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다 위의 과학자 - 망망대해의 바람과 물결 위에서 전하는 해양과학자의 일과 삶
남성현 지음 / 흐름출판 / 2025년 2월
평점 :
지구를 구성하고 있는 대기, 육지, 바다 중에 바다만을 연구하고 있지만, 자연환경을 연구하다 보면 어떤 순간이 현상이 아니라 지구 환경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를 지켜보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 -161

바다 위의 과학자, 제목을 보는 순간 바다 가까이에서 살왔기 때문인지 반가운 마음이 먼저 들었다.
그렇다고 바다를 보러 자주 가거나 해수욕을 즐기지는 않았지만 늘 넓고 푸른 바다를 보면서 걷거나 산 위에서 바라보는 멋진 풍경을 누리며 지냈다. 그렇기에 바다가 없는 삶은 생각해본 적이 없었다.
호수같이 잔잔한 바다, 세찬 비바람에 거친 파도를 일으키는 바다, 산들산들 바람따라 출렁이는 바다를 보고 있으면 마음도 평화로워지고, 끝없이 펼쳐진 저 바다 너머에는 무엇이 있을까, 이세상 어디와 이어질까, 우리의 상상력과 호기심을 자아내기도 하던 바다가 있어서 참 고마웠기에 이야기들이 실감나고 또 그 시간을 함께 하고 싶기도 했었던 시간이었다.

모든 물이 바다에서 온 것이라면 우리 한사람 한사람이 하나의 바다가 아닐까. -24
직접 배를 타고 먼바다로 나가 바다의 움직임을 관찰하는 해양물리학자인 작가의 이야기는 가까이에 살면서도 잘 몰랐던 바다와 해양과학자, 소중한 우리의 지구, 해양 영토, 해양 생물과 지구 환경, 기후에 대한 관심을 기울이게 했고 더 많이 더 자세히 알고 싶어졌다.
육지가 보인다면 아직 바다가 아니라는 작가의 말에 순간 당황하면서 웃기도 했지만 지구 표면의 7할의 차지하고 있는 바다 즉 동해, 황해. 대서양, 인도양, 태평양 등 드넓은 바다로 나가볼 수 있는 시간이었다.
덕분에 해양 연구와 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리라.
긴장을 늦출 수 없는 시간, 동료들과의 유쾌한 기억, 경이로운 자연의 신비 등 생생한작가의 경험과 생각, 깨달음, 연구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우리의 시선과 관심을 그 깊이와 넓이를 가늠할 수 없는 미지의 세계인 바다로 향하게 했다.

바다가 항상 순환하는것처럼 지구 생태계도 멈춰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 알 수 없는 어떤 법칙 속에서 생생하게 살아 움직이고 있는 것이다. -164
높은 파도가 치는 날 배를 탄 적이 있다. 롤러코스터를 타는 듯 앞뒤옆으로 크게 움직이는 배안에서 멀미할 겨를도 없이 놀란 아이를 꼭 안고 있었던, 잊을 수 없는 기억이다. 가까운 바다에서도 그러한데 망망대해 혹는 남극, 북극에서 배를 타며 생활하고 위험한 순간들을 직면하기도 했을 상황들이 그려져서 걱정이 앞서기도 했다.
또한편으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범접할 수 없는 세계를 직접 보고 경험한다는 것을 생각하면 부러운 마음도 들었다.
바다가 가까이 있어 친근하다고 생각하지만 한 발 짝만 더 나아가면 끝을 알 수 없는 깊은 심해에 어떤 비밀을 품고 있는지 좀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그날이 기다려진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