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을 생각한다
김용철 지음 / 사회평론 / 201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0년 쓴 글입니다.



참 많은 생각이 오가는 책이다.

처음에는 불편했고
중간에는 난해해졌으며
마지막에는 뭔가 씁쓸해지는..
유쾌하지 않지만 한 번쯤은 생각해봐야하는 문제들이다.

사실 엄밀히 따져 말아면 그의 말들은 자신에 대한 핑계로 점철 되어 있고 또 자신에 대해 극도로 우호적으로 쓴 글에 매우 불편함을 금할 수 없다.
카톨릭, 종교의 힘을 뒤로하여 양심선언을 했다는 것이 못내 부끄러워진다.
진정한 자기 참회가 있은 후에 남을 비난했으면 좋겠다.
그러나 처음부터 끝까지..
˝나는 일을 잘 해냈고 상대방이 나의 약속을 이행하지 못해 매우 불쾌해 있었으며
박봉 검사월급으로 힘겹게 살아가다 인간답게 돈 많이 주던 맘에 안 맞은 직장에서..
어떤 일을 계기로 나를 내치자 이번에는 제대로 뒤집으려고 내 몸을 던져버린다.˝
라는 것이 그의 마무리였다.

물론 자신의 인격과 모든 것을 버리고 양심선언을 한 것은 멋있을 수도 있는 일이다.

그러나 그는 그들을 통해 온갖 부귀를 다 누리고 온갖 잘난척을 다 한 후에 이렇게 비밀스런 일들을 까발리는게
과연 그가 부르짖는 ‘정의‘로운 일인가 생각해본다.

차라리 나는 돈을 갖고 싶었고 돈을 갖아 행복했으나..
그 시간을 후회한다.
또 참회하며 회개한다..라면서 스스로를 낮추는 글을 썼다면..내가 이렇도록 불편해 했을까 생각해본다.

아이러니하게도 그를 이해하는 것은 어느정도 그의 직업병을 이해하는 것과 일맥상 통해있다.

우리 아버지는 검찰은 아니지만 거의 똑같은 일을 맡고 계신다.
(아빠 회사는 정부 부처 비리 등을 검찰에게 넘겨주는 권한을 갖고 있다.)
우리 아빠가 하는 일을 쭈욱 보면 자신이 옳다고..
악법도 옳은 것이라는 강한 잣대가 있어야 비로소 성과가 나오는 직업이다.
내가 틀렸다고 생각하는 순간..내가 무너지는 것이 아니라 그 조직의 잣대가 무너지는 순간이기 때문이다.

아마도 이 분은 그 직업정신이 아직도 녹아있는 것은 아닐까...조심스럽게 생각해본다.
이제는 변호사 빵집을 하시는 분이라 이젠 좀 유연하게 자조적인 글을 써도 될텐데 말이다.

세상에 공짜는 없다.
세상엔 많은 선택들이 있고 또 그 선택에 따라 자신의 위치가 달라진다.

비록 이렇게 많은 비판적인 글을 썼음에도 나는 김용철 변호사를 응원한다.(혹시 이번에 형사소송법 책 냈나?동명이인?)
왜냐하면 이런 용기있는 행동이 우리 사회의 균형을 이뤄주는데 한 획을 그을 수 있기 때문이다.
짝짝짝~~~~
세상에 더 많은 양심들이 살아있기를 바라며..
글을 맺는다.

