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드 Googled - 우리가 알던 세상의 종말
켄 올레타 지음, 김우열 옮김 / 타임비즈 / 2010년 2월
평점 :
절판


먼저, 구글하면 딱 오르는 이미지는 기본적으로 '검색엔진'과 젊은 IT기업답게 세련되고 회사가 집처럼 안락한 분위기에서 다과와 여가를 언제든 즐기며 일하는 최고의 IT 직장으로 인식되어 있다. 그런데, 이것이 틀린 말은 아니다. 실제로 그들은 그렇게 지금도 일하고 있으니까.. 하지만 이렇게만 인식하고 있다면 오산이다. 이미 구글은 지난 10년간 전 세계의 모든 정보를 긁어모으며 우리에게 구글을 강요하고 있다. 그것이 바로 '구글드'(Googled)다.

우선, 저 강렬한 빨간색 표지부터 주목을 끄는 책.. 그것도 구글드(Googled)라는 단어들이 블랙홀처럼 빨려들어가는 저 사선들로 인해 이것이 바로 어떤 책인가를 말해주는듯 하다. 그렇다 바로 구글드(Googled).. 즉, 구글되다, 구글당하다 혹은 포괄적으로 '구글이 만들어낸 가공할 패러다임'을 의미하는 용어이다. 작금의 고도화된 산업문명 아니 인터넷 문명속에서 구글이 의미하는 바는 실로 크지 않을 수 없다. 

물론, 인터넷을 익숙하게 사용하는 사람치고 구글을 모르는이가 있을까.. 아니 인터넷을 전사적으로 사용하는 이들에게 구글은 이미 생활의 일부가 되었다. 더군다나 적어도 개인적으로 블로그를 하는 이들에게 어떤 포스팅을 준비하는 단계에서 찾게되는 용어나 사건, 인물등 구글을 안쓰고서는 포스팅을 못할 정도로 검색은 생활화되고 최고의 검색률을 자랑하는 구글은 그렇게 검색의 제왕으로 군림한지 꽤 되었다.

그런데, 구글은 검색만 해주는 사이트일까? 기존의 포털과는 다르게 군더더기 없이 단순하고 깔끔한 검색바만이 존재하는 구글의 메인화면. 맞다 '구글은 검색엔진이다.' 하지만 검색으로만 이야기하면 구글을 모르는 것이다. 그래서 여기 '구글드'라는 책을 통해서 단순 검색엔진으로서 구글뿐만이 아니라 구글의 탄생부터 지금까지 모든것을 다루었다. 특히 저자이자 뉴욕 수석 칼럼니스트 '켄 올레타'가 3년여에 걸친 취재와 인터뷰를 통해서 생생히 담아낸 일종의 구글 보고서다. 과연 어떤 내용일까 간단히 정리해 보면 이렇다.

원서에는 그렇게 구성이 안돼 있다는데.. 한국어판으로 나오면서 각 챕터를 나누고 각 장마다 큰제목과 소제목로 새롭게 구성해서 읽는이로 하여금 도움을 주었다. 이야기의 서막은 괴상한 놈들이 나타났다면서 구글의 탄생을 이야기한다. 이른바 어린시절 몬테소리 키드들의 반란부터 두각을 나타낸 구글의 창립자 '래리 페이지' '세르게이 브린'의 젊은 시절 이야기 둘은 스탠퍼드 공과 대학원 동기로 만나 1998년 구글의 창업의 과정까지 시작은 미약했지만 뛰어난 실력답게 이른바 '검색의 알고리즘'을 기획하며 인터넷의 통로를 만들었다. 

그러면서 단순 검색의 시스템에서 '사용자 데이터가 곧 돈이자 광고'라는 개념속에서 애드워즈와 애드센스가 탄생되고 경영CEO로 '에릭 슈미트' 영입의 자세한 뒷담화까지.. 2000년 전까지는 그래도 구글의 시작은 찻잔속의 작은 태풍이었다. 하지만 21세기 들어서면서 구글의 혁명과 점령의 역사를 말한다. 이른바 구글 로켓은 비상을 준비하며 전략과 전술 그리고 엔지니어링으로 대표되는 기술력으로 승부를 건다. 그렇게 이룬 제국은 2003년 순진함과 오만의 경계로 귀결시켜 커지고는 있지만 아직은 두렵지는 않는 회사로 인식된다.

