싯다르타 클래식 보물창고 37
헤르만 헤세 지음, 이옥용 옮김 / 보물창고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시대에, 

엄밀히 말하자면 내가 한창 사춘기의 긴 터널을 지나고 있었던 90년대에

'데미안'은 우리 전체의 '페르소나'였다.

소설책 한 줄 읽지 않는 아이라도 '알과 아프락싸스'를 모르는 아이는 

거의 없었을 정도니까.


그 때부터 나에게, 헤르만 헤세는 '위로하는 작가'이다.

달콤한 환상과 로맨스가 아니라, 치열한 사유와 완전함에 대한 선망이 

지금 내가 묶여 있는 삶의 비루함을 

'어쩌면 아무것도 아닌 것'으로 인식하게 해 주는.


『싯다르타. 한 인도의 시』는 

약 1년 반 동안 거의 창작 활동이 불가능할 정도의 우울증에 빠졌었던 헤세가 

정신분석 치료를 받은 후 1922년에 발표한 작품이다. 

헤세는 1919년부터 이 작품을 쓰기 시작했지만,

싯다르타가 끊임없이 고뇌하고 투쟁하는 금욕주의자로서 나타나는 부분까지 쓰고 난 다음, 

스스로의 체험 없이 이를 계속 집필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느껴 

1년 반의 자기 체험기간을 거친 후에야, 

이어지는 싯다르타의 세속 생활을 다시 쓰기 시작해 

1922년에 완성한 것이라고 한다.


그래서, 그럴까?

이 <싯다르타>는 실화 아닌가, 싶을 정도로 주인공의 깊은 고뇌와 번민, 깨달음이  

- 그것이, 한낱 중생인 나에겐 아득히 멀게만 느껴지는 '존재의 본질'에 의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생생하게 전해온다.


어린 시절부터 '명료하게 사고하는 정신의 광채'에 둘러싸여 있던 브라만의 장자 싯다르타는

지혜와 아름다움과 고귀함을 갖춘, 모든 이의 선망의 대상이지만

진리에 대한 갈증으로 인해 일말의 기쁨도 느끼지 못한다.

그는 인간의 근원, 아트만을 찾기 위해 친구 고빈다와 함께 떠나 탁발승이 되어 금욕 생활을 한다.


그의 눈에 세상의 모든 것들은 거짓이고 무가치하다. 고통이 바로 삶이다.

자기 자신을 완전히 죽이고 '가장 궁극적인 그것-위대한 비밀'을 깨닫기만을 목표로 수행하지만,

번번이 '자신의 자아가 되고야 마는 윤회의 고통'을 절감하게 된다.

그러던 중, 그는 붓다를 만나지만, 

어떠한 가르침이더라도 진정한 깨달음의 길을 줄 수 없으며, 

모든 이들은 각자가 깨달음을 찾아야 한다는 것을 느끼고 친구 고빈다를 두고 길을 떠난다.

그리고, 그는 자신이 배울 수 없었던, 극복할 수 없었던 것은 '자아'라는 것을 깨닫고

'완전한 자신'이 되어 살기로 결심한다.


무의미했던 모든 사물들 안에 깃든 의미와 본질을 보기 시작하면서

그는 어린애처럼 즐거운 놀이하듯 세속의 삶을 즐긴다.

아름다운 창녀 카말라와 부자 상인 카와스와미를 통해 애욕과 물욕을 배우고 즐기지만,

중년에 이른 어느 날, 스스로에게 환멸을 느끼고 홀연히 떠난다.

그는 소름끼치는 공허감 속에 죽으려 하지만, 그 순간 잠들어 있던 그의 정신은 깨어나고

자신이 살아야 했던 모든 것이 

'새로운 싯타르타'를 위해 필요불가결한 것이었음을 깨닫고 기쁨에 넘친다.


그리고, 강가에서 나룻배를 젓는 늙은 뱃사공으로 살아가며 

또 끊어낼 수 없는 정과, 상실의 고통을 겪으며 완성되어간다.

아니, 이미 처음부터 완전했던 세상의 일부가 되어 평화로워진다.



"이 세계는 매 순간 완전해. 모든 죄업은 이미 그 안에 자비를 품고 있어...

 모든 게 선하고, 모든 게 완전하고, 모든 게 브라만이지,

 그렇기 때문에 내게는 존재하는 것들이 모두 선량해 보여."(p.204)


여전히 번뇌하는 옛친구 고빈다를 만나 전하는 그의 깨달음은 

쉽고도 오묘하다.

그가 말했듯, 배울 수는 없는 것이다.

스스로 깨닫지 않는 한 이 '완전함'을 우리는 보지 못할 것이다.


하지만, 적어도 이제 무엇을 향해 가야 하는지는 알지 않았는가?

평생을 괴로워하며 번뇌했던, 세 번의 죽음을 겪어냈던 싯다르타 덕에, 

그 싯다르타를 이해하기 위해 똑같은 괴로움에 몸을 던졌던 헤세 덕에,

나는 그들을 따라 마음을 여행할 수 있었다.


스스로가 강이 되고, 하나의 세상이 되어준 아름다운 시인의 마음이여......

삶에 허덕이는 나는 아직 세상은 깨닫지 못하겠으나,

그 마음이 전해주는 선함과 자비는 

백 년에 가까운 시간을 넘어 

이리로 흐르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