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건 부두로 가는 길 - 조지 오웰 르포르타주
조지 오웰 지음, 이한중 옮김 / 한겨레출판 / 2010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비판적 개인'의 대명사인 조지 오웰(George Orwell, 1903~1950) 의 대표작하면 우리에게 잘 알려진 두 작품 <동물농장><1984>가 있다. 이중 동물농장은 학창시절에 아름아름 읽었던 기억과 <1984>는 작년말 문학동네판으로 읽고 또한 영화까지 접하며 전체주의에 맞선 한 인간의 상실과 그 상실속에서 '억압과 통제의 진수'를 맛본 작품이었다. 그런데, 그의 생애를 조망하면서 알게 된 작품중 그가 30대 시절에 썼다던 <위건 부두로 가는 길(The Road to Wigan Pier)>..

이 작품을 읽고 난 느낌은 책 앞에 띄지의 홍보처럼 '오웰의 사상을 이해가 위해 반드시 읽어야 할 책!'이라는 느낌에 완전 동화되고 말았다. 즉, 이 작품이 있었기에 후에 <동물농장>과 <1984>가 나올 수 밖에 없는 필연적 과정이었던 것이다. 과연 어떤 내용의 책이었을까.. 한마디로 줄이면 조지 오웰의 눈으로 바라본 가열찬 영국의 근현대사의 현주소를 밝힌 보고서로 르포르타주(Reportage)다.

즉, 당시 전세계가 공황기를 겪던 시절 1930년대 영국의 노동계급에 대한 처참한 현실을 고스란히 담아낸 영국 북부 탄광 지대에서 겪은 생생한 르포다. 그 르포의 현장은 조지 오웰이 진보단체이자 독서클럽인 '레프트 북클럽'으로부터 북부 노동자들의 실상을 취재하여 책을 써달라는 제의로부터 시작된 작업이었다. 그러면서 그는 몇달여 걸쳐 북부 산업 지대인 일대인 탄광촌으로 몸소 뛰어든다.

이 내용이 책 전체 1부에 해당되는 것으로 브루커 부부의 하숙집에서 칩거하는 순간부터 이른바 우리가 지금은 희화된 표현중 하나인 막장.. 사실, 막장은 바로 탄광의 갱도 끝자락 현장으로 사실 광부들에게는 생과사를 넘나드는 곳이다. 이런 막장에서 그들과 함께한 생생한 체험을 통한 목숨의 위태로움까지 느끼며.. 이런 작업을 통한 광부들의 처절하고 소위 쓰레기 더미에 묻혔다고도 표현한 그들의 삶이 적나라하게 펼쳐진다. 이것은 글로 표현보다 직접 읽으면 오롯이 전달된다.

그런데, 이것이 그냥 작가의 느낌으로 적는 것이 아니라 실제 그가 조사하고 근거를 토대로 자료를 제시하며 그들의 실업문제부터 주택문제, 실업수당, 먹거리문제까지 당시 영국의 사회 현상과 복지에 대한 메스를 제대로 가하고 있다. 그러면서 이런 노동자 계급의 실태 보고를 통해서 그들의 밑바닥 생활이야말로 우리가 간과해서는 안되는 풍경중 하나로 뇌리에 깊숙이 박힌 것이다.

이런 작가주의 정신으로 탄생된 생생한 탄광지대 노동자들의 실상과 실태는 문학적인 감동과 더불어 역사학계에서도 영국의 1930년대 역사 자료로도 자주 인용되고 있다고 하니.. 그래서 이 르포의 생생한 현장을 바라본 어느 한 역사학자는 '실업을 다룬 세미다큐멘터리의 위대한 고전'이라 평가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생생한 르포에 이어서 펼쳐진 2부는 좀 다른 느낌이다. 르포는 아니고 바로 조지 오웰 바로 자신의 이야기를 담아냈다. 즉, 자신의 자서전적 보고인데.. 그의 어린시절부터 인도에서 제국의 관료생활과 이 책을 쓰는 순간까지 그의 생각과 사상이 그대로 적혔있다. 그래도 당시 하급 상류 중산층으로 좀 부족했지만 평이하게 살았고 특히 장학금을 받아 들어간 사립학교 최고 명문인 이튼 스쿨에서 익힌 편견(일종의 유색인종의 차별과 '아래것들은 냄새가 나..' 같은 평민들과 놀면 안된다)이 얼마나 무서운 것인가와..

