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 전쟁 시공주니어 문고 3단계 70
서석영 지음, 이시정 그림 / 시공주니어 / 201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욕이 정서에 미치는 영향~ 검증된 게 있나? 어른들이 무조건 욕하지 말라고 하는 건 불합리하다고 생각하지만, 책은 재밌게 읽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올찬 수리 수학 1
수경 편집부 엮음 / 수경출판사(학습) / 2010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고2가 되는 동생을 위한 책~ 수학은 공부한 만큼 확실하게 보답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욕 전쟁 시공주니어 문고 3단계 70
서석영 지음, 이시정 그림 / 시공주니어 / 201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욕을 하는 아이들과 욕을 그만 하게 하려는 담임 선생님의 이야기가 책의 내용이다. 읽으면서 초등학생 때가 생각나 재밌었다. 내가 초등학생 때도 욕을 많이 했었던 것 같다. 그리고 책의 담임 같은 선생님은 상당히 짜증나는 타입이었다. 애들을 동등한 인격체로 바라보지 않고 상당히 낮춰서 보는 이런 관점을 가진 선생님은 학생 입장에선 정말 최악이다. 그런 선생님은 별일도 아닌 것 갖고 아이들이 자신을 우습게 본다고 생각하여 화를 내곤 한다. 책에도 그런 부분이 있어서 상당히 공감이 갔다.  

"내가 어떤 사람인지는 잘 알 테니 따로 소개는 안 하겠다. 이렇게 담임과 학생으로 만났으니 일 년 동안 잘해 보자. 알겠나?" 대답이 없자 선생님은 눈을 부라리며 말했다. "왜 대답이 없나!" 모두들 선뜻 대답하기가 어색해 가만있는 걸 텐데, 선생님은 그게 못마땅한지 다시 물었다. "끝까지 대답을 안 하겠다고? 너희들, 첫날부터 나하고 기 싸움이라도 하겠다는 거야?" (11쪽) 

이런 상황은 몇 번 겪어본 상황이다. 그때마다 갑갑했던 기억이 난다. 처음부터 끝가지 아이들의 입장에서 책을 보았다. 욕을 못하게 하는 담임의 처사가 굉장히 불합리하게 느껴졌기 때문이다. 담임은 단순히 아이들이 욕을 하면 안된다는 입장인데, 굉장히 보수적이고 고리타분하게 보인다. 담임은 욕을 하면 안되는 합리적인 이유도 대지 못한다. 왜냐하면 그 딴게 있을 리가 없기 때문이다. 어른들도 욕하고 영화에서도 욕을 하는데 왜 아이들이 욕을 하면 안된다는 건가? 선생님의 입장에서는 단순히 X만한 것들이 욕하는 것이 보기 싫어서 욕을 금지시킨 것에 불과하다.  

나는 아이들도 욕에 대한 표현의 자유가 있다고 생각한다. 아이들이 욕을 하는 건 정서상에 아무런 영향이 없다. 나도 어렸을 때부터 욕을 하며 자라왔고, 지금도 욕을 즐겨 사용한다. 그러니까 욕은 그 자체로 나쁘다고 볼 수 없다. 즉, 목적이라기 보다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어떤 상황에 쓰느냐에 달려 있는 거지 그 자체로 나쁘다고 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담임의 욕금지 처사는 권리남용에 지나지 않는다. 아무튼 어른들의 불합리한 처사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수 있게 한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라끄베르 LV 콜라겐 플러스 3종
LG생활건강
평점 :
단종


엄마 화장품, 싸고 촉촉해서 좋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서관의 기적 - 맑은 날엔 도서관에 가자 2 독깨비 (책콩 어린이) 16
미도리카와 세이지 지음, 미야지마 야스코 그림, 햇살과나무꾼 옮김 / 책과콩나무 / 201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달에 한 번, 네째 토요일만 집에 갈 수 있는 나는 수능을 코앞에 두고 있다.
모처럼 집에 와서 머리를 식힐 겸, 거실 책상에 놓인 <도서관의 기적>을 보게 됐다.
와우~ 이거 대박이다.  
애들 동화책이라고 내심 깔보는 마음으로 집어 들었는데 생각보다 재밌고 감동도 있다. 
나름 책을 잘 읽던 나의 초등시절도 생각나게 한 책이다.  

우리집에는 책이 많아서 학교도서관이나 지역도서관을 드나들 필요가 없었다.
엄마는 다른 건 돈을 아껴도 책 사는데는 인색하지 않아서 우리가 보고 싶은 책을 다 사줬다.
우리가 게임을 하거나 TV를 보고 있으면 '너희들 할일은 다 한거냐?' 잔소리를 했지만
책을 읽고 있으면 공부를 하라거나 귀찮은 심부름도 시키지 않았다.
그래서 우린 책읽기를 좋아하는 척 독서를 했다는 게 진실이다.ㅋㅋ 

초등학교 6학년 때, 장래희망에 '작가'라고 써 넣었더니 엄마가 되게 좋아했다.
그렇다고 내가 작가가 되고 싶었던 건 아니고, 딱히 써 넣을 게 없어서 작가도 괜찮다고 생각했었다.
그런데, 이 책을 읽으니까 이런 작품을 쓸 수 있다면, 작가가 돼도 정말 좋을 것 같다.
도서관에서 일어난 사소한 일을, 꼼꼼한 추리력과 반전을 숨긴 멋진 이야기로 만들어냈다는 게 대단하다.
이 작가는 어릴 때, 할머니나 어머니가 이야기를 많이 해줬을까?
아니면 엄청나게 많은 책을 읽었든지... 
이야기 솜씨가 보통이 아니어서, 애들 동화라고 얕잡아봤다가 뒤통수를 맞는다.  

나도 도서관에 날마다 드나들면 이렇게 멋진 이야기를 만들어낼 수 있을까? 
이 책의 전편인 <맑은 날엔 도서관에 가자>는 못 읽었는데, 그 책도 정말 궁금해졌다.
엄마한테 그 책도 사달래서 꼭 읽어봐야겠다.  

이 책의 줄거리를 줄줄이 늘어놓을 필요는 없다.
초등학교 5학년인가 '시오리'라는 여자아이를 주인공으로 다섯 편의 이야기를 담았다.
시오리는 일본말로 '책갈피'를 뜻하는데, 소설가인 아빠가 지은 멋진 이름으로 의미가 깊다.
이런 멋진 이름을 지은 아빠라면, 엄마와 이혼하고 10년 동안 만나지 못했어도 다 용서할 수 있겠다.

"시오리는 책을 어디까지 읽었는지 알려주는 표시니까, 다음에 다시 책을 폈을 때는 반드시 시오리가 있는 부분에서부터 읽게 돼. 이 말은 곧 이야기는 늘 시오리가 있는 곳에서 시작된다는 뜻이지. '너의 이야기는 언제나 여기서 시작된단다.' 하는 뜻으로 '시오리'라고 지은 거야." (285쪽)

도서관이란, 단순히 책을 읽거나 빌리기만 하는 공간이 아니다.
다섯 편의 이야기를 통해 작가가 독자에게 하고 싶은 말은 바로 이것이다.
'책이 있고, 사람이 있고, 마음의 문을 열면 새로운 만남과 세계가 펼쳐지는 작은 기적의 공간' 이라는 것.
그러니까 어린이들은 열심히 도서관에 다니면서 자기의 이야기를 만들어보라는 뜻으로 받아들이면 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