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베르토 풀빛 청소년 문학 5
도나 조 나폴리 지음, 김민석 옮김 / 풀빛 / 2007년 9월
평점 :
품절



<<살아있음으로 증거하라>>
1. 전쟁에 휩싸인 어린 아이들:

 로베르토는 단지 영화가 보고 싶었을 뿐이다. 돈이 없어도 보고자하는 욕망을 막을 수 없었다. 친구의 부탁을 들어주기로 하고 같이 영화를 보러간다. 불청객인 형 세르지오가 끼어들지만 로베르토는 친구인 네모와 세르지오랑 함께 미국 서부영화를 볼 기쁨이 가득하다. 영화 시작의 자막이 겨우 올라갔을 뿐인데 독일군들이 들어오고 그들은 끌려갔다.

==>전쟁은 대상을 가리지 않는다. 어린 아이들은 더 없이 강제적으로 노동을 시키고 가차없이 죽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소설이어도 이러한 책이 나올 때마다 전쟁의 당사자인 독일은 여전히 자유롭지 못할 것이다. 그러나 지금 우리의 머릿속의 지우개는 아픈 것을 빨리 지우려고 한다.

2. 유대인의 차별:

 2차세계대전 당시 독일은 이탈리아, 일본과 삼국동맹의 관계였다. 어린 로베르트는 전쟁의 여파를 느끼기 전인데다 순진하여 이를 이해할 수 없었다. 기차를 타고 가다 집에 가려는 아이를 독일군은 총으로 죽였다. 로베르토는 아직도 자신이 처한 상황을 이해할 수 없었다.

 메모는 유대인인 사무엘을 보호하기 위해 '엔조'라는 새로운 이름을 지어준다. 농장에서 강제 노역을 하게 된 둘은 물놀이를 하다 유대인의 전통인 할례를 다른 아이에게 들키고 만다. 오직 배고픔과 가족이 보고 싶은 것을 견디기 힘들었던 로베르토는 엔조와 바꿔먹던 음식을 이젠 둘이서 나눠 먹어야했다. 그래도 둘은 여전히 친구다. 엔조가 밤마다 들려주는 이야기는 로베르토가 살아가는 힘이 되었다.

==>그당시 독일뿐만 아니라 여러 곳에서 유대인에 대한 차별지역은 있었다. 그러나 독일의 인종주의과 결합하여 수용소에서 강제적으로 죽어간 사람들에 대한 만행은 아직도 우리에게 슬픔을 안겨준다. 평등하고 평화로운 로베르토의 의식에서 현실을 이해한다는 것은 정말 어려운 일이었다. 이러한 일들이 아직도 우리 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을 나의 눈으로 이해하기 힘들다. 역사와 현실이 만들어낸 비극의 현장에 있는 그들에게 어떤 말이 위로가 될 것인가?

3. 인간을 사랑하는 법:

 철조망 사이로 새로운 수용자들이 들어오고 그 곳에는 더 배고픈 소녀들이 보였다.로베르토에게 생명과 같은 소시지와 달걀을 소녀에게 주자 행복한 마음이 들었다. 그리고 소녀에게서 납작한 돌을 선물로 받았다. 날달걀을 훔쳐먹다 들킨 두 친구는 더 열악한 수용소로 끌려간다. 그곳에서 엔조는 군화를 뺏으려는 다른 아이들에게 맞아 죽었다.

==>자신이 배고파도 더 배고픈 사람에게 나눔을 실천하는 로베르토는 우리 인간이 가진 가치를 아름답게 한다. 오직 자신만을 위해 살아가는 냉정한 정글의 법칙에서 자신의 희생을 감수할 줄아는 용기를 보았다. 삶의 지속은 이러한 배려와 사랑 속에서 피어나는 꽃과 같은 것이다.

 4. 희망을 이야기하다:

 우크라이나 수용소를 탈출한 로베르토는 한 아이만 두고 마을 사람들이 죽은 곳에서 기운을 차리고 함께 길을 떠난다. 배를 구한 로베르토는 집으로 가기 위한 계획을 세운다. 파시즘 신봉자로 자원입대를 했지만 전쟁의 실상을 깨닫고 탈출한 마우리치오라는 군인과 함께였다. 함께 파르티잔이 되기로 하고 로베르토는 폴란드 소녀가 준 돌을 보여주며 사물엘에게 들은 곱추 소년 이야기를 군인에게 들려준다.

==>이야기를 읽을수록 힘이 났다. 로베르토의 긴박하고 끔찍한 탈출이었지만 집으로 가면서 새로운 도시를 세우는 돌이 되고자 한다. 우리는 지금 살아남은 자의 눈으로 이 희망을 증거하고 있는가에 대해 생각하면 대답을 하기 힘들다.

 

 열 세살의 아이에게 역사는 너무 많은 짐을 지워놓았다. 배고픔과 강제노동에다가 가족의 이별에다 친구의 죽음을 더하고 목숨을 건 탈출까지 힘들게 해놓고도 한 마디의 위로조차 하지 않았다. 사실적인 이야기로 살아있다면 약 여든의 할아버지가 되었을 로베로토는 현실적으로 우리에게 요구할 것이다. 전쟁을 위한 전쟁이든 전쟁을 막는 전쟁이든 그 어떠한 전쟁도 이제 끝나야한다.

 70여년 전의 전쟁 속에서 피어난 우정 이야기가 우리에게 아직 유효한 것은 세계는 여전히 전쟁중이고 다른 사람을 강제적으로 속박하거나 죽이는 상태가 있기 때문이다. 많은 역학관계와 국익 속에서 세계의 전쟁은 위험한 줄타기와 같다. 비록 불가능하더라도 살아있는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모두 전쟁을 반대하는 것이다.  

 

*이 구절: 로베르토가 소녀에게 음식을 줄 때(88쪽)

"자기가 무슨 행동을 하고 있는지 알고, 올바른 일을 하고 있닥 믿고 행동한다면 다른 사람의 주의를 끌지 않는 법이다. 마치 투명 인간과 같은 존재가 되는 것이다. 로베르토는 갑자기 힘이 샘솟았다. 그리고 행복했다."

==>자신의 어려움을 넘어서는 옳은 행동을 할 때 당당하기 힘들다. 로베르토을 통하여 착한 사람으로서 삶의 가치를 느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