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은 안녕하시다 1 - 성석제 장편소설
성석제 지음 / 문학동네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높은 신분이 다 좋은 건 아니다.한량이 오히려 자유로운 삶을 누린다.비록 서자지만 성현은 인생을 마음것 즐기고 산다.그러다 만난 꼬마..의외로 그는 조선의 세자였다.그리고 의형제가 되어 그는 왕의 측근에서 조선의 정치민낯을 보게된다.

 주인공은 한량이였다가 늦게 철이 나 왕을 호위하는 이라 그런지 내용곳곳에 역사적 향기가 묻어난다.각박한 신분제와 당쟁에 찌든 사회지만 왕이 노력하기에따라 변혁을 추구하고 즐길수 있다는 꿈을 가진 것이다.비록 늦게 시작해서  성공할 수 없을지라도...

 가장 중요한 것은 정치가 시대와 분리될 수가 없다는 것이다.당쟁이든 궁중암투든 그것들에는 그시대의 시대사조와 철학이 배어들게 마련이다.

 특히 조선시대의 왕의 평생을 설명하는  태어나 죽기전까지 그시대를 산 인생을 보여주는 소설로  서자이면서도 꺼리낌없이 산 주인공과 왕이라는 장중한 설명이 따라붙지만 의형제인 왕은 그 속에 배여있는 건 중압감과 유교적 가치관에 묶여 살아 고뇌가 진하다. 대다수 양반관료의 자제들이 그랬던 것처럼 ..과거급제로 대표되는 입신양명과 가문의 위신을 세워야하는 유학적인 이데올로기를  출세로 구현해야하는 만큼 과거급제자를 얼마나 떠받들며 대우했던 시대의 마음씀을 소설로  알 수 있다.그 시대의 엄친아들은 장원급제자와 비교하며 얼마나 열등감을 느꼈을까? 지금의 학벌과 스펙좋은 사람들과 비교하는 것과 다름없이 서자로 태어난 주인공처럼 많은 주변인들 그들도 고뇌가 많았겠지?문제는 그런 유교적 가치관으로 무장된 서인과 남인의 관료들틈에서 왕의 권위는 형편없다는 데 울분한 소년이다.

 그런 왕을 따라 궁으로 들어간 ,기방을 드나들며 파락호로 이름날린 성현에게 궁중에서는  유교적인  구속으로 고생을 주체못하는 일들이 종종 있었다.그러나 그는 외로운 소년왕을 끝까지 지킨다.그런 그도 장희빈의 미색은 찬양해마지않는다.여색을 밝히면서도 여자자체는 무시한다.조선사회의 뒷면이기도하고 현재 우리사회의 문제이기도하다.

 한편 숙종은 커나가며 대동법같은 개혁조치를 통해 작은 소재로도 새로운 변혁을 촉발할 수 있었다.

  개혁을 통해 양반세도가의 권력을 분해해서 왕권을 구축하려는  시도는 당대로는 획기적이기도 했지만 그의 국정운영을 보면 군주로서의 절대권력이 어떻게 변해가는지가 드러난다.송시열을 죽이기까지하며 추구했던 것은 세자책봉보다 군주의독재권력이었다..그리고 두여인을 이용한 붕당정치의  시작한만큼은 왕에게 책임이 있다고 할 것이다.결국 주인공은 그가 좋아했던 주군이 변해감을 느끼고 궁을 나와 옛 친구와의 우정을 그리며 쓸쓸하게 생을 끝낸다 .유교적 이데올로기를 극복못한 사회적 개인적 비극이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