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처한 미술 이야기 2 - 그리스.로마 문명과 미술 : 인간, 세상의 중심에 서다 난생 처음 한번 공부하는 미술 이야기 2
양정무 지음 / 사회평론 / 201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천년이 넘어서도 유럽을 다스리면서 서양문명의 주춧돌이 되어 지금까지 영향력이 이어지고 있는 뿌리의 근간 그리스 ,로마 문명 편이다.

예)
로마 :
미국 국회의사당 캐피톨 힐( 로마의 언덕 ’캐피톨린‘에서 따옴), 기원후 800년 샤를마뉴 대제의 신성로마제국 부활등 )
그리스:
그리스 하면 소크라테스를 비롯한 철학 피타고라스의 수학 기하학 과학,
민주주의를 지칭하는 다수결 원칙이나 선거도 모두 여기서 시작된 곳이다.

또한 예술이라는 의미를 가진 ’아트‘라는 단어도 어원을 거슬러 가면 그리스어 테크네 라는 용어 즉 기술이라는 뜻에서 나왔다고 한다.

그리스가 서양 문명의 씨앗을 만들었다면 로마는 그 씨앗을 유럽전체로 뿌리고 돋아날 토양이 되어졌다.


이 책을 좋아하는 이유는 풍부한 그림 자료와 독자 수준을 고려한 서술 방식 때문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서양이 아닌 동양의 입장에서 미술의 역사를 이야기하기 때문이다.
그리스와 로마의 미술을 다룬 2권 역시 역시 흔히 접할 수 있는 서양 중심의 역사 서술이 아닌, 동양의 관점을 택한다.
재미는 당연하고, 보람은 자연히 딸려오다 벌써 시리즈 6번째 권이다.


1권에서는 이집트 문명
2권은 서양 미술의 꽃이라 불리는 그리스와 로마 문명

흔히들 그리스와 로마를 하나로 묶어 생각하는데( 그리스 , 로마 신화 묶음 제목 때문일듯) 사실 이 두 시기의 미술 사이에는 꽤 많은 차이와 시기상의 아래와 간극이 존재한다.

이집트,메소포타미아 합쳐진 오리엔트 문명

그리스 크레타섬에서 출발한 미노아, 미케네 문명

오리엔트, 미노아,미케네 계승시킨 그리스 문명

작은 도시국가에서 발전하여 앞 세가지 문명을 승화 시킨 로마 문명

그리스 로마 문명이 꽃필수 있었던 것은 앞서 아시아와 아프리카(오리엔트 문명)에서 태어난 우수한 고대 문명의 유산을 확장시켜 유럽 역사에 중심에 우뚝 서게 되었다.

이쯤 되니 지나가는 서양식 건물들 기둥과 아치를 스타일을 보면 그리스 로마 문명을 의심해보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