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세주 : 영원의 총탄 윤세주 - 제1차 위대한 시민의 역사 33 독립운동가 100인 만화 프로젝트
이상훈 지음, 양광민 그림 / 광복회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의열단의 최고 사나이 윤세주.
김원봉과 형제의 우애를 나누고, 이육사와도 함께 의를 나눈 항일의사.
우리나라에서 만주로 다시 화북으로 중국 팔로군과 연합하여 항일 전쟁에 젊음을 바쳤다.

----------------------------------------------------------
* 팔로군?
정식명칭은 ‘국민혁명군 제8로군’이며, 1927년 난창[南昌] 폭동 때는 홍군(紅軍)으로 불렸다. 제2차 국공합작(國共合作) 후에 국민혁명군 제팔로군으로 개칭하고 신사군(新四軍)과 함께 항일전의 최전선을 담당한 부대이다. 1947년에 인민해방군으로 다시 명칭을 바꾸었다.

1937년 7월 일본이 중일전쟁을 일으키자, 당시 국공내전(國共內戰)에서 패망 위기에 처해 있던 중국공산당은 국민정부(國民政府) 군사위원회 위원장 장제스[蔣介石]에게 마오쩌둥[毛澤東]·주더[朱德]·펑더화이[彭德懷]·린뱌오[林彪] 등의 이름으로 전문을 보내, 전체 홍군은 장제스 위원장의 지휘하에서 국민혁명군으로 개명하여 항일전쟁에 임할 것을 표명했다.

7월 15일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는 ‘공부국난선언(共赴國難宣言)’을 발표하고, 국민정부에 국공합작을 요구했다. 그들은 삼민주의(三民主義)의 실현, 국민당정권의 전복운동 및 적화운동의 취소, 폭력에 의한 지주들의 토지몰수정책 중지, 소비에트 정부 취소, 홍군 명칭 취소 및 국민혁명군으로의 개편을 조건으로 제시했고 국민정부 군사위원회의 명령에 따를 것을 약속했다.

1937년 8월 22일 국민정부 군사위원회는 이 제의를 받아들였고, 중공군을 ‘국민혁명군 제8로군’으로 개편했다. 총지휘에 주더, 부총지휘에 펑더화이를 임명하는 한편, 총 3개사(師)에 병력수를 2만 명으로 제한할 것을 명령했다. 당시 팔로군 산하에는 린뱌오의 제115사, 허룽[賀龍]의 제110사, 류보청[劉伯承]의 제129사가 있었고, 팔로군에 대한 지휘권은 여전히 중국공산당이 가지고 있었다.

마오쩌둥이 팔로군 간부들에게 ‘중일전쟁은 본당의 발전에 좋은 기회이고, 우리들이 결정한 정책은 70%를 자기발전에, 20%를 타협에, 10%를 대일작전에 두는 것이다’라고 말한 것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 제2차 국공합작은 항일전을 위한 중공군의 일시적인 전략이었다. 신사군이 화중(華中) 지방에서 활약했던 데 비해, 팔로군은 화베이[華北] 지방에서 항일전을 벌였다.

[출처 : 두산백과]
----------------------------------------------------------

- 1900. 6.
경남 밀양 출생

- 1910.11.
천장절(일왕의 생일)에 일장기를 학교 똥통에 처박아 버리고 김원봉과 함께 자퇴

- 1911.
김원봉의 연무단(체력단련모임)에 가입

- 1919. 3. 13.
밀양 3.13 만세시위 기획 및 주도

- 1919. 11.
만주 길림에서 의열단 창립 멤버

- 1932. 10.
조선혁명정치군사간부학교 1기 입학


------------------------------------------------------
* 조선혁명정치군사간부학교란?

1932년 중국 난징(南京)에 설립되었던 군사간부양성학교.

1932년 의열단(義烈團) 단장 김원봉(金元鳳)이 중국 장개석(蔣介石)의 지원으로 독립운동 군사간부를 양성하기 위하여 난징(南京)교외 선사묘(善祠廟)에 설립한 학교이다.

1932년부터 1935년까지 3년여 동안 운영된 이 학교의 명칭은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朝鮮革命軍事政治幹部學校)인데 정식명칭은 ‘중국국민정부 군사위원회 간부훈련반 제6대’이다.

이 학교의 설립목표는 ‘한국의 절대독립’과 ‘만주국의 탈환’에 두고 동교 졸업생은 국내와 만주로 파견되어, ① 일만요인 암살, ② 재만항일단체와의 제휴, ③ 선만 노동농민층에 대한 혁명적 준비공작, ④ 위조지폐 남발을 통한 만주국의 경제교란, ⑤ 특무활동에 의한 물자획득 등을 전개하기로 하였다.

