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는 언제나 희망하고 있지 않나요 - 나로 살아갈 용기를 주는 울프의 편지들
버지니아 울프 지음, 박신현 옮김 / 북다 / 2024년 9월
평점 :
그러나 비평은 얼마나 어려운가요! 단 하나의 단어도 두 사람에게 동일한 의미를 지니지 않습니다. 내 작품에 도움을 받는 것에 대해서는 모든 희망을 포기했습니다. 비난은 불쾌하고 찬사는 유쾌하지만 어느 쪽도 내가 하고 있는 것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하지만 내가 늘 주장하듯이, 스스로가 느끼는 즐거움만이 유일한 길잡이이며, 그 즐거움이 현재 네 권의 책을 더 계획하도록 저를 이끌고 있습니다. -139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1005/pimg_7830351464452708.jpg)
우리는 언제나 희망하고 있지 않나요, 버지니아 울프를 만나는 시간이다.
‘편지가 없다면 살 수 없을 것’이라고 고백했을 만큼 편지 쓰는 걸 좋아했다는 버지니아 울프의 편지를 읽는 시간, 언니, 남편, 애정했던 에델 스미스, 소설가 캐서린 맨스필드와 같은 예술가들, 독자들 등 다양한 사람들과 주고받은 편지들이 처음으로 국내에 소개되는 것이라 한다.
자유, 상상력, 평화 3부로 구성하였고, 부록으로 실린 에세이를 읽으면서 버지니아 울프의 생애를 따라가는 시간이기도 하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1005/pimg_7830351464452710.jpg)
버지니아 울프하면 자유, 자기만의 방을 먼저 떠올리게 된다.
책 표지 속 버지니아 울프의 모습은 주위 사람들의 시선에 아랑곳하지 않는 듯 당당해 보인다.
결혼, 살림과 글쓰기에 대한 고민, 차별, 출판, 전쟁에 대한 이야기를 쓰고 있는 그녀의 모습을 그려보게 된다. 하루의 일과를 마무리하는 시간, 고요함 속에서 편지를 쓰는 걸까?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1005/pimg_7830351464452712.jpg)
저녁에 쓰는 편지는 솔직해지기도 하지만 감상적인 글을 쓰게 된다. 같이 직장생활을 하던 선배가 일을 그만두면서 1년여간 편지를 주고 받았던 기억이 있다. 지금 생각해도 이상한 건 전화가 훨씬 편리하고 목소리도 들을 수 있어서 좋았을텐데 굳이 편지를 썼느냐하는 것이다. 지금도 가끔씩 생각난다. 그럴때면 같은 하늘 아래 어디선가 잘 지내고 있을거라고, 마음으로 안부를 묻곤 한다.
이제 질문은 '당신에 대한 내 감정이 바뀔 것인가?'예요. 지난 몇 달 동안 나는 당신 안에서 살다가 나왔죠. 당신은 정말 어떤 사람인가요? 당신은 존재하나요? 내가 당신을 만들어 냈나요?(....) -187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1005/pimg_7830351464452713.jpg)
《등대로》를 출간하고서 언니에게 책을 보내고 의견을 듣고 싶어 하는 편지에서는 사이 좋은 자매의 모습을 짐작할 수 있었고, 서로 고민을 나누는 모습이 그려졌다. 그러다가 자동차가 이 책의 판매에 달려 있다는 말에선 갑자기 현실적인 문제로 돌아오게 된다.
이렇듯 버지니아 울프의 작품인 《댈러웨이 부인》, 《올랜도》, 《파도》 등 그녀의 작품들이 편지 속에서 언급되고 있는 것이 신기하기도했고 더 사실적으로 다가왔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