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 전쟁 시공주니어 문고 3단계 70
서석영 지음, 이시정 그림 / 시공주니어 / 201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욕을 하는 아이들과 욕을 그만 하게 하려는 담임 선생님의 이야기가 책의 내용이다. 읽으면서 초등학생 때가 생각나 재밌었다. 내가 초등학생 때도 욕을 많이 했었던 것 같다. 그리고 책의 담임 같은 선생님은 상당히 짜증나는 타입이었다. 애들을 동등한 인격체로 바라보지 않고 상당히 낮춰서 보는 이런 관점을 가진 선생님은 학생 입장에선 정말 최악이다. 그런 선생님은 별일도 아닌 것 갖고 아이들이 자신을 우습게 본다고 생각하여 화를 내곤 한다. 책에도 그런 부분이 있어서 상당히 공감이 갔다.  

"내가 어떤 사람인지는 잘 알 테니 따로 소개는 안 하겠다. 이렇게 담임과 학생으로 만났으니 일 년 동안 잘해 보자. 알겠나?" 대답이 없자 선생님은 눈을 부라리며 말했다. "왜 대답이 없나!" 모두들 선뜻 대답하기가 어색해 가만있는 걸 텐데, 선생님은 그게 못마땅한지 다시 물었다. "끝까지 대답을 안 하겠다고? 너희들, 첫날부터 나하고 기 싸움이라도 하겠다는 거야?" (11쪽) 

이런 상황은 몇 번 겪어본 상황이다. 그때마다 갑갑했던 기억이 난다. 처음부터 끝가지 아이들의 입장에서 책을 보았다. 욕을 못하게 하는 담임의 처사가 굉장히 불합리하게 느껴졌기 때문이다. 담임은 단순히 아이들이 욕을 하면 안된다는 입장인데, 굉장히 보수적이고 고리타분하게 보인다. 담임은 욕을 하면 안되는 합리적인 이유도 대지 못한다. 왜냐하면 그 딴게 있을 리가 없기 때문이다. 어른들도 욕하고 영화에서도 욕을 하는데 왜 아이들이 욕을 하면 안된다는 건가? 선생님의 입장에서는 단순히 X만한 것들이 욕하는 것이 보기 싫어서 욕을 금지시킨 것에 불과하다.  

나는 아이들도 욕에 대한 표현의 자유가 있다고 생각한다. 아이들이 욕을 하는 건 정서상에 아무런 영향이 없다. 나도 어렸을 때부터 욕을 하며 자라왔고, 지금도 욕을 즐겨 사용한다. 그러니까 욕은 그 자체로 나쁘다고 볼 수 없다. 즉, 목적이라기 보다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어떤 상황에 쓰느냐에 달려 있는 거지 그 자체로 나쁘다고 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담임의 욕금지 처사는 권리남용에 지나지 않는다. 아무튼 어른들의 불합리한 처사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수 있게 한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