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밥바라기별
황석영 지음 / 문학동네 / 2008년 8월
평점 :
절판


'개밥바라기별' 
그 뜻을 아무리 짐작해 보아도 도무지 알 수가 없었다.
이 소설이 끝나고 '작가의 말'까지 가서야 그 뜻의 풀이가 나온다.
금성이 저녁에 나타날 때 부르는 말..
즉 식구들이 저녁밥을 다 먹고 개가 밥을 줬으면 하고 바랄 즈음에 서쬭 하늘에 나타난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참 정감 가는, 다감한 삶이 묻어나는 이름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 소설은 그 제목처럼 한국 문학에서는 찾아 보기 힘들었던 성장 소설이다.  
우리 전 세대가 겪은 10대의 이야기는 머나먼 외국의 이야기들보다 어째 더 낯설다.
주인공인 유준과 그의 친구 영길, 인호, 정수, 그리고 나중에 만나게 되는 여학생들 선이, 미아...
소설은 이렇게 여러 인물들의 1인칭 시점의 회상들을 돌려가며 
사춘기에서부터 스물한 살까지의 그들의 삶을 역동적으로 그려낸다.
그러한 전개 방식이 처음엔 좀 어지럽기는 하나, 
책장을 넘길수록 멈출 수 없게 빨아들이는 흡입력과 역사소설 못지 않은 깊이와 속도감은 
작가 황석영의 저력일 것이다.
문학이며 미술, 자유와 자아에 대해 미친 듯이 고민하며 위태로운 성장기를 겪는 인물들에게
측은함과, 그와 이율배반적으로 부러움과 경외심을 느끼는 것은
나는 그런 치열한 고민 없이 어른이 되었다는 부끄러움 때문이다. 

쏠리고 몰리어 '개밥바라기별'이라는 초라하고 생경한 이름으로 불리는 별이
한밤을 지나 '샛별'로 가장 오래, 가장 늦게까지 빛나게 되리라는 것을
우리는 기억해야 한다.
그렇게 절망하지 않고 자신을 찾아가야 함을 
아직도 우리는 배우지 못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