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글 북 동화 보물창고 46
조지프 러디어드 키플링 지음, 존 록우드 키플링 그림, 원지인 옮김 / 보물창고 / 201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보자마자 나도 모르게 환성을 지른 건 무엇 때문이었을까?

정말 오래 전에 읽었던 이 책 속의 야생소년 모글리와 무섭고 야비한 호랑이가

20여년 만에 나의 기억 속을 헤치고 나와 반갑다고 손을 흔들어댔다.

어릴 때 책에서는 보지 못했던 근사한 삽화도 내 마음을 설레게 했다.

그리고, 이 묵직한 두께......

'모글리 이야기'가 이렇게 길었었나 하고 기억을 더듬는데, 목차를 보니...

어! 일곱 편의 이야기가 들어 있다.

그 중 셋은 모글리 이야기지만, 처음 보는 네 편의 이야기는 완전히 다른 환경의 다른 동물들 이야기.

추억 속의 책이지만, 완전히 새로운 책이다.

호랑이 시어칸의 먹잇감이었다가 늑대의 아이로 자라게 된 모글리.

혼자 늑대 굴로 걸어와 늑대를 올려다보며 웃음을 터뜨리는 포동포동한 아이에게

"털도 없는 게 겁도 없네!"하며 매료된 어미 늑대.

늙은 곰 발루의 애정 어린 가르침과 슬기로운 흑표범 바기라의 보호 아래 정글의 법칙을 지키며

누구 못지 않게 정글의 한 형제로서 한 몫을 해내었건만,

시어칸의 부추김 아래 늑대들은 12년 이상 자신들과 부대끼며 살아온 모글리를 '인간'이라며 배척한다.

절대절명의 순간에 바기라의 도움을 얻어 불로 그들을 응징하고 떠남을 결심하는 모글리.

얼굴 위로 흘러내리는 눈물에 "내가 죽는 거야?"라고 놀라는 이 인간의 아이.

'종족'이라는 이유로 찾아간 인간들의 마을에서도 두려움의 대상이 되어 다시 정글로 돌아오지만

"이제 나는 혼자"라고 선언하는 모글리의 삶은 '어른이 된다는 의미'를 한번 더 생각하게 한다.

우리가 배웠던 도덕과 법칙들이, 옳다고 생각해온 모든 것들이

현실에서는 얼마나 쉽게 배신당하던가?

눈을 마주칠 수 없기에 모글리를 미워하는 늑대들,

이해할 수 없는 힘을 가졌다는 이유로 악마라고 쫓아내는 인간들.

시어 칸에게 거둔 통쾌한 승리에도 불구하고, 마지막은 씁쓸함을 남긴다.

 

 

<하얀 물개> 코틱은

"사람들이 전혀 오지 않는 섬을 찾으면 모를까, 너희는 늘 끌려갈 거야."라는 바다사자의 이야기를 듣고

안전한 보금자리를 찾아 5년을 넘게 바다를 떠돈다,

오랜 고생 끝에 숨겨진 섬을 발견했음에도 그 사실을 믿지 않고 비웃는 무리들.

'지금 가진 것'에 집착하는, 모험을 두려워 하는 보통의 사람들을 떠오르게 한다.

또한, '인간이야말로 자연의 숙적'이라는 사실에 씁쓸해진다.

제발, 사람들이 전혀 모르는 곳들의 비밀이 영원히 지켜지기를 바란다.

인간의 탐욕은 이익을 알게 되는 한, 스스로를 제어할 힘을 잃고 마니까.

 

 

<리키티키타비>는 몽구스의 이름이다.

어디선가 들어본 듯 하지만 낯선 이 동물을 놀라게 하는 일은 세상에서 가장 힘든 일이라고 한다. 코끝부터 꼬리끝까지 호기심으로 똘똘 뭉쳐 있기 때문이다.

이 작은 생물이 무자비하고 잔인한 코브라 나그와 나가이나에 맞서 벌이는 전쟁 이야기를 통해

용기와 지혜의 소중함을 알 수 있다.

스스로를 자랑스럽게 여기는 몽구스의 어깨를 톡톡 두드려주고 싶은 마음이 든다.

 

 

<코끼리들의 투마이>에서 작은 투마이는 여지껏 누구도 본 적이 없다는 코끼리들의 춤을 보게 된다.

달빛을 받아 철회색이 된 숲속 공터에서 수백 마리의 코끼리들이 소리 한 번 내지 않고 다 함께 쿵쿵 발을 구르는 광경은

하나의 그림처럼, 그 자체가 인간으로서는 도저히 알 수 없는 자연의 신묘함으로 그려진다.

 

 

<여왕 폐하의 신하들>에서는 전쟁에 참여한 포대의 코끼리들, 대포 끄는 소들과 당나귀들, 기병대의 말들, 식량 보급대의 낙타들이

저마다 자신이 경험하는 인간의 전쟁에 대해 이야기하고 뽐내고 다투기도 하며

하나 같이 모두 제 몫의 일을 해내고 있음을 자랑스러워 함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 단편의 마지막이며 이 정글북 전체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캠프 동물들의 행진곡'의

"먼지투성이에 졸음을 견디며

말없이 옆에서 걷는 사람들은

우리 그리고 그들이 왜 매일매일 행진하며

고통을 받는지 말해 줄 수가 없네."

라는 구절은 키플링이 작품 전체를 아울러 강조하는 '질서'와 '규칙'이

그것을 세우는 자가 아니라, 지켜야 하는 자들, 곧 약자들에게는

얼마나 불합리하고 불공정한 것일 수 있는지를 역으로 생각하게 한다.

어릴 땐 이 '정글 북'이 이렇게 대단한 책인 줄 몰랐다.

이렇게 많은 책들을 접하고 나서... 세상을 겪고 어느 정도의 시각을 갖고 나서야

진가를 알아보게 되었다.

나중에 조금 더 나이가 들어서 다시 한 번 읽어보고 싶다.

커가는 아이와 함께 읽고 생각을 나누고도 싶다.

이 정글의 이야기... 세상의 이야기를 가지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