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받는 임금은 자본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노동에 의해 생산되며 노동자의 생계비도 자본에서 나오지 않음을 설명한다.
적절한 예를 들어 이해를 도우고 애덤스미스 이후 강력한 체계를 굳힌 경제학의 오류를 파고든다.

2권에서는 맬서스 이론의 발생과 지지에 대한 현상의 기저에 부유층의 탐욕과 권력층의 이기심을 정당화 해주는 강력한 힘이 있었다는 것을 밝히며, 그 이론도 실상 사실과 비유의 추론으로 터무니없는 상상의 모래성임을 이야기한다.

<인구론>을 직접 읽은 사람은 거의 없지만 우린 마치 그 이론의 해박한 전문가처럼 많은 말을 한다.
헨리 조지는 문학적 호기심으로 정독할 가치는 있지만 말도 안되는 오류도 많고 우스울 정도로 논리성이 무능하다고 비판한다.
그리고 죄악과 궁핍의 원인은 인구과잉에 있다기보다 중국,인도,아일랜드의 예시로 전쟁, 폭정, 압제로 인해 지식의 활용이 막히고 생산에 필요한 안전성이 부정되었다는데 진정한 원인이 있다고 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