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연수 작가의 장편 역시 좋았다. 이런 재미난 이야기에 감각적인 문장까지 완벽했다.

처음에는 밤새워 일하는 게 너무 지루헤서 이런저런 이야기를 꺼내기 시작한 것이었는데, 결국 나중에는 서로 상대방의 이야기에 중독 되고 말았던 것이다. 시작부터 그런 식으로 관계를 맺게 되자, 이내 도저히 이야기를 멈출 수가 없게 됐다. 이야기를 멈추게 되면. 그러니까 더이상 할 수 있는 이야기가 없어진다거나, 혹은 그게 아니더라도 더이상 이야기가 하고 싶지 않게 된다면, 우리 둘의 관계는 그 순간 끊어질 것 같았다. 그리하여 이야기는 계속됐다. - P18

"생각해봐. 지금 안 보면 영영 못 보는 거야. 게다가 그 사진을 보지 않고는 네 할아버지 이야기를 이해할 수 없어. 당연하잖아 나는 한 번도 입체 누드사진이리는 걸 본 적이 없으니까. 그런 사진이 있다는 이야기도 들어본 적이 없는걸. 나로서는 상상할 수도 없는, 그러니까 북극의 오로라 같은 거야. 아무리 설명을 들어도 이해할 수가 없다고. 그러니 빨리 가서 가져와. 나머지 이야기는 그 사진 보고 나서 들을 테니까." - P20

꿈은 끝나도 마음은 오랫동안 그 주위를 서성거릴 수밖에 없는 법이다. 그런 끼닭에 인생은 우리가 예상하는 것보다 조금 더 오래 지속된다. - P33

"그러니까 별자리교실의 설명대로라면 저 별이 베가니까 직녀별일 테고, 저 별이 알타이르니까 견우별이겠구나. 어떻게 옛날 사람들은 저렇게 멀리 떨어진 두 별이 서로 만나면 좋겠다고 생각한 걸까? 그때도 세상은 서로 그리워하는 사람들로 가득했던 걸까? 아무리 외로워도 여름밤이면 다들 참 마음이 편안해지고 위로가 됐겠네. 저렇게 멀리 떨어진 별들도 일 년에 한 번씩은 서로 만날 수 있다고 생각하면 아무리 힘들어도 참았겠다, 그지? 고개만 들면 거기 서로를 간절히 그리워하는 별들이 보였을 테니까." - P144

무슨 일인가 일어나고, 그 순간 우리가 예전의 자신으로 되돌 아갈 수 없게 된다는 점에서 인생은 신비롭다. 그런 탓에 우리는 살아가면서 몇 번이나 다른 삶 속으로 빠져들게 된다. 무주에서 정민과 나란히 누워 바라본 밤하늘처럼 인생은 광활하고도 끝이 없기 때문이다. 끊임없이 다른 모습으로 바뀌어가는 무한한 삶, 그럼에도 우리의 삶은 일생, 즉 하나다. 우리의 삶이 하나의 이야기로 이어지지 못한다면 우리는 결국 미쳐버렸을 것이다. - P150

차이코프스키 교향곡 제4번의 세계란? 패배하는 것은 언제나 인간일 뿐, 운명은 결코 패배하지 않으니 꿈처럼 지나가는 비극의 삶에서 살아남겠다면 먼저 웃으라는, 쓸쓸한 목관과 유머러스한 현악의 전언. 그 순간 베르크 씨는 차이코프스키가 그 교향곡을 작곡한 이래, 인류가 그 곡을 어떤 식으로 들었건 이제 그것으로 충분하다고, 그러므로 다음에 올 인류는 자신만의 방식으로 그 곡을 새롭게 들어야만 한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 P220

"지금 네가 느끼는 그 세상이 바로 너만의 세상이야. 그게 설사 두려움이라고 하더라도 네 것이라면 온전히 다 받아들이란 말이야. 더이상 다른 사람을 흉내내면서 살아가지 말고." - P254

내가 한때나마 존재했었다면 그건 오직 당신 때문이었어. 얼룩무늬 소피에게 맹세했다시피, 존재가 없었다면 고통도 없었을까. 그렇다면 당신에게 사랑한다고 말하는 그 순간이 내게는 가장 고통스러운 시간이었어. 나는 그 고통을 매순간 맛보고 있어. 너무나 달콤한 고통이야. 나는 지금 하얀 숲속에 있고, 모든 것은 끝나가고 있어. 지금으로서는 그 고통을 이제 더이상 맛볼 수 없다는 게 가장 힘들 뿐이야. 사랑해. 사랑해. 사랑해. 사랑 해. 사랑해. - P269

"어둠이 서서히 내리는 저녁이에요. 동쪽 하늘은 파랑고 거기로 별이 떠올라요. 하지만 서쪽을 보면, 아직 빛이 남아 있는 거죠. 요즘 베를린의 밤처럼 말이에요. 밤이 깊었는데도 사라지지 않는 빛. 모든게 끝이 난다고 해도 인생은 조금 더 계속되리라는 그런 느낌." - P377

우리는 인생을 두 번 사니까. 처음에는 실제로, 그 다음에는 회고담으로. 처음에는 어설프게, 그 다음에는 논리적으로. 우리가 아는 누군가의 삶이란 모두 이 두번째 회고담이다. 삶이란 우리가 살았던 게 아니라 기억하는 것이며 그 기억이란 다시 잘 설명하기 위한 기억이다. - P384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페크pek0501 2024-04-28 11:5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월 1회라도 밑줄 그은 문장들, 을 올려야겠단 다짐을 해 봅니다.
새파랑 님의 성실성을 좋아합니다.^^

새파랑 2024-04-28 13:57   좋아요 1 | URL
감사합니다~!! 요새 책만 읽고 리뷰는 안쓰고 있는데 좀 찔리네요 ㅋ 성실하지 못해서...

밑줄긋기 하면 나중에 기억하기도 좋고 편하더라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