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년의 금서
김진명 지음 / 새움 / 2009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처음 책 제목을 보고서 얼마나 오래되고 위험한 책이길래 '천년의 금서(禁書)'였을까.. 이런 의문과 화두를 던지며 써내려간 김진명 작가의 이번 작품은 바로 우리가 살고 있는 대한민국이라는 나라, 한국인이 살고 있는 한국, 즉 우리나라 국호인 한이 어디서 왔을까.. 의문으로 시작된 그 韓의 기원이자 근원을 찾아가는 길라잡이 같은 책이다.

물론, 그의 필력은 오래전 밀리언 셀러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이후 10여편의 작품들을 통해서도 알다싶이.. 의문에 쌓인 사건들의 추리기법등을 통한 빠른 전개와 그속에서 펼쳐지는 국가간의 정보와 외교전쟁을 통해서 한민족의 자긍심을 고취시키는 이른바 민족주의 성향의 작품이 다수 많은 것이 사실이다. 본 작품도 그런 얼개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고, 도리어 그 얼개가 만개한 느낌을 받는다. 그래서 본 책의 스토리를 간략하게 요약해 보면 이렇다.

어느 한 전도 유망한 물리학자 젊은 여교수가 의문의 죽음에 쌓이고, 자살로 종결되던 사건이 그녀의 오랜 지기였던 천재 물리학 연구원 이정서라는 남자로 인해 타살로 좁혀진다. 이렇게 그녀의 죽음을 둘러싼 사건을 밝혀가는 과정속에 여교수의 또 다른 친구 젊은 역사학자 한은원 교수가 등장하며.. 韓의 근원을 찾는 여정이 시작된다. 바로 이 한교수가 한의 근원을 찾기 위해서 중국으로 갔고 그 중국에서 홀연단신 오지를 돌며 사료를 찾는 여정속에 중국 정부의 동북공정 프로젝트라는 큰 파도에 부딪히며 위험에 빠지는데.. 이미 이정서는 한교수를 찾아내기 위해서 그도 韓의 근원을 찾아간 한교수처럼 전철을 밟는 여정속에 동참하게 된다.

그러면서 사건을 추적하는 과정속에서 발견된 후한시대 대표학자 왕부(王符)가 <지명원류고>에 지적했다는 "나는 오성(五星)의 집결을 관측한 기록을 보고 동국(東國)이 이미 큰 나라를 이루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로부터 천 년 후 이들의 자손이 주(周)를 찾았으니 그 내력이 중화(中華)에 못지 않으리라. 놀라운 일이로다. 놀라운 일이로다." 이 문구로 사건의 단초는 제공되었으니.. 바로 저 문구에서 동국(東國)이 바로 우리나라 고대사에 고조선만 있는게 아니라 그전에 이미 한 나라가 있어 중국의 주나라를 방문했다는 것이다.

즉, 사건전개의 열쇠는 저 왕부라는 후한시대의 학자가 쓴 사료들인데.. 그중 <씨성본결>은 수많은 성씨들의 근원을 적은 책으로 이것을 찾는 과정은 결국 밝혀지지 않고 중국 정부에 의해서 소실돼 없어진 것으로 그렸으니 그들의 역사공정에 대한 이면을 숨기려는 작업으로 간주된다. 그리고, 왕부의 후손이 썼다는 <유한집>에 왕부의 죽음과 관련된 내용과 형부 감찰관 사건의 전모를 또한 밝히며 읽은이로 하여금 흥미를 배가시킨다. 이런 사료 추적의 과정들은 왕부의 고향인 임경에서 이루어지며 남자 주인공 이정서를 통해서 마치 첩보물을 보듯 전개된다.

