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합스부르크, 세계를 지배하다
마틴 래디 지음, 박수철 옮김 / 까치 / 2022년 7월
평점 :
오스트리아를 방문하게 되면 한번쯤 들리는 코스
마리아 테레지아 여왕의 여름 궁전 ‘쇤부른 궁전’
매년 한번쯤 하는 인기 뮤지컬 주인공 ‘엘리자베스’
단두대로 끌려갔던 사치의 왕비 ‘마리 앙투와네트’
연계지어지는 다섯자리 단어 ‘합스부르크’가 떠올려졌다.
수세기동안 유럽 최고의 왕가로 군림하고
숱한 전쟁과 혁명의 중심에 섰으며, 문화, 예술, 과학,지식등의 후원자로 때로는 가톨릭 신앙의 수호자 역할도 했던 합스부르크
가문의 역사이야기이다.
왕족체제를 유지하기 위한 혈연과 가톨릭 신앙 유지의 명목아래 근친으로 맺어진 결과물 ,전형적인 주걱턱은 이미 많은 미술 작품을 통해 알려져 있다.
왕가의 출현부터 1,000년에 걸친 긴 시간동안 세계를 장악하고 몰락한 총체적인 역사를 한눈에 담았다.
합스부르크는 10세기로 거슬러 올라가 지금의 오스트리이 조그만 알프스 지역 근방 한 가문으로 출발하여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아메리카에 걸쳐 거대한 영향을 각 시대별로 나뉘어 알려준다.
이들이 긴 세월동안 가문을 지킨 생존전략은 정략결혼이었고
그 뿌리가 지금의 유럽 왕족으로 연결되어있기도 하다.
영토확장으로 유럽의 대부분을 지배하기도 했던 ’카를 5세‘
란 이름만 들어도 합스부르크가의 권력의 파워를 상징하기도 했다.
마리아 테레지아 여왕의 다산으로 (12명)이뤄진 자식들의 결혼 정책은 거대한 왕가로서의 존재감을 과시하기도 하고..
그 찬란한 영화부귀도 쇠락의 길을 걸었던 로마처럼 제1차 세계대전의 사라예보 사건을 발판으로 뒤안길로 물러나게 된다.
급변하는 시대의 변화를 제대로 읽지 못하고 큰 전쟁 앞에 판단미스등 긴시간에 걸친 비운의 왕조를 보며 되풀이 되는 현 시대의 정치판들도 겹쳐보였다.
다민족 다국가 다문화 다종교등 복합된 체계속에서 민족성을 뛰어넘는 보편성을 중점에 두고 1000년이상의 시간안에
찬란했던 순간과 마지막 순간까지 역사드라마를 보는듯 했다.
유럽사나 해당지역 여행을 앞둔 분들이라면 한번쯤 읽어볼만한 책이다.
<사진>
얼마전에 방문한 국립방물관 합스부르크 600년전과 오스트리아 쇤부른 궁전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208/pimg_7844041983738959.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208/pimg_7844041983738960.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208/pimg_7844041983738961.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208/pimg_7844041983738962.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208/pimg_784404198373896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