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 그 후 - 10년간 1,300명의 죽음체험자를 연구한 최초의 死後生 보고서
제프리 롱 지음, 한상석 옮김 / 에이미팩토리 / 2010년 3월
평점 :
절판


사람들은 누구나 사후 세계에 대해서 많은 호기심을 갖고 있을 것이다. 사후 세계는 살아있는 사람에게는 도달할 수 없는 곳이자, 어떤 것도 확인할 길이 없는 곳이다. 누구나 언젠가 경험하고 확인하게 될 곳이지만, 한편으로는 영원한 숙제이자 미지의 세계이다. 죽음 이후에는 무엇이 있고, 우리는 어디로 가는 것일까? 우리가 사랑했던 고인들은 어디로 갔을까? 궁극적으로 우리가 살고 죽는 이유는 무엇이고 어디에서부터 시작해서 어디까지 가는 것일까? 아마도 이러한 생각들은 누구나 해봤을 것이고, 현재에도 가끔씩 떠오르는 수수께끼와 같은 것들이다. 이러한 호기심을 대변하듯 과거에서부터 지금까지 종교서적과 미신관련 서적에서부터 근거가 부족한 여러 가지 사건 기록물에 이르기까지 설명할 수 없는 이례적인 현상과 일부 사람들의 주장으로 접했을 뿐이다. 그런 관점에서 이 책은 좀 더 특별하면서 호기심을 자극하기에 충분했다.   

 

저자는 각종 매스컴에서 대서특필 되었고, 사후세계와 죽음체험에 관한 가장 잘 알려진 연구가이면서 전문가이다. 그는 전문의로 활동하면서 많은 환자들을 통한 경험으로 사후세계와 죽음체험에 관한 강한 관심을 갖게 되었고, 비영리 기관인 임사체험연구재단을 설립해 지난 10여 년 동안 많은 사례를 연구해왔다. 이 책은 저자가 자신이 연구했던 사례와 더불어 약 40여 년간 출간된 서적과 논문 등 관련 자료를 분석하여 집필한 죽음체험 분야의 독보적인 책이다. 자신의 재단에서 1300여 명의 죽음체험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고, 체험자의 증언에 정확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인터뷰의 검증을 위한 사후 조사까지 시행하여 객관성을 높였다. 기존의 죽음체험과 관련된 책들에 비해서 방대한 조사와 객관적인 분석이 이루어졌고, 과학적인 입장에서 접근하였다는 점에서 이 책은 독보적이고 의미가 있다. 이 책은 수많은 사람들의 죽음체험의 과정과 체험 중에 인지적인 변화, 체험 후에 체험자들의 삶의 변화를 기록하여 ‘죽음체험이 허구’라는 비판에 대해서 과학자의 시선으로 하나하나 검증해나갔다. 이 책의 가치는 단순히 사후세계라는 호기심과 죽음체험자들의 경험을 공유한다는 것만이 전부가 아니다. 이들이 체험이후 자신의 삶을 어떻게 긍정적으로 변화시켰고, 극단적인 죽음 앞에서 삶을 더 사랑하게 되는 이야기들은 현재 생을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감동과 새로운 깨달음을 선사해준다.  

 

개인적인 호기심 때문인지 책의 내용에 쉽게 몰입할 수 있었다. 죽음체험자들의 경험담과 그들의 삶에 대해서 알아갈수록 점점 더 흥미로웠다.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사후세계를 경험한 사람들의 증언이 100% 동일하지는 않았지만, 상당히 높은 확률의 사람들이 비슷하거나 동일한 경험들을 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면서 그들의 이야기가 단순히 과장된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으로 죽음체험자들의 공통점은 죽음전의 삶이 행복했거나 불행했거나 또는 스스로 죽음을 선택했던 사람들조차도 체험이후 삶을 사랑하게 되었다는 것도 우리에게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다. 죽음체험자들은 우리가 사랑했던 고인들과 아파하며 죽어간 사람들 모두가 그들의 집착과 상처로 이승을 떠돌며 방황하는 것이 아닌 행복하게 또 다른 죽음 이후의 삶을 만끽하고 있다고 이야기한다.  

 

사후세계란 것은 어쩌면 살아 있는 사람은 영원히 확인할 수 없는 미지의 세계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과학적인 입장에서 좀 더 명확한 느낌과 사실을 전달해준 이 책의 이야기들은 죽음에 대한 편견들을 해소해주고 우리가 어떻게 살아가야할지를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해준다. 인간이라면 누구나 갖고 있을 근원적인 궁금증을 풍부한 사례들과 과학적인 접근을 통해서 유추하며 나름의 고찰을 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기에 색다른 지적 유희와 감동을 얻을 수 있다는 것 또한 이 책의 매력이다. 정신없이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단순한 호기심 차원이 아닌 삶에 대해서 다시 한 번 되돌아보고 깨우침을 얻을 수 있다는데서 모두가 한번쯤 이 책을 접해보기를 권한다. 이 책은 호기심 충족을 위한 지적 유희뿐만 아니라 체험자들의 삶의 변화를 바라봄으로써 자신의 삶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자극제가 되어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