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황제 클라우디우스다 1
로버트 그레이브스 지음, 오준호 옮김 / 민음사 / 2007년 5월
평점 :
절판
우리가 로마의 황제하면 기본적으로 초대 황제 아우구스투스와 그리고 잔혹한 폭군 칼리귤라와 사치와 향락의 네로 황제를 손꼽을 것이다. 하지만 클라우디우스 황제를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더군다나 클라우디우스 황제는 칼리귤라와 네로 사이에 재위한 황제였는데도 말이다. 하여튼, 클라우디우스(재위 41~54년)그는 어떤 황제였을까.. 그는 우선 말더듬이, 절름발이, 간질 환자였고 황실의 핵심 멤버였음에도 불구하고 음모로 얼룩진 정치판에서 어느 누구도 그런 클라우디우스를 주목하지 않았다. 바보로 통했기 때문에 비웃음을 사며 로마 황실의 수치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는 황실의 권력투쟁 속에서 살아남으며 권좌에 올랐을때는 개혁정치를 펴는등 로마 제국을 넓혀 나갔던 인물이었다고.. 20세기 초에 와서 로마 역사상 제정 초기의 유능한 황제로 재평가되기 시작했다. 이렇게『나는 황제 클라우디우스다』는 우스꽝스러운 인물이었던 클라우디우스가 권위 있는 황제로 변모하는 과정과 대비를 드라마틱하게 묘사하고 있는데.. 그의 진정한 모습은 어떠했을까.. 출판사 서평은 이렇다.
왜 클라우디우스인가? 작가 로버트 그레이브스는 20세기 사회 문제를 그 누구보다도 치열하게 고민한 지식인이었다. 그가 내놓은 저술들은 모두 현대 사회의 근본적인 문제를 논하는 문제작이었다. 그레이브스의 역사소설들 역시 형식은 소설이지만.. 실은 가치관의 혼돈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이 처한 딜레마를 보여주고 있다. 『나는 황제 클라우디우스다』에서도 작가가 묘사하고 있는 클라우디우스 시대의 도덕적 해이, 심리적, 정치적 문제는 사실 현대의 모습을 지적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로마의 도덕적 타락을 안타깝게 지켜보면서 로마의 기품 있는 전통을 고수하려고 분투하는 클라우디우스의 모습은 오늘날 우리의 고뇌와 다르지 않는 모습으로 다가서며 가치관이 흔들리고 있는 현대인의 문제를 깊이 파고든 역작이라는 평가다. 과연, 인간 클라우디우스의 진정한 모습은 무엇이고 때로는 공화주의를 꿈꾸는 이상주의자로서의 클라우디우스와 독재자이자 유능한 황제 클라우디우스 두 가지 모습 사이에 존재하는 내적인 갈등까지.. 인간 클라우디우스의 진면목을 본 작품을 통해서 만나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