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를 네이티브처럼 말하고 쓰는 법 - 원어민처럼 자연스러운 영어에는 원리가 있다
최정숙 지음 / 동양북스(동양문고)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어를 네이티브처럼 말하고 쓰는 법!

영어회화 공부를 시작한 지가 벌써 몇 년째인지, 올해는 그만할까하면서도 여전히 미련을 버리지 못한 나의 시선을 붙잡은 책이다.

그나마 글자로 보면 머릿속으로는 따라가지만, 막상 말을 해야하는 상황이면 간단한 단어마저도 생각나지 않고 하얀 백지가 되어버리니 난감하기 그지없다. 우리말을 유창하게 말하는 외국인들은 드라마나 K-pop으로 배웠다고 하는데 나는 왜 안되는 걸까, 이번에는 기필코 제대로 알아야겠다.


우리말 그대로 영어로 말하는 한국식 영어가 아니라 원어민처럼 말하고 쓰기 위한 영어식 사고가 필요하다.

저자는 내가 말하려는 의미를 담을 수 있는 영어적 구조를 반드시 학습해야 한다고 말한다. 먼저 파트 1에서 제공하는 한국어와 영어 구조의 결정적인 차이를 설명하는 핵심 10가지를 통해 스스로 연습하고 저자와 함께 풀어가보자.

네이티브처럼 말하기와 네이티브처럼 쓰기로 구성되어 있다.


'자전거로 이동하면서 그는 계획을 생각해 낼 약간의 시간을 벌었다'를 어떻게 말할 것인가?

'The bike ride gave him some time to come up with a plan.'

저자의 강의를 듣고 있는 듯 자세한 설명으로 이야기를 풀어간다. come up with와 think about의 의미의 차이나 쓰임에 대해서도 알 수 있었고, 이동 수단에 따라 사용하는 단어가 달라진다는 것도 짚어주었다.

사물 주어라는 용어가 낯설었다. 영어에서 부사절은 문장의 뒤에 쓰이는데, 주어 자리에 들어갈 만큼 중요한 내용일 때는 이 부사절을 사물주어의 형태로 바꾸는 것이다. 설명을 듣고 비슷한 문형을 보니 눈에 들어오고 이해가 되었다.


단어의 의미와 뉘앙스에 대해서도 생각해볼 수있는 시간이었다. stop, cease, halt, pause 모두 멈추다는 의미를 가진 단어들이다.

아마도 대부분 나처럼 stop을 먼저 떠올리겠지만 문맥에 맞는 단어를 사용할 수 있어야한다.

네이티브처럼 쓰기는 우리가 책을 읽거나 일상에서 말하듯 긴 문장이어서 보는 것만으로도 벅찼지만, 한 문장씩 설명을 들으면서 차근차근 써 본다.

네이티브처럼 말하고 쓰기, 우리말을 하듯 자연스럽게 하고 싶은 말을 표현할 수 있도록 문법, 단어의 쓰임, 늬앙스, 문맥에 대해 꼼꼼하게 읽으면서 영어문장의 구조와 원리를 알아가는 시간, 재밌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을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