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린세스 아카데미 해를 담은 책그릇 1
섀넌 헤일 지음, 공경희 옮김, 이혜진 삽화 / 책그릇 / 2007년 7월
평점 :
절판



<<소녀들의 꿈, 그리고 우정>>
 어린 여자 아이든 나이가 좀 있는 여자든 누구나 한 번쯤은 멋진 왕관과 드레스를 입고 왕자와 함께 춤을 추는 상상을 할 것이다. 상상은 또 상상을 낫고 스스로 공주가 되지 않았다면 평민이 왕자의 선택을 받는 왕자비가 되는 과정을 상세히 만들어가기도 했을 것이다. 더이상 이런 상상을 하지 않는다면 아주 현실적이거나 이미 너무나 많은 나이가 들었다는 증거가 될 것도 같다.

 댄랜드라는 나라에서 가장 오지인 에스켈 산에 미리라는 가느리고 약한 한 소녀가 잠에서 깨는 것으로 이야기는 시작한다. 미리는 대리석 사이에 피는 작은 꽃이름이라고 하는데 잘 상상이 되지 않았다. 아마도 에델바이스꽃이랑 비슷할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이 마을에 한무리의 마차가 오고 신탁에 의해 왕자비가 나올 곳이 되고 프린세스 아카데미가 차려진다. 읽고 쓰지도 못하고 귀족들의 생활양식도 모르는 체면을 배워야 하는 산골 소녀들에게 올라나 선생님의 가르침은 혹독하다. 그리고 1년 후에 단 한명이 아카데미 프린세스가 되고 또 한 명만이 왕자의 선택을 받는 것이다. 처음에는 별로 관심이 없던 소녀들이 차츰 선택을 받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장면들이 나온다. 각자의 삶이 보통일 때는 모르지만 신분에 따라 좋은 집과 편안한 생활과 동경하는 왕자가 있다면 그리고 그 조건이 아카데미에서 열심히 하여 이룰 수 있다면 누구든 그러지 않을까 싶었다.

 미리는 정말 특이한 아이였다. 여리지만 정의롭고 모두에게 친구가 될 수 있는 소녀이며 그리고 가족을 무엇보다 사랑하고 자신이 살고 있는 에스켈산을 좋아하였다. 우리가 살아가는 삶도 바로 현재에 있는 것을 사랑하는 것이라 여겼다. 더구나 대리석으로 대화를 나누는 신비한 능력은 정말 우리를 더욱 상상의 세계로 밀어넣었다.

 미리가 아카데미 프린세스가 되고 왕자가 왔지만 왕자는 결국 아무도 선택하지 않고 떠났다. 이런 실망감은 정말 어이가 없었다. 나도 어쩜 미리가 원하는 대로-그 아이가 주인공이기에- 왕자비가 되길 원했다. 하긴 아직 책은 끝나지 않았다. 미리는 도적들이 아카데미에 쳐들어왔을 때 대리석을 통하여 다시 페더에게 채석장의 말을 전하고 모두를 구할 수 있었다. 다시 스테판 왕자가 왔을 때야 미리는 전후 사정을 알 수 있었다. 브리타와 스테판은 이미 서로 사랑하는 사이였고 신탁때문에 브리타가 이 곳으로 왔다는 사실을~. 아마도 이 대목은 사랑하는 사람끼리 결혼을 해야한다는 메시지를 주기 위한 설정같은 느낌이 들어 싱겁기도 하였다. 미리는 사랑하는 가족이 있고 좋아하는 친구가 있는 에스켈 산에서 머무르길 원한다.

 

 이 책은 전체적으로 살아있는 캐릭터들이 각각의 개성을 뽐내면서 이야기를 적절하게 잘 이끌어가고 있었다. 에스켈 산의 주민들의 끈끈한 사랑과 이웃에 대한 배려와 생활까지 잘 묘사되어 있었다. 결론은 당황스럽기도 하였지만 원하는 모든 것을 이룰 수 없는 현실과 상상 사이를 잘 이루었다는 느낌이 들어서 마음이 따뜻해졌다. 더구나 주인공의 바른 마음과 친구에 대한 배려 등은 요즘 소녀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클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지금 나의 귓가에서도 산이 부르는 노래가 들리는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