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이 돈이 되는 기적 - 글을 써서 먹고산다는 것
이성주 지음 / 생각비행 / 2016년 3월
평점 :
절판


글 써서 먹고살기.
와, 대단하다.
멀리서 ‘작가‘라고 하면 굉장히 멋져 보인다.

그 속살은 실제로 책을 출간해도 인쇄 한 번 하면 천 부 이하를 찍지만 그만큼도 다 팔리지 못한다.
일단 돈은 벌어야겠기에 ‘우라까이‘(대충 베끼지만 표절은 안 걸리게 교묘한 짜깁기) 등을 이용해 필명이나 편집실 이름을 걸고 글을 쓴다.
대충 광고 등으로 가져가는 책이나 회사 안에 있는 잡지 글도 대충 써 내고..
그렇게 허우적거리면서 글을 써댄다.


하다 하다 결국엔 남 석사 논문, 박사 논문까지 대신 써준다.
이것 또한 ‘우라까이‘가 사용된다. 이미 나와있는 논문을 대충 짜깁기.

심지어 유명한 연예인이나 유명인 자서전 같은 글도 대신 써 준다. 몇 번 대화 나누면 사이즈가 나온다고.. 이렇게 책이 나오면 또 연예인이나 유명인은 꼭 자신이 쓴 것 마냥 이 책을 앞세워 강연을 나간다.
그렇게 유명인 책을 대신 써주다가 큰 사건이 터진다.

저자가 다른 사람 이름을 걸고 쓴 책이 계속 뉴스에 오르내렸다고 한다.
오싹한 경험. 콕 집어서 ‘이거 내가 대신 써준 책‘이란 이야기는 하지 않았지만 알 수 있게 교묘하게 글을 썼다. 그것 또한 글쓰기 고수로 가능한 일이겠지.
돈이 먼저냐, 글이 먼저냐.
이 책은 정말 쉽게 쓰인 책이다.
작가의 신세타령이 이렇게 책이 된다. 그 자체가 기적이다.

이 분은 업계에서 ‘책 쓰는 기계‘라고 불린다 한다.
그냥 열흘 안에 뚝딱 책 한 권을 쓰고 일감을 툭! 던지면 톡! 하고 나오는 실력을 갖추었다고 한다.
나오는 글도 그리 나쁜 편은 아니기에 어떤 분은
˝정말 신경 써서 제대로 글을 쓴다면 대단한 작품이 나올 거라 얘기하면서 제대로 된 작품을 쓰라는 이야기도 한다고 한다. 흠....

그것보다 더 쇼킹한 사실.
베스트셀러 안에서도 분명히 누군가 대신 써준 책이 번듯하게 글쓴이만 바꿔 올려져 있다는 사실.
또 뻔뻔한 게 자기가 쓰지도 않았으면서 강연을 다니는 세태.
(젊은 사람들 마음을 몇 번 흔들리고 아프게 하니까 괜찮으십니까?
요즘엔 트렌드 열심히 파시더라고요.)
또한 교수에게 수업을 듣지도 않았지만 ‘우라까이‘만으로 ‘우수 논문‘이 되는 현실.
석사 논문 대신 써주는 건 백만 원, 박사는 삼백만 원. 대신 써준 논문으로 당당히 학위를 따고
석사 박사라면서 가방끈 짧은 사람에게 우월감을 느낄 그 사람들에 대한 역겨움.
심지어 유학 갈 미국 에세이도 한국에서 대신 써주는 사람 따로 번역해주는 사람 따로.
결국 세계적으로 알아주는 사람이 써준 추천서로 아이비리그 정치 대학원에 합격하는 현실.(대학은 예체능이었다고 하니 그 집이 얼마나 돈이 많을지는 알겠다.)
돈이면 다 된다.
글도 돈만 있으면 글 잘 쓰는 사람을 고용해 똑똑하게 만들 수 있다.
글이 돈이 되는 게 아니라 이쯤 되면 돈이 글이 되고 머리가 된다.

(뜬금없지만 요즘 유명한 달가닥 훅들은 돈으로도 참..... 그거 누구 돈이니?)
씁쓸하다.
이 책을 난 왜 읽었을까?
남편에게 물었다. 남편 또한 글을 쓴단다. 물론 보고서지만..
항상 보고서를 작성하고 위 사람에게 회사 상황을 알리는 일을 한다.
대부분 책상에서 일하는 회사 사람들이 이런 일을 하는 게 아닐까?
기자도 돌아다니면서 글감을 찾고 글을 쓰고 아이를 가르치는 선생님 일도 예체능이 아닌 이상 글을 쓰는 데 기초가 되는 지식을 알리는 일을 한다.
노동을 하지 않는다면 대부분 글을 쓴다.

