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으로 만든 귀 바우솔 작은 어린이 6
이규희 지음, 이춘길 그림 / 바우솔 / 2007년 3월
평점 :
절판


 

<<아직도 멈춰지지 않은 고통>>

정말 우울하고 슬프고 마음이 아픈 고통스러운 책이다. 어린 아이에게 이 이야기를 어떻게 해야 할까? 그냥 슬프다고 아니면 아프다고 또 아니면 부끄럽다고 말해야 하나?  이미 400여년이 지난 전쟁의 상처를 우리가 아직도 가지고 있어야 하다니 아니면 영원히 없어지지 않으려나?

 수영이는 귀에서 이상한 소리가 계속 나서 고생이 심하다. 아무리 큰 병원에 가서 검사를 해도 아무 이상이 없다고 하고 점점 야위어 간다. 원인을 모르니 겨우 하는 말은 스트레스일 것 같다고 하지만 아니다.  그리고 자세히 들어보니 "내 귀를 찾아 줘."라는 말에 할머니는 점쟁이를 찾아가고  조상의 억울함을 풀어달라는 이야기를 듣고 오신다.

 아빠와 함께 남원 종갓집에 내려간 수영이는 조상이신 김진사의 임진왜란 때의 이야기를 듣게 되었다. 김진사는 전쟁이 나자 의병을 활동을 위해 나서고 하인 개똥이가 주인과 집안을 위해  귀가 잘리고 목숨을 잃었다.  그래서  김진사는 노비문서를 불태우고 '김개동'으로 족보에 이름을 올려서 문중 식구가 되도록 하였다. 

 수영이는 개동이 할아버지의 귀가   묻어있는 '귀무덤'을 찾아서 일본으로 간다. 귀무덤을 지키는 또래 여자 아이도 만나고 일본이 할아버지를 만났다.  귀무덤의 흙을 파서 비닐 봉지에 넣은 수영이는 돌아오는 비행기 안에서 "고맙다."는 소리를 듣는다.

 실제 귀무덤은  임진왜란의 장본인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위한 신사(도요쿠니 신사)가 있는  바로 앞에 위치하고 있다. 그것은 일본이 이 귀무덤을 자신의 전쟁의 전리품으로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당시의 인구의 추정치로 약 10%이상의 조상을 죽였고 잡아간 조상만도 또 수십만 명이지 않겠는가?  살아있는 사람의 귀와 코를 베는 만행을 저지른 일본의 조상들을 어떻게 용서할 것이며, 이를 자랑스럽게 여겨 전리품으로 생각하는 마음은 어떻게 받아들일 수 있단 말인가.

 일본은 정말 가깝고도 먼나라일 수 밖에 없는 이유는 이런 조상들의 고통과 슬픔을 깔고 있기 때문이다. 지금도 우리들은 살아계신 일본 전쟁 위안부 할머니들의 고통을 알고 있기에 그들의 반성도 없는 무성의에 분노하고 있다. 아이들에게 읽히기 두려운 책이지만 역사는 결코 과거만이 아닌 현재진행형임을 알려야 하기에 이 책을 함께 읽는다.

*한 장면: 할머니가 수영이의 귓병의 원인을 점쟁이에서 찾는 설정이 나에게는 낯설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