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5
배삼식 지음 / 민음사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광복이후는 신천지가 아니었다.특히 북간도나 경계선상의 사람들에게 해방은더욱 혼란스런상황이었나보다.주인공들은 조국을 잃고 만주에 기거하는 조선여인과 떠도는 일본여인들이다. 다소 낯설게 여겨지지만 아주 그시대에는 중국조선일본인들이 뒤섞여 만주나 간도에서 해방전까지 불편함없이 잘 살아왔다. 아마 그들은 광복후에 각자 나라로돌아가려했지만 쉽지가않았던모양이다.타지를 떠돌며 한이 자신도 모르게 내면에 쌓여있는 것같다..그러면서도 전재민구제소에서 귀환을 준비한 걸보면 결국 회귀본능처럼돌아가길 생각한 것아닐까? .그 와중에 만난 위안소에서 일본관동군노리개였던 일본여인과 조선여인은 용케 서로에게 동병상련의 감정을 느끼게 되고 상대를 연민하게 된다.
시대의 피해자라는 자의식에 차 있던 그녀들의 갈등이 드러난다.성 노리개로 원치않던 삶을 살아야했던 그녀들의 운명을 조선인들조차 비웃고 자매로행세하는그들에게 의혹의 눈길을 보낸다..
벙어리여동생으로 행세하는 일본여인미즈코는 그곳에서 무엇을느꼈을까,일본인으로서의 자의식?아니면 죄의식?

배삼식희곡에 등장하는 여러 인간군상들은 시대의 아픔 을 내포란다.식민지 여인과 일본인자매라 ..주인공들은 그시대 조선인들도 일본인들도 그랬듯이 자신의 자아를 이해를 못하고 그들의 삶은 여전히 혼란스럽다..

시대의 불행에 저항못하고 굴종해 살아갔다는 자괴감이 곳곳에서 보이지만 격동의 조류에 부딪친 주인공들은 미즈코과 조선인 명숙을 통해 기구한 삶에 대해 관조적인 철학을 보여준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