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 나이 50 - 쉰 살을 기쁨으로 맞이하는 50가지 방법
마르깃 쇤베르거 지음, 윤미원 옮김 / 눈과마음(스쿨타운) / 2009년 5월
평점 :
품절


내가 어렸을 때 기억으로는 나이 50은 할머니, 할아버지였다.

하지만 마흔을 지나고 있는 지금 나는 아직도 이팔청춘의 꿈을 간직하고 있을 뿐.

의학과 과학이 발달하고 살아가는 양식이 바뀌어 세월이 점점 좋아진 현재,

우리 인간들의 수명이 길어져 이젠 보험에서도 80세까지가 아니라 100세 보장이다.

쉰 살, 그렇다면  우리 인생의 딱 절반의 기로에 서있는 셈.

앞으로 아니 이제부터 어떻게 살아가야할지 생각해 보자.

책 표지에 피어난 화사하고 밝은 꽃들이 바로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잘 대변해주고 있다.

 

지금 우리가 살아가는 시대에서 50이란 나이는 그야말로 제2의 생을 살기에 좋은 나이가 아닐까?

결혼해서 가정을 이루어 서투른 살림하랴 아이들 낳고 키우랴 정신없이 살아온 시간에서 벗어나

이제는 진정으로 자기자신을 돌아보게 되는 시간이 온 것이다.

허둥지둥 혹은 종종거리며 바쁘게 살아온 지난 날을 돌아보고 어느새 이젠 나의 품을 떠난 아이들을 보면서,

어느새 한 두가닥씩 늘어나는 하얀머리카락을 뽑아내고 얼굴에 늘어나는 주름을 보면서 슬퍼하거나 허무해 하지는 말자.

그것이 내가 살아온 인생이고 삶이고 나의 역사니까.

누구에게나 웃음이 있었고, 눈물도 흘리고 때로는 허탈해 하며 쓰디쓴 인생의 고배도 맛보았을 것이다.

물론 이들은 앞으로 남은 생애도 쭈욱 같이 할 것이다.

하지만 이제는 내가 선택을 해보는 것이다. 내 삶을 웃으며 살 것인지 화를 낼 것인지 그저 방관자로 지낼것인지.

내가 살아가는 삶에 끼어드는 방해자들로 인해 울기도 하고 아프기도 하고 후회도 하게 되겠지만

나는 기꺼이 기쁘게 웃으면서 즐겁게 살아가는 나의 인생을 택했다. 왜? 나 인생은 나의 것이니까.

 

누구에게나 자신만이 가진 잣대로 세상을 보고 상대방을 보면서 판단을 한다.

그리고 자신처럼 그 잣대에 맞추어주길 바라게 된다. 하지만 이제 난 그것이 나의 고집이었음을 나의 착오였음을 깨달았다.

세상과 상대방을 변화시키는 것보다 내가 그와 다름을 인정하는 것이 나와 그들을 편하게 해준다는 것을 겨우 깨닫게 된 것이다.

저자가 이야기하는 쉰 살을 기쁨으로 맞이하는 50가지 방법을 읽다보면 고개가 끄덕끄덕, 갸웃갸웃거리게 된다.

대형출판사 일을 하다가 50이란 나이에 독립을 하였고 '쉰 살이 된다고요? 걱정하지 말아요!'그리고

'우린 뚱뚱해. 근데 어쩌라고?' 등등의 책도 출간한 그녀의 재치넘치는 입담이 곁들어진 조언을 들어보라.

아마 나이듦에 대한 두려움을 기꺼이 버리고 기쁘게  맞이할 수 있으리라.....

 

그렇다. 이제 당신은 쉰살이다. 그런데 그게 뭐 어떻단 말인가? 아무런 일도 벌어지지 않았다.

오히려 단호한 태도로 앞날을 결정할 수 있게 되었다..............

이제부터 당신은 다른 사람이 아닌 오직 자신을 위해 인생을 꾸려 나갈 수 있다.  

 

쉰 살이 되었거나 넘었더라도 지금까지 해오던 그대로 하면 된다.

걷다가 신발에 돌조각이 들어가면 항상 하던 대로 털어버리면 된다.

와인 잔이 비지 않았는지 세심히 살피면서, 멋지게 쉰 살 생일을 자축하자.

현재’란 3초면 지나가버리는 찰나에 불과하다. 그러니 순간순간을 소중하게 즐기자.

명심하자, 우리는 행복한 삶을 위해 필요한 모든 요소를 갖춘 완벽한 존재임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