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 더 풀
오쿠다 히데오 지음, 양억관 옮김 / 은행나무 / 2005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공중그네' 에 이어 오랫만에 만난 닥터 이라부.

역시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다.

다섯 개의 옴니버스 속에 그려진 이라부와 화자들의 이야기를

킥킥거리며 읽었다.

그러며, 가슴 한 켠이 따끔따끔거렸다.

심각하다면 천체가 통째로 흔들릴 정도로 심각한 증세를 안고

어두침침하고 퀴퀴한 지하, 이름만으로도 왠지 꺼려지는  '신경과'를 찾아온

이 환자들에게 비춰보이는 내 모습 때문일까..

 

하루종일 알 수 없는 누군가에게 악의를 받고 있는 듯한 느낌,

부당한 대우와 배신감에 대한 분노도 표출하지 못해 쌓이는 스트레스,

생활에서 오는 압박감 탓에 어떤 하나에 지나치게 자신을 얽매게 되는 의존증,

인간 관계가 곧 나의 존재 가치가 되어 버려 자신을 잃고 살아가는 생활,

자신의 모든 행동의 결과에 불안함을 느끼는 강박증...

어쩌면 현대인들이 조금씩은 가지고 있을 심리적 불안요소들일 것이다.

 

이라부는 전혀 의사 같지가 얺다.

점잖게 환자들의 이야기를 듣고 상담해 주기는커녕,

그들의 망상에 맞장구 치고 심지어 더 악화시키는 언행을 서슴치 않는가 하면

그들의 일상에 뛰어들어 함께 행동함으로써

그들에게 자신에 대한 객관적인 시선을 갖게 만들기도 한다.

복잡한 인간 관계와 고정관념으로 숨이 막힐 듯한 현실 속에

이라부는 거침없는 세상을 열어 보인다.

 

홀로 남겨질까 두려워하는 우리의 근원적인 두려움이

모든 병의 원인일지도 모른다.

그래..

어떤가..

좀 별나면 어떻고, 아무에게도 인정받지도 이해받지도 못하면 어떤가..

그 인정와 이해를 받기 위해 자신을 꼭꼭 포장해야 한다면,

그 인정과 이해는 결코 그 단어에 걸맞는 것도 아닌 것을.

어린아이처럼 원하는 것을 원할 수 있고, 혼자 놀 수도 있는 것임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