우리 사회에서는 로비 잘 하는 사람, 다양한 인맥을 잘 관리하면서 권력을 요리하는 사람을 ‘인간성‘이 좋다고 보는 경우가 흔하다. 글쎄, 그게 인간성이 좋은 걸까. 나는 그렇게 보지 않는다. 이런 사람들은 대체로 자신이 속한 집단 안에서 좋은 평판을 누린다. 그러나 자신이 속한 집단 구성원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는 게 꼭 옳은 일은 아니다. 조직의 이익과 사회 정의가 꼭 일치하는 것은 아니라는 뜻이다. 조금 극단적인 사례지만, 범죄 조직 안에서 동료들에게 인간성 좋다는 말을 듣는 자가 있다면 과연 그의 인간성을 좋다고 할 수 있을까. 그렇지 않다. 굳이 범죄조직이 아니더라도, 자신이 속한 집단의 이익이 꼭 정의에 부합하는 것은 아니다. 우리 사회에서는 소속 집단에서 인정받는 것만을 중시하는 분위기 탓에 옳지 않은 일을 하더라도 동료 및 선후배들에게 좋은 평가만 받으면 된다고 빋는 이들이 많다. 인맥을 통해 중요한 결정이 내려지는 경우가 많은 까닭에, 자신이 속한 인맥 그물에서 떨어져나갈까봐 두려워하는 것이다. 주위 사람들에게 한번 따돌림 당하면 회복하기 힘든 피해를 겪는 것도 이유다. 그래서 소속 집단에서 인정받기 위해 저지른 사회적 범죄가 멋진 무용담으로 통하는 경우가 많다. 상사나 동료가 이런 행동을 칭찬하고 격려하기도 한다. 조직을 위해 위험을 감수했다는 게다. 나는 삼성에서 이런 경우를 많이 봤다. 진실로 인간성이 좋은 사람은, 욕을 먹지 않는 사람이 아니다. 옳은 일을 하는 이들에게서는 칭찬을 듣고, 나쁜 짓을 하는 이들에게서는 욕을 먹는 사람이 대개는 옳은 길을 걷는 사람이다. 그리고 "인간성이 좋다."는 평가는 이런 이들에게 돌아가야 마땅하다. 하지만 우리 사회에서는 나쁜 짓을 하는 사람에게조차 칭찬 듣는 사람을 오히려 높이 치는 분위기가 짙다. 이런 사람들이 ‘의리‘가 있다거나, ‘보스‘기질이 있다는 이야기를 듣는 경우가 흔하다. 이런 부류를 가리켜 ‘남자답다‘거나 ‘통이 크다‘고 하는 이들도 있다. ‘쩨쩨하지 않다‘거나 ‘대범하다‘고 평가하기도 한다. 그런데 이런 분위기 속에서 비리에 무감각한 문화가 생겨났다. 인간적으로 친하기만 하면, 무슨 짓이건 허용된다는 분위기가 생기는 것이다. 인간적인 친분이 깨지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고, 잘못을 지적하는 게 진짜 용기다. 그리고 이런 용기를 지닌 이들을 격려하는 분위기가 확산돼야 비리도 줄어든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커피소년 2016-12-07 10:08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그러나 그는 그들을 통해 온갖 부귀를 다 누리고 온갖 잘난척을 다 한 후에 이렇게 비밀스런 일들을 까발리는게
과연 그가 부르짖는 ‘정의‘로운 일인가 생각해본다.

차라리 나는 돈을 갖고 싶었고 돈을 갖아 행복했으나..
그 시간을 후회한다.
또 참회하며 회개한다..라면서 스스로를 낮추는 글을 썼다면..내가 이렇도록 불편해 했을까 생각해본다.“



중앙정보부장... 김재규가 생각나는 글입니다...

기득권 집단과 어울려놓고서 갑작스러운 양심선언을 한다는 것...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요...

그대로 있었다면 많은 부귀영화를 누렸을 테고... 그렇지 않더라고 해도 양심선언을 통해 부귀영화와 양심 모두 챙길 수 있는 점이 있겠습니다.

그래도 그들을 통해 악한 집단의 실체를 알아가는 것에 대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기에 마지막에 김용철 변호사를 응원한 것이겠지요.

군사정권, 삼성.. 이런 더럽고 추잡한 곳에는 오로지 정의만을 외치는 사람들에게는 구역질나고 힘든 곳일 것입니다...

타락한 사람들이 아니면 들을 수 없는 이야기들이지요...

그렇다면.. 자본가... 자본가의 끄나풀.. 누구의 잘못이 큰 것인가..

수요가 없다면 공급이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기준에 의하면 자본가를 욕할지도 모르겠습니다..

수요는 자본가들의 악행일 것이고, 공급은 끄나풀일 테니까요.

이런 문제는 답을 내리기 어려운 참으로 애매한 문제 같습니다..

무엇이 옳다 나쁘다..라고 정하기가 어렵겠더군요..

중요한 것은 바로 잡을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을 때 저 자신이 그러한 행동을 실천으로 옮길 수 있는지에 대한 생각입니다..

어떠한 집단에 속해있을 때 그 집단의 전체적인 이데올로기에 반대할 수 있다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기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중요한 결정이 인맥에 좌우되는 비율이 높을수록 결국 재벌을 비롯한 기득권층에게 유리해진다. 이들은 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인맥에 접근하기가 쉽다. 반면, 서민들은 아무리 친화력이 뛰어나도 이런 인맥에 다가가기가 어렵다. 인맥을 활용해 이익을 얻는 일은 인간적인 친화력의 문제가 아니라는 뜻이다. 돈이 많거나, 고위 공직을 지냈거나, 좋은 학교를 나온 사람일수록 인맥 중심 사회에서 유리하다.



극도로 내성적인 성격이라서 사람을 잘 사귀지 못 하는 편인 이건희, 김인주 등이 광범위한 로비를 통해 한국 사회를 제멋대로 흔들었던 것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사실이다. 보통 사람이 아무리 친화력이 좋다한들, 돈으로 인맥을 산 자들을 당해낼 수는 없는 일이다.




page 413






아주 좋은 부분을 발췌하신 것 같습니다.




