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철학 스케치 1 - 이야기로 만나는 교양의 세계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지음 / 풀빛 / 2007년 2월
평점 :
품절


<한국, 한국인, 한국철학>

어느 집에난 책이 많이 있겠지만 아무래도 자신의 관심 분야에 관한 책들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을 것이다. 우리집 서재에도 창작이 많은 책장을 차지하고 있고 철학은 한 쪽 구석에 먼지를 얹고 살고 있는 형편이다. 그런데다 철학책의 반정도는 중간에 책갈피가 꽂혀있거나 접혀있는 책들은 어떤 이유나 구실이 붙여져 마저 읽지 못한 것들이다.

 철학은 분명 "모른다는 것을 인지"하는 아주 쉬운 것이지만 생각을 하면할수록 꼬이고 헷갈리는 낯선 길찾기란 느낌에 모른다는 것을 정답으로 알고 살았다. 더구나 서양의 철학이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서 한국에는 과연 철학이 있겠는가?하는 생각에 관심도 없었던 부끄러운 한국인이었다.

 오늘 읽은 [한국철학 스케치]는 거창한 이론을 내세우는 것은 아니었다. 다만 역사를 알고 있었던 한 부분을 한국철학의 여러 관점을 보여주었다.

서론을 읽을 때 10년 전에 이미 한 번 나왔던 책을 다시 만나는 반가움도 있었지만 역사인지, 종교인지 알 수 없는 내용인 것 같아  그다지 흥미가 끌리지 않았다.

하지만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이야기로 1부 1장을 펼쳐서 읽는 순간 우리나라 철학의 세계로 빠지는 걸 말릴 수 없었다. 이때까지 내가 한국인으로 살아오면서 가졌던 의문을 해결해 줄 깊은 동굴을 발견한 느낌이었다.

 단군 이야기에서 시작해서 고신도, 화랑동, 풍류도로 이어지는 맥을 찾았고 조선시대의 유교라고 생각한 것이 이미 삼국시대부터 이어진 것이고  조선의 것은 주자학이라는 학풍의 한 단면을 보았다. 불교의 전래를 읽으면서도 종교의 한 측면이지만 우리의 삶 속에 남아있는 생활까지 알 수 있었다.

 개인적으로 나는 고등학교 국어시간에 선생님이 질문한 답을 대답하지 못하여 무시를 당한 적이 있었다. 정답은 "돈오점수" -영어점수, 수학점수도 아닌 무슨 학과목 점수를 묻는것도 아니었다.  이 대답을 못하였다고 나를 깨달음의 경지도 모른다고 하셨다. 나는 불교와 친하지 않는 것이 나의 잘못이라면서 기억 속에서 억지로 지우고 싶었던 단어였다. 그렇지만 아직도 잊어지지 않고 깨달음도 얻지 못하였다. 이 책은 이를 쉽게 설명해주고 있다. '돈오'하게 깨닫든, '점수'하게 깨닫든 그것은 개인의 문제일 것이다. 예를 들어서 이야기해 주는 것도  철학의 방향만 과거일뿐 현재 우리가  살아가면서 사유하는 것처럼 전개되어 마음에 들었다.

 또한 이황-기대승과 이이-성혼의 논쟁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통하여 궁금하였으나 답을 찾지 않았던 게으른 나의 머리속을 정리하여 주었다. 또한 그런 논쟁이 겨우 편지 몇 통이라는 놀라운 사실에 우습기도 하였지만 수 년에 걸친 사실은  조상들의 철저한 자기 학습 후에 나온 결과라는 생각을 하였다. 

 이 책은 총 2권의 책 중  첫째 번으로 단군이야기에서 조선중기의 호락논쟁까지 다루고 있다.  이야기를 읽다보면 시냇물이 흐르는 길을 따라 걷는 것처럼 우리 조상들의 삶과 사고를 자연스럽게 알 수 있었다. 한국철학이 정치와 지배계급을 떼어놓고 설명을 할 수 없다는 것은 읽을수록 지울 수 없었다. 지금 우리가 철학이라는 이름으로 강요하고 있는 것들도 권력자들의 지배논리가 숨어있지 않을까 싶어 의문이 갔다.

 이 책은 나는 어떤 한국인인가?에 대한 대답을 해주는 좋은 밑그림책이다. 그 다음 내가 어떤 한국인이 될 것인가?에 대한 대답은 각자가 완성해야 할 걸작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