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멜 표류기 1218 보물창고 19
헨드릭 하멜 지음, 최지현 옮김 / 보물창고 / 201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653년...

무려 364년 전이다.

물론, 그 한참 전의 역사에 대해서도 숱하게 읽었고, 드라마나 영화로도 보아왔지만

그 풍경 속에 선 푸른 눈의 서양인이라니...

어떤 SF보다도 이질적으로 느껴지는 걸 보니, 내 머릿속 조선의 이미지가 참 씁쓸하다.


영국과 프랑스, 네덜란드 등이 동인도를 중심으로 해상무역 경쟁을 벌이던 대항해 시대,

네덜란드 서부 해안의 소도시에서 태어나 21세에 동인도회사 선원이 된 하멜은

타이완에서 일본으로 가던 도중 풍랑을 만나 제주도에 표착한다.

위풍당당했던 거대한 범선은 산산이 부서지고, 생사고락을 함께 한 64명 중에 36명만이 살아남아

어디인지도 알 수 없는 곳에 심하게 부상당한 몸으로 굶주린 채 내동댕이쳐진 그들의 마음은 어떠했을까?


해적들이나 추방당한 중국인들의 소굴에 온 건 아닌지 겁에 질렸던 그들은

6일만에 제주 목사를 만났지만, '야판의 나가사키'라는 말밖에 할 수 없었다.

억류되고 두 달 뒤에야 통역자가 도착했지만,

26년 전 하멜 일행과 똑같은 운명을 겪고 귀화한 네덜란드인 벨테브레이는 모국어를 거의 잊어버렸기에

한 달 가까이 함께 지내고 나서야 겨우 의사소통이 원활해져 궁으로 자신들의 사정을 적은 서신을 보낼 수 있게 된다.

1954년 5월 말경, 궁으로 오라는 왕명을 받고 한양으로 이송되어 왕을 대면하고 송환을 간청하지만, 

효종은 생을 마감하는 날까지 이곳에서 자신의 돌봄 아래 살아야 한다고 대답하고, 

하멜 일행의 신무기 제조기술에 관심을 보이며 왕의 호위대로 그들을 임명한다.

그러다 그들 중 두 사람이 만주 사절들에게 접근하는 사건이 터지고,

서양인의 존재를 감추고 싶었던 조정은 사절에게 엄청난 뇌물을 주고 이들을 전남 강진으로 유배했다. 

그 이후, 그들은 전라도 절도사의 관할 아래 긴 시간을 살아가고,

현종 즉위 후 3년간의 극심한 흉년을 겪으면서 굶주림과 고된 노역 때문에 22명밖에 남지 않게 된다. 

13년의 억류 기간 끝에 하멜은 동료 7명과 함께 나가사키로 탈출하고 고국으로 돌아간다.


하멜의 담담한 서술 속에 담긴 조선은 때로는 나를 자랑스럽게, 또 더 많은 순간은 나를 부끄럽게 했다.

처음 만난 제주 목사처럼 선하고 이해심이 많은 사람들이 준 온정과 측은지심은

하멜 일행이 잔혹한 운명의 장난 속에서 살아갈 수 있게 하는 힘이 되었고.

결국은 고국으로 돌아갈 수 있는 가능성도 열어 주었다.

그러나, 수장에 의해 좌지우지되는 일관성 없는 행정 절차, 비합리성, 거짓에 대한 너그러움 등은

지금의 이 나라 속에도 남아 있기에 더한 부끄러움을 느끼게 한다.


하멜의 13년에 대한 서술보다 더 충격적이었던 것은 나가사키 수장의 질문들이었다.

1년 동안 일본에 잡혀 있던 시적 돌안 또 얼마나 많은 정보를 캐냈을까 생각하면 소름이 끼친다.

그 이후에 일어났던 우리 역사의 비극을 알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나라 안에 잡아두는 것이 최선책이라 여겼던 효종의 결정은 완전히 틀렸다.

그들의 바람대로 바로 송환했다면, 조선에 대한 지나치게 상세한 정보들이 노출될 일은 없었을 테니까.


너무나도 드라마틱한 '하멜 표류기'가 드라마화되지 않은 것은

조선에 대한 부정적인 서술들과 평가들 때문이라고 한다.

그러나, 짐작도 할 수 없을 만큼 큰 두 세계의 문화적, 정서적 차이를 감안하고 객관적으로 형상화해서

'진짜 조선'을 만나볼 수 있는 날을 기대해 본다.

그것이 우리가 그 과거들에서 벗어나고 달라질 수 있는 시작일 테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