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화처럼
김경욱 지음 / 민음사 / 2010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람.

 

 

이것만으로 충분한지도 모른다.

어떤 이야기가, 시작되는 것에는...

그것이 동화가 되었든, 소설이 되었든.

 

어린 시절부터 우리 곁에 있었던 수많은 동화들은

삶의 중요한 순간순간, 자연스러운 암시를 걸어온다.

'이건, 그 이야기랑 똑같잖아?'

'아, 시작은 비슷했는데 끝은 역시 다르네...'

완성된 문장으로 생각하든 어렴풋이 느끼든,

이미 동화들은 '집단 무의식'처럼 우리 인생의 견본품이 되어 있다.

특히, 인간이 일생이란 긴 시간을 거쳐도 절대 알 수 없는 하나의 명제,

'이성'과 '사랑'에 있어선

그 불안과 기대에 맞먹는 다양한 샘플들로

우리를 착각과 오해에 빠져들게 한다.

(음, 그러고 보니...이 소설의 남자 주인공 이름이 '명제'다...^^:)

 

설레는 스물, 왕자와 공주 같은 서정우와 한서영에게 각각 첫눈에 빠져든 두 사람.

당연한 결말인 것처럼, 명제와 장미의 설렘은 그저 동경으로 끝나고

'역시 동화는 내 것이 아니야.'란 씁쓸함만 남긴다.

그리고, 그 한참 후...

동화였다면 삽화의 한 구석에나 그려져 있었을 평범한 두 사람이

자신들만의 이야기를 써내려가기 시작한다.

그러나, 슬프게도 둘은 매순간 각자 다른 동화를 써가고 읽어내려간다.

한 순간에 함께 서 있는 두 사람의 마음은 서로 다른 진실을 느끼고 아파한다.

 

두 사람은 이미 쓰여진 동화들을 되뇌었기에 어쩌면 서로를 찾지 못했던 것일까?

몇 번을 죽을 만큼 상처입히고 슬프게 한 다음

둘은 자신들의 동화를 찾는다.

어느 이야기 속에도 없었던 '눈물 공주와 침묵 왕자'라는 동화.

 

세상에는 없는 동화를 찾는 것,

그것이 '사랑'인지도 모르겠다.

 

'이건 사랑이 아니잖아.'라고 수없이 되뇌었던 그 자리에

나의, 우리의 사랑이 있는 걸지도...

 

<기억에 남는 한마디>
라이프니츠는 말했다. 이 우주는 선택 가능한 모든 세계 중에서 신이 고른 최선의 세계다. 라이프니츠의 말에 고개를 끄떡이게 되는 순간을 명제는 이제 하나 더 갖게 되었다. 라이프니츠는 연인과 키스를 하고 나서 그 말을 했는지도 모른다. (p.12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