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시 이반 부닌. 너무 좋다. 처음 읽는 작품들이 많아서 더 좋았다.

샌프란시스코에서 온 노인의 시체는 신세계의 해안에 있는 집으로, 무덤으로 돌아가고 있었다. 일주일간 수많은 모욕과 인간들의 무관심 속에 항구의 창고에서 다른 창고로 옮겨다닌 시체는 마침내 바로 얼마전까지 구세계로 가는 그를 퍽이나 융숭하게 대접했던 그 유명한 배에 다시 타게 되었다. 하지만 이제 그는 산 자들에게서 감추어졌다. 타르를 칠한 관 속에 넣어져 캄캄한 선창 깊이 내려보내졌다. - P36

"가장 큰 희극이 뭔지 알아? 네가 누군가를 사랑하게 되면 네가 사랑하는 그 사람이 너를 사랑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아무리 설득해도 믿을 수가 없다는 거지. 바로 그게 문제야, 창. 그렇지만 삶이란 얼마나 멋진가. 정말 멋져!" - P51

그렇게 창의 낮과 밤은 단조롭게 흐른다. 세상은 마치 기선처럼 어느 날 아침 갑자기 부주의한 눈에는 보이지 않는 물속 암초에 전속력으로 부딪히는 것이다. 어느 겨울 아침 잠에서 깬 창은 방안을 지배하고 있는 거대한 고요에 놀란다. 그는 곧바로 자리에서 벌떡 일어나 선장의 침대로 뛰어든다. 그리고 창백하게 굳은 열굴에 눈이 빈쯤 열려있고 고개는 뒤로 떨군 채 이동도 없이 누워 있는 선장을 본다. 그 눈을 본 창은 그의 다리를 쳐서 넘어뜨렸거나 거리를 달리던 자동차에 치인 것처럼 절망적인 울음소리를 낸다. - P60

처음 만난 순간부터 집요하게 미타를 원하고 갈구하던 카타가 있었다. 그리고 안타깝지만 그런 카타와 전혀 닮지 않은 평범한 원래의 카타가 있었다. 그러나 그때만 해도 미타가 지금과 같은 느낌을 경험하지는 않았다. - P245

무언가가 그녀를 그에게서 떨어지도록 만드는 것 같았다. 미타는 교장에 대헤 편안하게 생각할 수 없었다. 하지만 교장은 큰 문제가 아니었다! 교장 말고도 또다른 관심사들이 카타의 마음을 차지한 것 같았다. 누가? 무엇이? 미타는 알지 못했다. 그는 카타 때문에 모든 것에 대해, 모든 사람에 대해 질투심을 느꼈는데, 특히 그녀가 그몰래 무언가를 시작한 것이 분명하다고 상상하며 질투심에 불타올랐다. 그가 느끼기에는 뭔가 불가항력적인 힘이 카타를 그에게서 먼 어딘가로, 혹은생각만 해도 끔찍한 어떤 것으로 끌어가고 있는 것 같았다. - P246

"이해할 수가 없어요. 당신은 왜 나를 사랑하는 거죠? 당신 생각에 내 모든 것이 그렇게 천박하다면 말이에요! 도대체 나에게 뭘 원해요?"

그러나 그 자신도 그녀를 사랑하는 이유를 알지 못했다. 그녀 때문에, 그 사랑 때문에, 그 사랑의 긴장된 힘으로 인해 점차 늘어만 가는 요구 때문에 그는 누군가를 혹은 무언가를 끊임없이 질투했고, 질투로 인한 같등이 커질수록 그의 사랑은 줄어들기는 커녕 더욱더 커져가는 듯했다. - P250

그가 그녀에게 느끼는 감정은 무엇인가? 사랑이라 불리는 것인가, 아니면 정열이라 불리는 것인가? 그녀의 외투 단추를 끄르고 천국처럼 매혹적인 가슴에 입을 맞출 때, 그 가슴이 영혼을 뒤흔들 만큼 순종적이고 순진무구할 정도로 부끄러움을 모르는 듯 열려 있을 때 그를 거의 기절할 정도로 죽음 직전의 황홀경으로 이끄는 것은 카타의 영혼인가 아니면 육체인가? - P25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