이후 인도 식민지에 5년간 경찰 관료로 지내면서 제국주의에 앞장서며 그가 주장해온 '압제의 현장'에서 느낀 참회의 기록을 생생히 전한다. 그리고 그곳을 박차고 나와 프랑스와 영국을 돌며 이번에는 탄광지대의 몸소 체험이 아닌 부랑자들의 삶속으로 직접 뛰어들며 그 현장을 목도한다. 이러면서 그는 학창시절부터 식민지 통치하에 '압제의 현장'과 부랑자들 속에서 또 탄광지대의 생생한 노동자들의 삶속에서 그가 느끼고 해온 일련의 작업들이 그의 사상으로 집결되며 포텐을 터뜨린다.

바로 소위 노동 계급, 이데올로기에 대한 비판이자 의견 개진이다. 그래서 이후에 나오는 내용들은 사실 정치 이념서적 성격을 많이 띄며 각종 이데올로기의 현장을 보는듯 하다. 계속 주야장천 말해온 사회주의, 파시즘, 프롤레타리아, 부르주아, 마르크스주의, 자본주의까지.. 여러 동료 선후배 작가들의 책과 잡지를 통해서 설명도 하고 비교도 하는데 사실 모호한 부분도 있고 일견 수긍하는 부분도 있다.

그러면서 그는 이런 '건너기 힘든 계급의 강'이라는 소제를 통해서 이데올르기를 말한다. 그러면서 왜 사회주의가 지지 받지 못하는가에 대한 물음부터 사회주의는 어떻게 파시즘을 키웠는가와 마지막 우리가 해야 할일의 제시까지.. 즉, 자신은 '민주적 사회주의'를 지지하지만 사회주의자는 지지하지 않는다는 모순속에 펼쳐진 사상은 스스로 좌파 지식인임을 인정하면서도 좌우의 이념을 넘어서 사회주의, 자본주의와 파시즘과 도래할 기계 문명의 산업화를 전체주의의 맥락으로 보고 있다.

결국 이런 사상은 파시즘이 지배하는 전체주의적 통제와 불신의 미래를 보며 후에 <동물농장><1984>같은 디스토피아적 작품이 나온 것이다. 이렇게 본 2부에서는 그의 사상적 견해를 생생히 엿보며 당시 이데올로기의 현주소를 밝히고 있다. 물론 이런 사상적 견해의 밑바탕은 학창시절에 잘못 배운 편견과 이중성의 잣대속에 식민지 관료로 있던 '압제의 현장'에 느낀 참회의 기록.. 그리고 1부에서 밝힌 생생한 북부 산업 단지의 탄광촌의 체험이 오롯이 전달된 작업이자 르포라는 점이다.

그래서 이 작품이 작가주의적 입장을 제대로 고수하며 어찌보면 가장 '인간다움'과 '상식적인 양식'이라는 큰 틀속에서 전개한 이야기는 작금의 우리 현실과 무관하지 않음을 많이 느낄 수 있는 시간이었다. 역시 한 사람의 대문호가 주는 영향은 이렇게 크니.. 조지오웰의 대표적 두 작품 <동물농장>과 <1984>를 아직 접하지 못하거나 접했던 분들도 반드시 이 작품의 정독을 꼭 권하는 바이다.

물론 조지 오웰의 사상과 르포가 담긴 책이라 하드할 수도 있지만.. 조지 오웰식 위트가 간간히 숨어있다. 특히 176p에서 난 뿜었다. ㅋ 물론, 중간 중간마다 당시 시대상을 반영하는 탄광촌등 흑백컷의 사진들이 수록돼 있고 그의 학창시절과 관료시절의 모습도 담겨져 있으니 소장가치로도 좋은? 뒷면에 이런 글이 있다. "일반인들은 '부르주아 이데올로기'나 '프롤레타리아 연대' 같은 말을 들으면 영감을 받는게 아니라 정나미가 떨어질 뿐이다." 하지만 이 책을 읽고나면 정나미가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정이 스며들지도 모를 일이다. 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