“ 우리 사회에서는 로비 잘 하는 사람, 다양한 인맥을 잘 관리하면서 권력을 요리하는 사람을 ‘인간성‘이 좋다고 보는 경우가 흔하다. 글쎄, 그게 인간성이 좋은 걸까. 나는 그렇게 보지 않는다. 이런 사람들은 대체로 자신이 속한 집단 안에서 좋은 평판을 누린다. 그러나 자신이 속한 집단 구성원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는 게 꼭 옳은 일은 아니다. 조직의 이익과 사회 정의가 꼭 일치하는 것은 아니라는 뜻이다. 조금 극단적인 사례지만, 범죄 조직 안에서 동료들에게 인간성 좋다는 말을 듣는 자가 있다면 과연 그의 인간성을 좋다고 할 수 있을까. 그렇지 않다. 굳이 범죄조직이 아니더라도, 자신이 속한 집단의 이익이 꼭 정의에 부합하는 것은 아니다. ”




쉬운 예로 학교 내 폭력 집단은 본인들끼리는 인간성이 좋다면서 서로 칭찬을 하는 경우가 있겠지요. 그런데 그들에 의해 폭력의 피해를 입는 아이들은 절대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 우리 사회에서는 소속 집단에서 인정받는 것만을 중시하는 분위기 탓에 옳지 않은 일을 하더라도 동료 및 선후배들에게 좋은 평가만 받으면 된다고 빋는 이들이 많다. 인맥을 통해 중요한 결정이 내려지는 경우가 많은 까닭에, 자신이 속한 인맥 그물에서 떨어져나갈까봐 두려워하는 것이다. 주위 사람들에게 한번 따돌림 당하면 회복하기 힘든 피해를 겪는 것도 이유다. 그래서 소속 집단에서 인정받기 위해 저지른 사회적 범죄가 멋진 무용담으로 통하는 경우가 많다. 상사나 동료가 이런 행동을 칭찬하고 격려하기도 한다. 조직을 위해 위험을 감수했다는 게다. 나는 삼성에서 이런 경우를 많이 봤다. ”




집단 이기주의가 생길 수밖에 없는 이유지요.. 문제라고 생각하더라도.. 또.. 이런 문제에 대해서 저 자신도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것 때문에 쉽게 바꾸지 못 하는 것도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제가 지향하는 집단 이기주의는 또 다른 이기주의겠지요. 악한 집단에 들어가 악행을 저지르면서 사리사욕을 채우기 위함은 아니라는 점입니다. 악한 집단을 배제하고서라도 제대로 된 사회의 성찰을 해내기 위함의 집단 이기주의라는 점입니다...





“진실로 인간성이 좋은 사람은, 욕을 먹지 않는 사람이 아니다. 옳은 일을 하는 이들에게서는 칭찬을 듣고, 나쁜 짓을 하는 이들에게서는 욕을 먹는 사람이 대개는 옳은 길을 걷는 사람이다. 그리고 ˝인간성이 좋다.˝는 평가는 이런 이들에게 돌아가야 마땅하다. 하지만 우리 사회에서는 나쁜 짓을 하는 사람에게조차 칭찬 듣는 사람을 오히려 높이 치는 분위기가 짙다. 이런 사람들이 ‘의리‘가 있다거나, ‘보스‘기질이 있다는 이야기를 듣는 경우가 흔하다. 이런 부류를 가리켜 ‘남자답다‘거나 ‘통이 크다‘고 하는 이들도 있다. ‘쩨쩨하지 않다‘거나 ‘대범하다‘고 평가하기도 한다. 그런데 이런 분위기 속에서 비리에 무감각한 문화가 생겨났다. 인간적으로 친하기만 하면, 무슨 짓이건 허용된다는 분위기가 생기는 것이다. 인간적인 친분이 깨지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고, 잘못을 지적하는 게 진짜 용기다. 그리고 이런 용기를 지닌 이들을 격려하는 분위기가 확산돼야 비리도 줄어든다. ”



나쁜 짓을 하더라도.. 집단 내의 이득을 가져오는 사람이라면 칭찬을 받게 되어 있지요..

이것은 어딜 가나 똑같을 것 같습니다..

사회 전체가 집단 이기주의에 물들여있지요..

그 행위가 자신이 속한 집단을 위한 선행이라고 하지만...

선행과 악행의 구분을 떠나서... 사회를 병들게 하지요...

그래서 인간관계를 잘 한다는 것이 실제로 인간관계를 잘 하는 것이 아니라고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더불어 제 자신은 과연 부조리한 삶의 울타리 안에서 악행으로부터 자유로웠는지에 대해 반성하는 계기가 된 것 같습니다.

여러 생각을 할 수 있는 좋은 글 포스팅 해 준 꿀꿀이님에게 감사하다는 말을 전하고 싶습니다.


책한엄마 2016-12-08 07:53   좋아요 1 | URL
본문보다 더 본문같은 깊이 있는 답글 감사합니다.

이 당시 전 진보적인 편이 아니었습니다.
그렇기에 굉장히 보수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습니다.
책이라는 매체가 절 변화시켰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지요.
당시 제가 어떤 생각을 했는지 보는 표본으로 글쓰기도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항상 김영성님 글 반복해 읽어보며 제 생각을 다시 정리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종이달 2022-06-09 01: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