이 훈련반은 6개대로 편성되어 제5대까지는 중국인들이 수용되었고 한인은 제6대에 소속되어 교육을 받았으며, 학교의 임원도 교장 김원봉 이하 간부들은 한중 양국인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교육내용은 정치과목·군사과목·실습과목으로 나누어져 있었으며, 주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과목은 파괴·기습·유격전 등 특무공작에 필요한 과목들이었다. 1932년 개교 이래 1935년 9월 폐교까지 1기생 26명, 2기생 55명, 3기생 44명 등 총 125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조선혁명간부학교(朝鮮革命幹部學校))]

---------------------------------------------------------

- 1935. 7.
민족혁명당 창립대회 중앙집행위원

---------------------------------------------------------

* 민족혁명당이란?
중국 난징에서 결성된 민족연합전선의 성격을 띤 독립운동단체.


1930년대에 들어서 만주사변·상하이사변 이후 중국지역의 민족운동이 활성화하자, 1920년대 후반 이후 분산되어 침체상태에 있던 독립운동 세력이 전선을 통일하려는 움직임을 시작했다. 그 결과 1932년 10월 한국광복동지회·한국독립당·한국혁명당·조선혁명당·의열단(義烈團)의 5개 단체를 중심으로 중국 지역 통일전선운동의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는 한국대일전선통일동맹(韓國對日戰線統一同盟)을 결성했다.

그러나 이 단체가 연락기관의 역할밖에 못하는 데 한계를 느끼고 더 견고한 통일전선을 이루기 위해, 1935년 7월 난징[南京]에서 한국독립당·신한독립당·조선혁명당·대한독립당·의열단의 5당 대표 14명이 모여 민족혁명당을 결성했다. 이것은 동맹의 연합체적 성격을 넘어서는 강력하고 광범위한 통일전선체를 이루고자 하는 것이었으나, 임시정부를 옹호하는 한국독립당 내의 일부 세력이 불참했다.

조직체계는, 중앙에는 중앙집행위원회 아래 실무기관으로 서기부·조직부·선전부·조사부·훈련부·군사부·국민부를 두었으며, 지역에는 지부(支部)·구부(區部)·조(組)를 두었다. 1936년 초에는 화중(華中)·화남(華南)·화동(華東)·화서(華西)·화북(華北)·만주·조선의 7개 지부가 있었다.

강령은 삼균주의(三均主義)를 표방하고 민주공화국 수립, 토지 국유화, 대규모 생산기관의 국유화, 민주적 권리의 보장 등 통일전선이었으며, 군사공작·당원훈련·정보수집·자금조달 등의 활동을 수행하면서 기관지 《민족혁명(民族革命)》을 간행하였다.

민족혁명당은 인민전선론의 영향으로 1937년 12월 조선민족해방동맹·조선청년전위동맹·조선혁명자동맹 등과 연합하여 조선민족전선연맹(朝鮮民族戰線聯盟)을 결성했으며, 1938년 10월에는 산하 군사조직인 조선의용대(朝鮮義勇隊)를 조직하여 활발한 항일무장투쟁을 전개했다. 1941년부터는 독립운동 정당과 단체가 연합전선을 이룬 임시정부에 참여했고, 1942년 7월 산하 군사조직은 광복군 제1지대로 편입되었다. 8·15광복 후인 1946년 2월 좌익계 정치단체인 민주주의민족전선에 참여했으며, 같은 해 6월 인민공화당(人民共和黨)으로 개칭했다.

[출처 : 두산백과]
----------------------------------------------------------

- 1938.
항일가요 ˝최후의 전선˝ 작사

- 1939. 9
한구에서 조선의용대 창설

----------------------------------------------------------

*조선의용대? 조선의용군?
조선의용대는 1938년 우한에서 김원봉이 만든 중국관내 최초의 한국인무장단체. 1937년 중일전쟁이 일어나 중국과 한국이 공동전선을 형성하면서 만들어짐. 중국도 중국국민당과 중국공산당이 존재했는데 이들이 중일전쟁이 일어나면서 제2차 국공합작이 나타나 힘을 합침.
조선의용대의 일부는 중국공산당이 있는 옌안에서 중국공산당과도 활동하였고, 그들은 따로이 조선의용대 화북지대로 부르기도 함.
그리고 중국국민당과도 활동하였는데, 1942년 김원봉이 대한민국임시정부에 합류하게 되면서 옌안에서 활동하던 조선의용대의 일부는 조선독립동맹을 결성하고 군단체로 조선의용군을 만들게 됨. 따라서 완전히 별개는 아님.

----------------------------------------------------------

- 1942. 6.
중국 화북성에서 일본군에게 피격되어 순국.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