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과 우연들 (리커버 에디션)
김초엽 지음 / 열림원 / 2022년 9월
평점 :
품절


나는 김초엽 작가에 대해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이라는 초대박 베스트셀러 데뷔작을 통해 화려하게 등단한 천재 SF 소설가… 라고만 생각했었다. 개인적으로는 SF 장르의 경우 단편보다 장편을 훨씬 선호하기 때문에 <지구 끝의 온실>과 <므레모사>를 더 재밌게 보긴 했지만, 어찌되었든 읽으면서 이 작가 참 대단하다는 생각을 했던 것도 사실이다. 그래서 김초엽의 에세이가 출간되었다는 소식이 들리자마자, 또한 그 책의 제목이 <책과 우연들>이란 걸 보자마자, 책을 좋아하는 사람으로서 꼭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을 지우기가 힘들었다.



그러나, 작가님은 내 생각과는 아주 많이 다른 분이었다. 소설을 쓰는 데에 수많은 노력과 고민이 선행되었고, 사람들의 평가에 위축이 들기도 또는 감동을 받기도 하는 ‘사람’이었다. 소설가의 에세이를 읽는 것을 좋아하는 데엔 이런 이유들이 있는 것 같다. 본인이 소설을 대하는 태도를 엿볼 수 있다는 것 말이다. 그저 독자로서만 소설을 즐겼던 때와는 달리 본인이 소설을 직접 쓰게 되니 막막한 벽처럼 느껴지기도 하면서 동시에 더욱 소설이 소중해졌다는 내용들이, 만약 나도 소설을 쓰게 된다면 꼭 그러한 생각이 들 것만 같은 이입을 불러일으켰다. 



SF 장르를 주로 쓰시는 소설가이다보니 과학 분야의 책들이나 해외의 다른 SF 소설들과 관련된 내용이 많았다. 개인적으로는 SF 소설을 썩 즐기는 편이 아니어서 그냥 그런가보다… 재밌나보다… 하며 넘기며 읽었다. 그러다가 내게 아주 큰 공감을 불러일으킨 부분이 있어 그 내용을 소개할까 한다. 왜냐하면 그 부분이 ‘서평’을 쓰는 사람의 입장이 담겨있기 때문이었다. 바로 김초엽 작가님이 독자로서 어떤 책에 대해 신랄하게 비판하는 수준으로 감상을 블로그에 남기신 적이 있는데, 그 책의 저자분께서 직접 그 비판을 보고선 답글을 남겼다는 내용이었다. 김초엽 작가님은 저자가 직접 자신의 글을 볼 줄 몰랐기 때문에 그런 글을 적은 것이지만, 그 저자의 답신(?)을 보니 너무 놀라고도 창피해서 곧바로 그 블로그 글을 지우셨다고 한다.



나에게도 비슷한 경험이 있다. 다만 작가님과는 정반대의 경험이다. 나는 김병운 소설가의 <기다릴 때 우리가 하는 말들>을 읽고 너무 좋아서 그 책을 찬양하는 정도의 리뷰를 남긴 적이 있다. 이후 해당 책의 북토크 자리에 참석하게 되었는데, 거기서 북토크가 끝난 후 책에 작가님의 사인을 받던 중에 벌어진 일이다.

 - “이름이 뭐예요?”

 - “OOO 입니다.”

 - “어? 인스타그램에 리뷰 남겨주신 분 아니세요?”

그 말을 듣는 순간, 마음이 그렇게 벅차오를 수가 없었다. ‘맞아요!! 그 사람이 바로 나예요!!!’라고 소리치며 온갖 주접을 떨고 싶은 마음이 굴뚝 같았으나, 사람들이 꽤 있던 그 자리였기 때문에 들뜬 마음을 최대한 자제하며 “헉, 어떻게 아셨어요?” 정도의 문장만을 내뱉을 수밖에 없었다. 작가님께선 자신의 책에 대한 리뷰를 종종 찾아보신다고 하셨고, 좋은 평을 남긴 내 글에 고마움을 느끼셨다고 했다. 물론 나는 그런 작품을 써주셔서 더 감사드린다는 말과 함께 행복한 마음으로 북토크 자리를 떠날 수 있었다.



이 책을 읽으며 그때의 기억이 새록새록 되살아났다. 나는 좋은 감상을 남겨서 작가님과 웃는 얼굴로 대면할 수 있었지만, 만약 별로였던 감상을 남긴다면 꽤나 껄끄러웠을 것 같다는… (아마 껄끄러운 수준이 아니겠지, 훨씬 그 이상이겠지) 생각이 든다. 아마 이 글을 보는 사람들 대부분이 ‘북스타그램’을 하고 있을 것이고, 그런 분들께 이 책은 정말 공감가는 부분이 많지 않을까 싶다. 특히 SF를 좋아하는 사람은 더더욱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