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의 성격 찾기 - 자기 발견을 위한 성격심리학
엘리자베스 푸틱 지음, 이미정 옮김 / 동행 / 2009년 12월
평점 :
품절
“저 사람의 성격은 어떨까?”, “내가 왜 이랬을까?”, “저 사람은 왜 저럴까?” 등 사람들은 상대방과의 관계에서부터 자신에 이르기까지 하루에도 수십 번을 분석하고, 궁금해 한다. 사람들은 자신과 상대방의 성향을 파악하기 위해 때로는 혈액형에 따른 성격 유형에까지 집착하기도 한다. 이 모두가 좀 더 긍정적이고 조화로운 삶을 살고자 하는 욕구에 의한 것이다. 사람들은 좀 더 긍정적인 상황으로 나아가기 위해서, 또는 부정적인 상황을 피하기 위해서 성격에 대한 분석을 게을리 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명확하게 단정하거나 판단하기 쉽지 않은 것이 사람의 성격이다.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s/k/skyhoon/2_5.jpg)
이 책은 성격을 크게 7가지 유형(장인형, 현자형, 봉사자형, 성직자형, 전사형, 제왕형, 학자형)으로 나누고 있다. 이와 같은 7가지 성격 유형이 인간의 핵심본질을 나타내고, 인간의 일차적 존재방식을 결정한다고 이야기한다. 그리고 이러한 유형은 심리학적인 5가지 관점(생존 지향적 관점, 규칙 지향적 관점, 경쟁적 관점, 관계 지향적 관점, 철학 지향적 관점)에 영향을 받아 다른 성향으로 분리된다. 따라서 성격의 7가지 핵심 유형도 여러 가지 다른 관점들의 영향에 따라 다양한 성격으로 나타난다. 이 책은 각 성격의 핵심 유형에 따라 해당 성격의 기질, 부정적 극단에서 탈출하기, 성격 유형 식별하기, 해당 성격의 스타일, 유명인과 위인들의 사례, 해당 성격의 직업과 사랑, 의사소통 방식, 해당 성격의 부모와 아이들, 해당 성격의 잠재력 최대화하기, 해당 성격에게 미치는 2차 성격의 영향력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이를 통해서 자신의 성격뿐만 아니라 상대의 성격에 대해서도 분석적인 파악이 가능하도록 설명한다.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s/k/skyhoon/3_7_1.jpg)
이 책의 독특한 점은 책을 순차적으로 읽을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책을 읽는 자신의 성격 파악을 먼저 하고 싶다면, 앞부분에 있는 활용방법을 읽은 후에 책에서 제공하는 7가지 핵심 유형 파악을 위한 설문조사를 시작한다. 이렇게 나온 설문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자신의 1차 성격과 2차 성격을 파악하여 그 성격을 위주로 해당 성격의 페이지를 찾아서 먼저 읽으면 된다. 이렇게 자신의 성격에 대해서 먼저 파악을 한 후 나머지 성격에 대해서 읽어가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s/k/skyhoon/4_2_1.jpg)
각 장의 마지막 부분에는 해당 성격에 대한 간략한 요점과 조언, 신화·소설·영화에 등장하는 해당 성격 유형의 전형, 해당 성격의 유명한 사람들에 대해서 별도로 정리해서 보여준다. 마지막 장에서는 각 성격유형의 화합성과 심층적인 분석을 다루고 있다.
이 책은 총 페이지 403페이지의 적지 않은 분량으로 성격 이론과 실질적인 검증에 의한 분석을 통해서 성격에 대해 심층적으로 다루고 있다. 더욱이 심리적 관점에서부터 일반적인 관점에 이르기까지 적용하여 다루기 때문에 성격의 단편적인 유형을 파악하려고 하는 사람들에게는 지루함과 어려움을 줄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때로는 많은 부분에 따라 영향을 받는 성격의 유형으로 인해서 해석하기 나름이라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나의 경우도 우세한 성향의 핵심 성격은 정해졌지만, 해석에 따라서 다른 유형에도 상당 부분 해당되기도 했다. 이 또한 틀렸다고 할 수는 없다. 이러한 분석 때문에 이 책을 한 번 읽고서는 명확하게 판단하거나 이해하기 쉽지는 않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자신의 주변 상황과 분석에 따라 여러 번 책을 통해서 검증하다 보면 어느 순간 명확하게 파악되는 순간을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가 이 책을 읽는 목적은 단순히 성격 파악을 위한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도 자신의 진정한 성격을 찾아서 성공과 행복을 위한 밑거름으로 활용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서 긍정적이고 조화로운 삶을 살 수 있다면 이것이 행복한 삶으로 가는 길이 될 것이다. 사소하게는 이러한 성격 파악을 통해서 자신의 문제와 고민을 해결할 수도 있고, 연인이나 친구, 직장 상사나 부하 직원 등 인간관계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다. 이렇듯, 이 책은 더 나은 인간관계를 위한 지침서로도 활용될 수 있다. 사람들이 자신과 상대방에 대해서 좀 더 잘 이해하고 깨달아서 현명하고 조화로운 삶을 살 수 있다면 개인의 행복뿐만 아니라 모두가 행복한 세상이 되지 않을까라는 생각도 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