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명화 속으로 떠나는 따뜻한 마음여행
김선현 지음 / 좋은책만들기 / 2011년 4월
평점 :
절판


심리학, 명화 속으로 떠나는 따뜻한 마음여행

 

 

     미술을 전공하지는 않았지만, 항상 유명화가들의 근사한 명화를 감상하거나  좋은 전시회 소식이 있으면 짬을 내서라도 보려고 노력하는 편이다.  한 살 많은 오빠가  어린 시절부터 그림을 공부하면서 자연스럽게 집안에는 제법 근사한 화집이 많이 있었고,  서양화를 전공하고 아직도 그림을 그리는 일을 계속하고 있다보니 자연스럽게  크고 작은 전시회를 경험할 기회가  많았다.  어린 시절부터  그저 그림책을 보듯이 명화집을  들여다보면  정말 무시무시한 그림부터 편안한 그림,  따뜻한 그림 등이 담겨 있었고,  이후 중학생이 되어  예전에 봤던  명화들을 미술 책에서 다시 만나기도 하고,  화가에 대해 조금씩 알아가면서  예전의 추억에 젖기도 하면서  새롭게 알아가는 재미가 있었다.

 

    미술 치료에 대해서는 그저 어린이 미술 치료 정도만  어린이와 관련된 방송을 보거나,  관련 책을 한 두 권  읽은 정도여서  이 번에 읽은 < 심리학,  명화 속으로 떠나는 따뜻한 마음여행> 이라는 제목을 보는 순간  너무도 내용이 궁금해지는 책이었다.  오빠의 작품활동을 가까이에서  늘 보면서  예술가란  보통 사람들과는 다른 세계를 살고 있는 사람이라는 생각을 하곤 했다.  현실에서는  조금 어눌해 보이기도 하고,  자신이 처한 상황에  빠르게 대처하지 못하는  보면서  안타깝기도 하고, 당연하다는 생각을 하기도 했다.   자신의 처지가 매우 힘든 시기에 나타난 오빠의 그림은  그림만으로  마음을 알 것만 같이 너무도 무겁고 어두운 색채였고,  조금은 무섭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하지만  조금 마음이 편안하고  상황이 나아지면 그림도 훨씬  대하기가 좋아지고,  전보다는 편안하구나 싶은 느낌을 받게 된다.

 

    유명 화가들은 어떻게 자신의 작품을 표현해 왔는가에 대해 가장  호기심이 가는 사람은  개인적으로  별나고 특이한 사람으로  불리는 '달리'나  자신의 귀를 자르고 자화상을 그리고 결국은 자살로 생을 마감한  '고흐',  아픈 자신의 몸과 유산의 경험과 결혼생활의 어려움 등을  작품으로 표현했던 '프리다 칼로' 등이었다.  짧지만  위대한 작품을 남긴  많은 예술가들의 경우  대부분 불안하거나  힘든  삶을 살았던 경우가  많은 것 같다.  이 책에 등장하는  8명의  화가는 1부 '기쁨과 환희를 발견하고 마음의 치유를 얻다'의 고갱, 클림프, 샤갈과 2부 '우울함과  슬픔을 직시하고 상처 입은 마음을  회복하는  로트랙, 뭉크, 그리고 3부 '무의식과 초현실을 관찰하고  치유의 마음을 얻다' 의 고흐, 달리, 마그리트에 대해 다루고 있다.

 

   [심리학, 명화 속으로 떠나는 따뜻한 마음여행]은  너무도 유명한 여덟명의 화가들의 유명작품들이 만들어 지기까지  그들이 어린 시절 겪은 각자의 트라우마를 치유해가는 과정이자,  그들의 그런  힘든 상황으로 인해 지금까지 우리에게 많은 명작을 남길 수 있는 이유가  되기도 했다.  자신의 내면에 담긴 고통과  욕망등을 작품을  그려가는 과정에서 치유되기도 하고, 그들의 작품을 보면서  감상하는 과정에  관람자인  우리에게 치유의 시간이  되기도 하는 것이었다.  화가들의  삶과  작품과  관련된 이야기는  물론  직접  그림을 통한 치유의  과정이 담긴  실례들을 함께 담고 있어  색다른 공부가 되는 시간이자  여러가지 생각하고, 공부할 거리가 많은 책이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jy 2011-05-06 13: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명화를 볼때마다 생각이 드는건 대부분의 작가들이 살아생전에 부귀와영광을 누리기가 힘들다보니 애절하거나 어려운 삶이나 극적인 내면을 승화시킨 내용이 많잖아요~ 아무래도 우울해지는게 별로더라고요--;
굳이 밝고 즐거운 그림만 골라보다보니 주로 꽃그림으로 보게되는거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