이런 韓의 근원의 단초를 제공한 왕부의 사료를 찾는 과정은 이미 중국 정부에서는 탐탁치 않았으니 이정서는 위험에 빠지고.. 한교수 또한 그런 위험을 이미 알고서 위장 출국의 수법으로 중국에서 숨어 지내며 사료 찾기를 하고 있었던 것이다. 과연 둘은 극적으로 만나며 그들의 마수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만났다면 이후 일은 어떻게 진행되었을까.. 그것은 책을 통해서 만나보시기 바란다. 본 책은 이렇게 한권에 담다보니 스피드한 전개로 읽는 속도감과 흡인력은 좋은데 전개 과정에 일들이 다소 작위적인 곳이 더러 보인다. 단서인 단초의 급출현과 갑자기 어느 장소에서 누굴 만나는등.. 하지만 그것을 장치로 본다면 큰 이견은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이 책이 애기하고 저자도 의문스럽게 생각했던 韓의 근원은 어디서 온것일까.. 조선말 고종실록에서 그 옛날 삼한(마한, 진한, 변한)에서 한을 잇고자 대한제국이라 짓고 이후 대한민국으로 바꾼것을 우리가 알고 있는 상식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하기엔 좀 작지 않느냐는 것인데.. 한반도 남부에 그친 삼한을 모토로 삼았다?..  또한 삼한전 역사에서 위서 논란의 중점에 있는 기원전 18세기경 <단군세기>에는 오성취루(五星聚婁 또는 오성집결, 수금화목토)의 기록이 있고, 그 기록이 진실임을 본 책은 천문학자 박창범 교수님의 주장을 실어 인용하며 과학적으로 증명하고 있다. 또 '남해조수퇴삼척(南海潮水退三倜)'이라 해서 남해안의 조수가 먼바다까지 밀려난 것을 이야기하며 확고한 문명국임을 기술하고 있다. 이것은 '단군세기'의 기록을 통해서 위서 논쟁에 쌓인 역사 인식의 재전환을 일깨우고 있는 것이다.

이후 한의 근원이 정확히 기재되어 있는 두곳을 예시로 들고 있다. 사서삼경중 주나라부터 춘추중기의 일들을 기록한 시경(詩經) 한혁(韓奕)편에 한후라는 인물이 나오는데.. "한후(韓侯)는 맥족을 복속키시고 그 땅의 제후가 되었다.""한후가 수도에 들자 선왕(宣王)은 경계를 논하였으며 조카 딸을 시켜 밤시중을 들게 하였다." 그래서 나도 이 구절에서 열국지를 몇번 읽어본 경험에서 느낀 것중에 춘추시대 수많은 제후국들이 있었고, 그중 한후(韓侯)가 있었음은 익히 알고 있었다. 그럼, 그 한후가 그 한이었을까 의문이 드는 대목이다. 더군다나 여기서 선왕은 열국지를 읽어보면 아는 분은 알겠지만.. 바로 그 첫머리에 나오는 주선왕으로 화살 전면 압수와 갓 태어난 포사를 버리라고 명을 내린 인물이다.

그리고, 이 책의 韓의 근원을 제시한 왕부가 썼다던 <잠부론(潛夫論)> '씨성'편에 한씨의 유래가 나와 있는데.."시경 속 한후는 기자조선의 동쪽에 있는 나라의 임금이다.""한후는 연나라 부근에 있었다. 차츰 한(韓)의 서쪽에서도 한씨 성을 갖게 되었는데 그 후예는 위만에게 망하여 바다를 건너갔다." 이것이 삼한의 유래가 되니 위만에게 망해 바다를 건너간 사람은 고조선의 준왕이고 한후의 후손이자 성이 한씨라는 것이다. 즉, 여기서 한후가 연나라 부근에 있었다면 중국에서도 최북방 동쪽이기에 동국에 위치한 한나라가 한이라는 성씨의 유래이자 삼한의 유래이기도 한 것이다.

이렇듯 우리의 고대국가는 고조선 전에 한낱 웅녀니 단군 할아버지니 하는 아이들 수준의 그친 신화에서 오랜 예전부터 중국의 주나라를 왕래한 한후의 한(韓)나라 이었다고 말하고 있는데.. 하지만, 이런 <시경>이나 <잠부론>이 단지 역사책이 아니기에 사료로 인정하지 않고 치부되어 왔다는 것이다. 이렇게 일본의 식민사관에 의해서 그들이 우리 역사의 철근을 세우고 콘크리트를 쳐온 우리 역사계에 일침을 가하며.. 일본인들의 억지와 중국의 동북공정속에 우리의 무지로 완전히 묻어버린 우리 고대사에 이처럼 자랑스럽고 찬란한 문명이 있었다고 '천년의 금서'는 말하고 있다.

비록 그것이 김진명 작가 스스로 위험한 책이라고 화두를 벼락같이 던져 말했지만.. 그러기에 우리 스스로가 위험에 빠진 것이 아닐까.. 무엇이 진실이고 거짓을 말하기 전에 우리 대한민국의 잃어버린 역사 추적의 작업은 계속 되어야 할 것이다. 그것이 이 책이 말하는 바고 그래서 이 책을 감히 추천하는 바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