빵점 아빠 백점 엄마 - 제8회 푸른문학상 수상 동시집, 6학년 2학기 읽기 수록도서 동심원 14
이장근 외 지음, 성영란 외 그림 / 푸른책들 / 201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느새 입가에 계속 미소가 감돕니다.
아프고 힘든 세상 속에서도 아름다움을 캐내는 광부들이 시인들인가 봅니다.

넘어져도 일어나 다시 뛰고,
친구와 크게 다투어도 금방 언제 그랬냐는 듯이 같이 놀고,
매일 아침 눈뜰 때마다 새 세상을 선물받는다는 것을 진정으로 아는
아이들의 지혜.
순수함에서 오는 그 마법 같은 지혜가 반짝입니다.
아이들의 머릿속에 들어갔다 나오기라도 한 걸까요?
어쩌면 이리 '아이다운' 시들인지......
시인들의 심장엔 타임머신이 장착되어 있나 봅니다.

아이들의 눈에 비친 세상은 너무나 달라요.
어른보다 더 맑기에, 더 정확히 보지요.

숙제 다 할 때까지 방에 갇혔지만,
실제로 갇힌 건, 심심해하며 문밖에서 계속 형을 부르는 동생이예요.(이장근<방에 갇힌 날>)

꼴지도 심심하지만, 정말 더 심심한 건 일등이지요.
꼴지는 앞 사람의 등에라도 대고 말을 걸 수 있지만,
일등은 그 자릴 지키려면 뒤 한번 돌아볼 수 없잖아요.
사실, 사람은 그렇게 일렬로 걸으면 모두가 외롭고 심심할 뿐인데...
이 사회는 아이들에게 '줄 서는 법', 더 나아가 '무조건 줄 앞에 서는 법'만 가르칠 뿐,
서로를 바라보고 돌보고 끌어주는 것은 잊게 만들고 있죠.(이장근<혼자 가는 개미에게>)

<가족대상>은 저도 한번 따라 해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가족이기에 남보다 더 마음 열어보이지 못하고, 가족이기에 더 칭찬에 인색한 우리에게
정말 필요한 '연례행사'가 아닐까 싶네요.
들여다보면 누구 하나 훌륭하지 않은 이 없는 우리 가족들...
한 명 한 명 박수 쳐 주고, 꽃다발도 주고, 포옹하고, 수상 소감도 듣고...
시와 함께 떠오르는 시상식 풍경에 저도 모르게 흐뭇해집니다.

이정인님의 시엔 평범한 가족의 모습들이, 너무나 익숙하게 그려져 있어요.
'아니, 우리 집 이야기잖아?'하고 깜짝 놀랐네요.
짧은 이야기를 참 길게도 하는 엄마(<긴 말 짧은 말>),
아파도 집안일을 놓지 못하는 엄마(<빵점 아빠 백점 엄마>),
집 나가겠다고 하고선 차 안에서 깜박 잠들어버린 엄마(<남자들의 약속>),
내 모습과도 겹쳐지는 이 '엄마'는 
바로 시인의 실제 이야기인 듯 생생해요.
만나지 않았는데도, 이 가족...바로 옆집에 사는 이웃 같이 정답네요.
우리 집 이야기를 함께 나눈 듯 속이 후련해지네요.

안오일 시인의 <익어 가는 색깔>은 턱하니, 제 심장 한 부분을 쳤어요.

'그래, 이 색이 바로 우리 아이들의 색깔이잖아. 아직은 어떤 색이라 말할 수 없는...그저 참 묘하고 고운...'

'익어 가는 색깔'이라고밖에는 표현할 수 없는...
그런데, 우리는 아이들에게 어떤 색깔을 입힐 궁리로 끙끙대고,
어떤 색깔이 좋은지 순전히 나의 잣대로 고르면서 "이게 다 너를 위한 거야."하지요.
아이가 다 익으면 어떤 색깔일지 기다려 주지도 않구요.
사실, '익어 가는' 자체의 아름다움도 얼마나 설레는 것인가요?
'어떤 색깔을 목표로 정해놓지 않으면, 사람은 평생 익어 가며 아름다울 수 있을 텐데...'하는 생각도 하게 되네요.

<대단한 나> 또한, 늘 마음에 되뇌이고 싶은 시네요.
누군가에게 보이는 '나'가 아니라, 무언가를 보는 '나' 자신이 중요하다는 것.
그 무엇도 아닌 '나'로 존재하는 대단함을 우리는 자꾸 망각하죠.
인간에게 가장 필요한 힘이 이것 아닐까 생각해요.
내가 뭐 어때서 대단한 것이 아니라, 그저 나이기에 가치가 있고 사랑받는다는 믿음...
저희 아이가 세계지도를 볼 수 있게 되는 날에 꼭 읽어주고 싶은 시예요.

'아이가 어른을 키운다'고 하죠.
아이의 눈이, 아이의 마음이 어른을 진정 어른답게 만드는 것 같아요.
한 권의 책에 담아 주신 '아이의 마음'...
소중히 간직하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