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다리 아저씨 동화 보물창고 50
진 웹스터 지음, 원지인 옮김 / 보물창고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키다리 아저씨'를 처음 읽은 것이 언제였던가요?

기억이 가물가물하네요.

만화로 봤던 건 확실히 기억납니다.

아직도 선명히 떠오르는,

햇살 가득한 고아원 문간에 서 있는 키다리 아저씨의 실루엣.

아마, 많은 사람들이 '키다리 아저씨' 하면 떠오르는 것이 저랑 같은 장면 아닐까 싶어요.

베일에 싸인 아저씨......진정한 '신비주의'의 창시자 아닌가 싶기도 하네요.

 

18살의 주디는 단 한 번도 평범한 가정집에 들어가 본 적이 없지요.

세상을 인식할 때부터 고아원에서 자라왔거든요.

그런 그녀에게 신세계가 열립니다.

한 후원자가 그녀에게 작가의 재능이 있음을 알아보고 대학에 보내주기로 한 거죠.

주디가 해야 할 일은 단 하나, 한 달에 한 번씩 편지를 쓰라는 거였지요.

그리고, 이 책의 다음은 '제루샤 애벗 양이 키다리 아저씨 스미스 씨에게 보낸 편지들'이 다예요.

진짜 다!

자신을 가명인 '존 스미스'라고 불러 달라고 하는 후원자에게 '대체 어떻게 공손할 수 있겠어요?'하고 반문하는 것이 주디의 첫편지죠.

그리고 다짜고짜 '키만은 평생 크실 거'라는 아주 타당한 근거 아래 '키다리 아저씨'라는 애칭을 붙이고 봅니다.

답장을 쓰지 않겠다고 한, 싫어도 뭐라고 한 마디 항의할 수조차 없는 사람에 대한, 소녀다운 '횡포'랄까요?

첫편지에서부터 당당하고 발랄한 주디에게 풋 웃어버리게 되고 맙니다.

대학이란 곳에서 친구들을 사귀고 운동하고 지식을 쌓아가며

하루하루를 알차고 행복하게 채워가는 주디.

고아원 출신에 대한 편견 때문에 2인실이 아닌 독방을 쓰게 된 현실도 기쁘게 받아들이며

'18년 동안 20명과 한 방을 쓰다가 혼자 있으니 얼마나 편한지 몰라요. 처음으로 제루샤 애벗에 대해 알아가는 기회를 갖게 된 거예요.'

하며 설레어 하는 그녀를 자세히 알기도 전에 너무도 빨리 좋아집니다.

아마, 키다리 아저씨도 그러지 않으셨을지......

 

처음 이 이야기를 알았을 때의 엄청난 반전(반전 또한 진 웹스터가 시초였던 걸까요?^^:)을 이미 알고 있기에

주디의 편지를 저와 함께 읽는 '키다리 아저씨'의 마음을 좀 더 생각하게 됩니다.

'아저씨는 완전히 대머리인가요, 아니면 조금 머리숱이 없는 정도인가요?' 하고 물을 때에는 얼마나 크게 웃었을까요?

 

그리고, 주디가 첫편지를 보낸 지 10개월이 되어서야 그녀를 몰래 보러 간 아저씨.

자기에 대해 어떻게 썼을까, 편지 봉투를 열며 얼마나 궁금하고 긴장되었을까요?

'펜들턴 씨는 어딘지 모르게 아저씨를 연상케 하는 점이 있었어요.'라는 문장에선

가슴이 덜컹 내려앉았을 거예요.

밝고 영민한, 그리고 하루가 다르게 성장해가는 주디를 실제로 만나고 와서 아저씨의 마음이 어떠했을까요?

친구 샐리 집에서 크리스마스를 지내고 나서 보낸 편지에서 '키가 크고 잘생긴 오빠 지미'가 출현했을 때,

한 번씩 언급되었을 때, 아저씨의 눈은 왠지 불길하게 번득였을 거예요.

 

언제부터 사랑이었을까요?

주디는 '도대체 이유가 뭔지 알 수 없는' 횡포를 부릴 때 쯤엔 확실히 '사심'이 보이지만 말이죠.

그건 아마도 이 아저씨에게서 직접 들어야만 알 수 있겠죠?

하지만, 분명한 건 이런 편지를 받으면 누구라도 사랑할 수 밖에 없을 것 같다는 사실이죠.

 

태어나서부터 혼자였기에 '벽에 등을 대고 혼자서 세상과 싸워야' 하고

'그런 생각을 할 때마다 숨이 턱턱 막히는 것 같지만, 그렇지 않은 척' 하는 아픔이 있지만,

상상력이 풍부한 소녀에서 용기있고 당당한 어른으로 성장해가는 주디.

행복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주변의 부유한 친구들을 부러워하는 것이 아니라,

호사로 느껴지는 호의는 '제게는 외상으로 빌릴 권리가 없어요.'라고 거절하며

비범하진 않더라도 세상에 "매우 쓸모 있는 사람"이 되겠다고 선언하는 주디의 맑고 강한 마음,

그 어떤 보석보다도 가치 있고 귀한 그 마음을 저도 갖고 싶네요.

 

"세상에 매우 쓸모 있는 사람"이 되는 데 너무 늦은 때는 없겠죠?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