하지만 2004년 기업공개로 인해서 졸지에 백만장자된 된 구글직원들부터 구글은 인터넷의 아이콘이자 대폭발을 예고하고 있는 잠재적 시한폭탄으로 구글의 음모와 계획이 만천하에 드러냈다고 아이러니하게 말한다. 하지만 구글은 모든것을 구식의 산업 구분안에 가두지 않고 심지어 세상의 모든 책을 담으려는 노력과 그속에서 저작권 분쟁과 재산권 다툼까지.. 그들은 새로운 악의 제국으로 일어선 것이다. 

그러면서 2006년부터는 구글과 거대집단들의 결투로 집결되며 기존의 야후, MS, 애플사들 그들과의 시장경쟁이 가열차게 펼쳐진다. 결국 2006년 구글은 세계 최고의 동영상 사이트 '유투브'를 인수하고 이듬해 광고계의 큰손 '더블클릭'도 인수하며 몸짓은 거대해졌고 이렇게 이른바 '멀티 브로커'이자 개인 정보를 장악한 '빅 브라더'라는 칭호로 대변되기도 한다. 또 2007년부터 휴대기기에도 손을 되며 무료 모바일OS '안드로이드'의 탄생까지 그들은 인터넷의 월마트가 되고 있었다.

이렇게 기존 세력확장으로 키운 구글 제국은 2008년부터 더이상의 미디어 적수가 없을 정도였고 각종 신문, 방송, 케이블들은 구글의 확장에 푸념만 할뿐 새로운 패러다임에 착수나 계획의 모색이 없었다고 지적한다. 그러면서 이제부터는 구글이 여는 새로운 세상이 도래할 것이라며.. 구글처럼 물결을 만들 수 없다면 그 물결에 올라타는 방법이라도 찾으라 조언한다. 즉, 이제는 구글이 만들고 구글자만 붙으면 IT의 신화 아니 아이콘이 되버린 세상..

구글맵, 구글어스, 구글북스, 구글폰, 구글뉴스등 2014년 아마존을 병합을 예고하는 구글존까지.. 특히 매일 사용하는 '구글서치'로 이미 우리는 구글드되고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 이렇게 그들의 시작은 미약했지만 이제는 12년이 지난 세월동안 IT업계의 황제로 등극하며 구글은 바로 인터넷이고 그런 "인터넷은 정보를 제공하고 구글은 정보를 가져다준다"는 말처럼 구글은 이미 우리안에 너무 깊숙이 들어와 있다. 

이렇게 디지털 패러다임의 혁신이 아닌 혁명으로 불리는 구글.. 미국 5대 메이저 방송사를 모두 합친 것만큼 커진 구글.. 그런 인터넷 제국의 점령은 아직도 진행되고 있으며 인터넷이 사라지지 않는 한 구글의 역사는 계속되며 우리의 일상 생활까지 점차 파고들 것이다. 그것이 바로 우리는 '구글 당하고 있는 세상'이라 말하는 구글드(Googled)..

그래서 이 책은 구글을 처음 알고자 하는 분, 아니 좀더 알고자 하는 분들.. 아니면 작금의 인터넷 문명속에서 구글이 차지하는 위치와 발전의 양태들, 그리고 구글과 함께 디지털 정글을 헤매는 굵직굵직한 IT 기업들의 몸부림속의 혁명적 패러다임까지.. 그래서, 어찌보면 디지털 기업의 CEO나 간부급들이 옆에두고 볼 책처럼 여겨지도 한다. 하지만 사원일지라도 아니 인터넷, IT로 소위 밥벌이 하는 모든 분들에게 감히 일독을 권하는 바이다.

물론, 책 자체가 기술서, 실용서, 이론서이다 보니 좀 하드하고 외국 인물들 이름이 난무한 가운데 각종 사례와 숫자 예시들이 쏙쏙 안들오기도 하지만 500페이지 넘는 책을 끝까지 읽는다면 느끼는 바가 있을 것이다. 그것은 지금 고도화된 인터넷 시대에 구글은 화두가 된지 이미 오래됐고, 이제는 구글을 제대로 알지 못하면 도태할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책을 감히 추천하는 바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