이 책으로 돈을 버는 어떤 일은 옳지 못하다. 그런 일이 ‘돈을 버는 일‘이 되면 안 된다.
(ex.대필)
게다가 듣. 보. 잡. 언론사 기자들은 글을 가지고 돈을 뜯는 깡패다.
심지어 이름 있는 언론사도 마찬가지다.
뜬금없이 학교나 회사에 무슨 상을 주는데 언론사 후원금을 바란다는 이야기를 알게 됐네.
만약 안 한다면 어떤 글로 주먹을 대신할 지..

이 책은 의식 흐름에 따른 책이다.
훌륭한 책이라고는 못하겠다.
그렇지만 솔직한 책이다.
글을 쓰는 것을 업으로 하는 사람이 미사여구를 다 제외하고 쓴 진실한 책이다.
혼자만 힘으로 ‘글을 잘 쓴다‘는 사실만으로 밥 벌어 먹기 위한 사람은 꼭 이 책을 읽어봤으면 좋겠다.
이 민낯을 보고도 글로 돈을 벌고 싶은 사람만이 진정 작가가 되고 싶은 사람이다.

댓글(8)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6-11-22 13:0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졸업논문을 쓰면서 느꼈지만, 현실이 ‘우라까이‘를 하도록 만들게 합니다. 물론, 표절 문제 원인을 현실로 돌리는 건 아닙니다. 넉넉한 시간 내에 글을 쓰지 못하고, 오로지 결과를 위해 글을 쓰는 일이 생기니까 혼자서 직접 글 쓰기 어려워집니다. 논문을 짜깁기 안 하려고 해도 자꾸 제출하라고 압박을 줘요. 거기다가 졸업 후 취업 준비에 매달리면 논문 준비할 여력이 없어요.

책한엄마 2016-11-22 15:16   좋아요 0 | URL
그렇죠.문제는 공부한 사람이 짜깁기를 하는 게 아니라 누군가에게 해야할 일을 돈 주고 맡긴 다는 데 있습니다.그건 비윤리적인 일인데 어둠의 세계에서 뭔가-가격대까지 형성 되어있을 정도로 보편화됐다는 게 정말 놀라웠습니다.이건 범죄잖아요.내가 이제껏 배웠던 걸 어딘가에서 읽고 내재화해서 글로 배출하는 게 아니라 -남에게 돈 주고 글을 맡긴다는 건-아예 자신이 학위를 받을 사람이 아님을 증명한 것과 다름없다고 봅니다.

stella.K 2016-11-22 14:3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그니까요. 책 안 읽는다, 안 읽는다 하면 글 써서 돈 버는 게 가능할까 싶은데도
버는 사람이 있잖아요. 제 주위엔 이런 책 읽는 사람을 못 받는데...
정말 이 바닥의 생리를 잘 모르겠더라구요.
예전엔 작가가 글 쓰는 기계는 아니었는데 어느새 그렇게도 불리니...ㅉ

책한엄마 2016-11-22 15:19   좋아요 1 | URL
흐흐-제목에 혹!!해서 읽어봤어요.생각보다 너무나 솔직한 이야기라 많은 충격을 받았습니다.
이 분 딴지 일보 안에서 글을 쓰면서 유명해지신 분 같아요.
가볍게 읽을 수 있는 역사서나 전쟁사에 대해 많이 쓰셨네요.^^

stella.K 2016-11-22 15:44   좋아요 1 | URL
앗, 이 책 목차 보니까 무조건 글 써서 돈 벌라는
자기계발서 같지마는 않은 것 같습니다.
확실히 까발리는 그런 책 같은데 나중에 함 봐야겠습니다.^^

책한엄마 2016-11-22 21:06   좋아요 0 | URL
네!!진솔한 면에서는 만점 주고 싶은 책입니다.^^
이렇게 솔직하게 써도 되는지, 참 생각이 많아지는 책이에요.
점수가 낮았던 이유는 너무 쉽게 책이 만들어진 것 같은 질투어린 심뽀(?)입니다.ㅎ

yureka01 2016-11-22 16:4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요즘 자소서 써주는 거 돈되나 봅니다.ㅎㅎㅎㅎ
자기소개를 무슨 소설처럼 스펙타클하게 쓴다라는 소문이..

책한엄마 2016-11-22 21:13   좋아요 0 | URL
오호!!자소서 좋네요.
소설같은 스펙타클함이라..


나는 압정같은 아이였다..그래서 나는 압구정에서 태어나 청아한 아이라 청담동 음식 아니면 입맛에 맞지 아니하였다.아빠는 대학 내에 있는 생명을 다루는 일을 하시었다.그래서 항상 수술로 스탠바이하시어 (자소서 안에 아버지 직업을 쓰지 말라는 규정을 준수합니다.)나 혼자 열심히 책을 읽어 공부를 하였다.

뭐..이런-긁적 긁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