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의 책쟁이들 - 대한민국 책 고수들의 비범한 독서 편력
임종업 지음 / 청림출판 / 2009년 9월
평점 :
품절
책을 많이 읽고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당연히 품을 의문이 있을 것이다.
다른 사람들은 어떤 책을 읽을까? 어떤 식으로 책을 골라 읽을까? 어떻게 보관할까?
책을 가까이 하면서 다른 사람의 독서법을 궁금해하게 되고 독서나 책읽기가 들어간 책을 우선시하며 손에 잡게 되는 경우가 많이 있다.
누구나 그런건 아니겠지만 대부분 책에 빠진 사람들의 행태, 주위 가족들이 책이 너무 많다고 해 다툼이 많은 것도 특징이 아닐까 싶다.
나또한 어릴적부터 책 읽는 것을 좋아해 밥을 먹을때도 책을 읽다 혼난적이 많을 정도였고 늘 책을 읽지 않으면 잠이 오지 않는 그런 날들이 많았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어릴적 책이 별로 없는 집대신 도서관에서 많이 살았고 이제 성인이 된 지금은 내 힘으로 책을 사보고 도서관에서 빌려볼수 있다는 그 한가지만으로도 행복감을 느끼고 있다.
시골에서 큰 나로선 도서관이 가까이 있어 언제든 보고 싶은 책을 빌려 볼수 있고 서점에도 자주 나갈수 있어서 너무 좋지만 그런만큼 내 아이들은 책이 많은 집이 너무도 당연한 듯
책을 가까이 하지 않는 날들이 많아져 있다.
내가 책에 고파하던 마음으로 원없이 책을 보여주리라 마음먹고 구해다놓은 책들을 아이들은 너무도 당연히 읽어도 그만 안 읽어도 그만 이란 태도를 보여주니 어떨땐 내 욕심일까 싶을때도 있다.
내가 다 끌어안고 있는 것은 욕심이라는 말처럼 내가 좋아서 내가 꽂아두고 보고 싶은 그 마음때문에 책이 답답해하고 있지는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아이들에게도 꽂혀있는 그 자체가 강요가 되는 것은 아닐까? 내가 책을 좋아하고 읽는다는 것을 아이들에게도 좋아하고 읽어달라는 강요가 된다면 그건 더이상 좋은 책읽기가 아닐텐데...
한국의 책쟁이들, 제목만큼 책속에는 책을 너무도 좋아하고 끌어안고 사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가득차다. 그냥 책쟁이들이란 말로는 표현이 안될만큼 감히 언급하기조차 힘든 상태의 서재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다.
단순히 책을 좋아하고 많이 읽는다는 것보다는 다양한 분야에서 자신이 끌어안지 않으면 쓰레기가 될까봐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를 둔 특정분야의 책을 모으기도 하고 우습게 보는 사람도 있는 만화에 빠져 희귀본부터 오래된 초본까지 모으는 마니아도 있다.
어떤 것에 빠져 좋아하고 모으고 하는 것은 마니아의 기본 자세다. 그런면에서 이들은 책 마니아라 칭할수 있는데 주위 시선으로 보면 책에 미쳤다고 표현하는 것이 맞을 것이다.
집속에 책이 일부분 차지하는 것이 아니고 책때문에 집을 넓혀갈정도로 이들의 집은 책으로 꽉차 있어서 사람이 살만한 공간을 제외하곤 전부 책으로 둘러싸여 있는데 그걸 지켜보는 가족으로선 정말 답답한 마음이 클텐데 어떻게 살까 싶지만 노름하는 것도 아니니 참아주자 견디다 그런 상황까지 갔을 것이다.
책이란 것이 살때는 비싼 가격을 주고 사게 되지만 한번 읽고 나면 바로 중고가 되어버리고 헐값이 되어버리는 운명을 가지고 있다. 그러면서도 몇만원짜리 옷을 사는건 두고두고 생각하다 사게 되지만 책은 보고 싶다 생각이 들면 두번 생각도 안하고 사게 될때가 많다.
그런걸 보면서 주위에서는 옷도 잘 안사입으면서 책사는거 보면 참 어쩔수 없다고 말을 한다.
이책속 주인공들의 이야기가 책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겐 신의 경지에 오를정도로 존경스러워 보이겠지만 책을 멀리하는 사람들에겐 그저 정신없는 사람들로 비춰질수도 있고 재미없는 책이 될수도 있다.
한국의 책쟁이들은 어떤 사람들일까 궁금했던 나로서는 조금 모자란 부분이 있지 않나 하는 생각도 든다. 일반사람보다는 교수나 학자등 책을 가까이할수밖에 없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상대적으로 많고 그반면에 목수나 우체국장의 직업을 가진 책쟁이들의 기사는 조금 의외란 듯한 분위기의 글이 실려있다.
누구나 책은 직업의 귀천을 따지지않고 가까이 다가간다. 단지 자신을 좋아해줄 사람이라면 사람도 가리지 않는다. 하지만 요즘 책들의 값은 돈이 없는 사람들에겐 그림의 떡일정도로 비싸다.
책 세권사면 한달 먹을 쌀한포대 살수 있으니 말이다. 그래서 도서관이 있는 거겠지만 국회도서관에서 대학생이 아니라는 이유로 출입을 거부당했다는 목재상 김태석씨의 이야기에서는 정치도 잘 못하는 사람들이 목에 힘주고 도서관도 일반인의 출입을 금했다는 점에서 참 기분이 좋지 않음을 느꼈다. 국회도서관은 그럼 대학생과 국회의원만 들어가는 곳인가? 참 어처구니가 없다.
병영도서관의 사례에서는 식품이나 여러가지 비율에 비해 새발의 피도 되지 않는 병영의 책구입량이 너무도 적어 언젠가는 제대해 다시 사회의 주역으로 나올 젊은이들의 눈과 귀를 닫아두자는 그런 취지가 아닌가 싶어 좀더 개선이 되고 사회에서 남아있는 헌책이나 책의 교환을 통해 병영도서관을 채워주었으면 하는 바램도 들었다.
책속에 가득찬 이야기를 읽으며 나는 어떻게 독서를 해야 할까? 하는 고민을 하게 되었다.
지금처럼 좋아하는 분야, 읽기 쉬운 것만 읽는 잡식성의 독서를 조금 버리고 좀더 신경써서 책을 읽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만든다.
이책은 책을 좋아하는 사람만 읽어야 감동을 받을수 있는 책이다. 그저 궁금하다면 읽어도 좋겠지만 좋아하지 않는 사람에게는 시간낭비가 될수도 있는 책이니 조심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