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이 흙이 가르쳐주네 - 네이버 인기 블로그 '풀각시 뜨락' 박효신의 녹색 일기장
박효신 지음 / 여성신문사 / 2007년 7월
평점 :
절판


 
<<바람과 흙의 노래>>

 

*인연

 그녀를 처음 만난 것은 <여성신문>을 통해서였다. 신문사 편집위원이라고 하는데 시골에서 소박하고 아름다운 이야기를 쓰고 있었다. 참 좋겠다는 부러움에 꼼꼼히 글을 읽고 있었는데 이 책의 맨 뒤에 있는 맺는 글의 내용이 신문에 실렸다. 이렇게 과감하게 초대를 하는데 비록 몸은 갈 수 없어도 그녀의 블로그를 방문하고 싶었다. 과연 블로그는 신문이 보여주는 다른 멋진 사진들과 그녀의 생활들이 참으로 예쁘게 나와 있었다. 나도 블로그를 시작한 지 얼마되지 않았는데 "서로 이웃"을 과감히 신청하였다. 그녀의 예산에 대한 생활이 어떤지 나도 언제가는 그런 곳에서 이렇게 살고 싶다는 희망이 함께 버무려져서 자주 들락날락하였다.

 그녀의 책 출간도 반가웠다. 인터넷이 아무리 익명이라고 하여도 이렇게 함께 이웃이 되면 또 다른 정감의 표현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나만의 착각으로 알았다. 비록 그녀는 나를 모르지만 나는 그녀의 일상을 봄날의 따스한 햇살처럼 느낄 수 있는 기회가 많았다. 이 책의 내용이 블로그에서 이미 본 것이라 하여도 다시 읽었다.

 충청도 예산에는 충청도 사람이 산다. 그녀가 고향에 내려가서 집을 짓고 땅을 일구기로 약속을 한지 10여 년 만에 풀각시의 뜨락은 풍성해졌다. 그리고 농사를 지으면서 이것 저것 삶의 소소한 일상이 정겹게 느껴지는 것은 그녀의 화려한 이력을 무색하게 만들정도로 순수하고 소박하다. 예전에 예산으로 가족나들이를 다녀 온 적이 있는데 그녀를 미리 알지 못했다는 아쉬움이 들었다. 진작 알았더라면  예당저수지에서 그녀의 집을 한 번 찾아가지 않았나 싶었다. (물론 나의 많은 용기가 필요하겠지만)

 

*느리게 살기

 우리가 살아가는 데 정말 많은 것이 필요하지 않다는 사실은 잘 알고 있다. 그러나 보이는 것이 워낙 많은 시대라 그만큼 갖고 싶은 것도 많아진다. 진정한 삶의 건강을 위하여 시골 살이를 희망하면서도 아직은 때가 아니다면서 많이 망설이고 있다. 이미 많은 성공을 거둔 한 여성이 이렇게 과감히 시골엣 살면서 행복하게 살아가고 있는 모습을 보는 것만으로도 어느 정도 정화가 된다.

 

*생뚱맞움이 주는 즐거움

 그녀가 바비킴을 좋아하고 그의 콘서트에 가기 위해 표를 끊고 하는 모습에서 미소가 나왔다. 할머니라 할 수 없는데도 아이들과 함게 있으면 할머니 축에는 끼겠다. 그렇지만 그런 모습이 나에게 많은 용기를 주었다.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할 수 있는 열정을 가진다는 것은 정말 좋은 일이다.

 광대나물이나 야생화가 그녀의 화단에서 호강하는 것도 어찌보면 당연한 일이다. 그녀의 눈에 그 아름다움을 어찌 그냥 풀로만 여겨질 것인가? 양말 패션 또한 그녀가 가진 미적 감각의 새로운 모습이니 우리에게 생뚱맞다고 느끼는 것들이 어쩌면 우리 주위에서도 그렇게 느껴질 수 있는 자연스러움이 되었으면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녀에게

 당신의 소소한 일상을 다시 책으로 접하니 더 보고 싶습니다. 지금은 옥수수가 한창으로 익어서 그 곳에 가기만 하면 맛있게 얻어먹고 사올 수도 있을거란 생각이 듭니다. 아름다운 삶은 이렇게 주어진 시간 안에서 자연이 가르쳐준 것을 따르는 것이라 느낍니다. 오늘 주어진 삶의 하루가 당신 덕택에 더 아름다워집니다. 예산에 가는 그날에 저는 진짜 장갑 한 묶음과 우표만 들고 찾아갈 것입니다. 그날 하루 당신과의 대화를 상상합니다. 오늘도 좋은 날 되소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