지 않을 것 같으면서도 적절하게 조화를 이루어 그 안에서 깨달음을 이끌어낸 저자의 통찰력이 존경스럽다.  

 

이 책의 제목이기도 한 엘랑 비탈은 프랑스 철학자 베르그송이 그의 저서인 ‘창조적 진화’에서 소개한 개념이다. 단어적인 의미로 분석하면 엘랑은 도약과 약동을 의미하고, 비탈은 생명을 의미하는 프랑스어다. 베르그송이 이야기한 엘랑 비탈은 생명의 도약을 달성하는 근원적인 힘을 의미한다. 베르그송은 생명이 창조적 진화를 지속적으로 이루기 위해서는 ‘에너지의 점진적인 축적’과 ‘변화 가능하고 비결정적인 방향으로 축적된 에너지의 통로를 만드는 작업’이라는 두 가지 조건이 필연적으로 필요하다고 이야기했다. 저자는 엘랑 비탈을 위대한 삶을 이루기 위한 보편적인 법칙으로서 적용이 가능하다고 생각했다. 이를 목적으로 엘랑 비탈 개념을 현대의 시각으로 접근하여 평범한 사람이 위대한 삶을 살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기준이자 가치관이 될 수 있도록 이 책을 통해서 풀어나갔다.  

 

저자는 엘랑 비탈을 '인생을 도약시키는 근원적인 힘'과 '인생의 도약을 이룬 사람 또는 상태'의 두 개념으로 나누어서 설명한다. 이를 기준으로 이 책은 총 4개의 장으로 구성하였다. 큰 틀을 기준으로 총 2부로 나눌 수 있는데, 1부에서는 이 시대를 사는 사람들이 겪어야할 고민과 현실에 대해서 다루었고, 2부에서는 인생과 미래를 더 행복하고 의미 있게 바꾸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 즉, 엘랑 비탈을 현실적으로 적용하여 실천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다루었다. 그래서인지 1부에 속하는 대한민국의 미래와 대한민국에서 일을 하며 산다는 것에 대한 이야기는 공감이 가면서도 한 편으로는 우울한 이야기를 오래 들여다본 것처럼 씁쓸한 느낌을 지울 수가 없었다.  

 

저자는 토인비의 ‘역사의 연구’에서 강조한 도전과 응전을 과거의 역사와 최근 사례를 통해서 현실적으로 설명하여 도전과 응전, 변화에 대응하는 삶의 중요성을 통해서 엘랑 비탈의 이해와 필요성을 강조했다. 사람에 따라서는 엘랑 비탈을 이루기 위한 조건을 다루는 부분에서는 이해가 쉽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걱정할 필요는 없다. 이를 위한 다양한 사례와 유명인들의 일화를 통해서 독자의 이해를 도울 뿐만 아니라 이들의 삶을 통해서 위대함과 열정도 전달받을 수 있을 것이다. 저자는 엘랑 비탈에 이르기 위한 조건을 배의 두 개에 돛을 이용하여 상징적으로 표현했다. 첫 번째 돛에 해당하는 조건으로 열정, 절대고독, 지식을 꼽았고, 두 번째 돛에 해당하는 조건으로 실패, 남이 가지 않은 길, 소달치(소통, 달통, 치통)를 꼽았다. 저자는 엘랑 비탈을 단순한 설명을 위한 관점이 아닌 현실에서 엘랑 비탈을 이룬 수많은 위인들의 삶과 사례들을 통해서 깨달음의 길로 안내하며, 스스로 깨닫고 실천하는 순간부터 새로운 삶을 개척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현재에 당면한 정치, 경제, 사회적인 문제로 인해서 많은 사람들이 힘겹게 하루를 살아가고 있다. 이럴수록 용기와 희망을 가지고 이겨내야 한다고 누구나 말할 수는 있겠지만, 현실적으로 이러한 조언은 먼 이야기처럼 여겨지기 쉽다. 그렇다면 이 책을 통해서 먼 이야기처럼 여겨지는 조언을 좀 더 가깝게 끌어당겨보기를 권한다. 엘랑 비탈이라는 개념을 통한 저자의 통찰력을 공유하고 이해하며, 현실에서 이루어낸 수많은 사례를 통해서 열정을 충전시킨다면 앞에서 언급한 용기와 희망이 뜬구름 잡는 이야기로만은 들리지 않을 것이다. 그렇게 깨달음과 열정이 충전된다면 이제는 실천하여 자신의 삶을 변화시켜 나가기를 바란다. 엘랑 비탈의 두 돛이 펴지는 순간 자신의 위대한 배가 추진력을 얻어 순항을 시작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