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도 기억하지 않았다
안재성 지음 / 창비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단편이지만 우리나라 현대사의 비극을 개인적인 전향수를 통해 보여주는 내용이다.

 책의 줄거리를 보면 우리나라 6.25전쟁의 과정을 상당부분 담고 있다. 주인공은 의용군으로 북한군에서 복무하다 지리산의 빨치산부대로 남하한다.결국 토벌전에서 붙잡혀 복역을 하며 10년 감옥생활에서 전향서를 쓰고 석방되었지만 이념의 사이에서 갈등하면서 자신의 인생이 초라하고 삭막하게 느껴지는 외로움과 허탈함은 어쩔 수 없었다.인민군들 소년병들 의용군들을 이용한 북한 정권은 공산당내에서 권력투쟁에만  바쁘고 개인의 고독하고 외로운 삶은 관심이 없었다.대부분의 그시대의 민초들이 그렇게 위정자들에게 외면받았던 것처럼...

  전향했음에도 불구하고 남한의 민주주의 사회에 적응하지못한 주인공의 생에 동정을 느낀다. 

 차별과 빨갱이라는 사회적통념때문인데 국민의 개인으로서의 보호를 해야하는 책임을 사회가 외면할때  개인은 어떻게 해야하는가? 전쟁에서 살아남았으나 복역수 그리고 전향수의 삶을 되짚어가는 과정을 통해 이런 이들이 한둘은 아니었을거란 생각이 든다.

 그리고 그런 이들을 지켜봐야했던 주위 사람들은? 

전향하기까지 엄청난 고뇌를 겪어야했던 주인공은 법정에서 고백한다.하지만 그것도 공허한 울림이었다.

 "국토가 두 동강이로 나누어진 이 약소민족의 처지가 저로 하여금 법정에 서지 않을 수 없게 만들었다고 생각됩니다.” - p.215

이말은 전향수인 주인공의 심정을 처절하게 대변한 말이다.아마 한씨 연대기처럼  전쟁이 무고한 개인의 삶을 어떻게 망쳤는지 여실히 보여준다.

  전쟁의 억울한 희생자인데도 사회주의의 이념에 영향을 받았다는 이유로 무고하게 사상범이라는 죄명을 쓰고 희생된 이들은  어떻게 생을 마감했을까? 이 소설은 어쩌면 자신들의 한많고 원망많은 설움을 누구에게도 풀지도 이해받지도 못한  불행한 인생의 한풀이인지도 모르겠다.

사회주의가 실현불가능한 이상뿐이랄걸 언제쯤 사람들은 깨달을지 그리고 그때쯤이면 이런 사상적으로 미아같은 이들이 더 나오지않을지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