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고 차가운 오늘의 젊은 작가 2
오현종 지음 / 민음사 / 201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부 기계가 살인 기계로 전도되다!’, ‘악을 없앨 방법은 악 밖에 없을까?’ 라고 쓰인 뒷표지 문장에 이끌려 홀린 듯이 이 책을 구입하였다. (민음사 패밀리데이 행사로 아주 저렴한 값에 살 수 있었다.) 최근 들어 계속 묵직하고 교훈적인(?) 작품들만 읽다보니 쉬이 잘 읽히는 소설을 읽고 싶었고, 그중에서도 한국 소설을 읽고 싶었다. 아무리 쉽고 재밌다고 해도 번역이 엉망이면 가독성은 급격히 떨어진다는 생각 때문이었다. 그렇게 나는 한동안 놓았던 추리, 스릴러 장르의 <달고 차가운>을 집어들었다.

.

다 읽고 나니 ‘애거서 크리스티’가 계속 머릿속에 맴돌았다. 지금까지 읽은 애거서 크리스티 작품과 느낌이 굉장히 비슷하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일단 장점부터 말해볼까? 먼저, 미친(?) 속도의 전개와 흡입력 넘치는 문체를 들 수 있다. 나는 이틀 동안에 이 작품을 다 읽었는데, 솔직히 마음 먹으면 하루 만에 완독할 수도 있겠다 싶었다. 그정도로 가독성이 좋았고, 정말 쉽게 페이지가 잘 넘어갔다.

.

그리고 또 한가지, 뒷통수 후려치는(?) 반전의 결말 역시 애거서 크리스티의 소설과 닮은 것 같았다. 후반부를 읽으면서 육성으로 ‘뭐????’라고 소리를 지르지 않을 수가 없었다. (사실 소리를 질렀다는 건 조금 과장이고, 헉 하는 들숨을 상당히 큰 소리로 냈다는 정도…?) 물론 이런 점이 추리소설 등에서 필수 불가결한 요소일 테지만, 나에게 이런 점은 조금 단점처럼 느껴지기도 했다.

.

추리소설에서 반전 결말이 어떻게 단점이 되냐 싶을 수도 있겠다. , 맞는 말이다. 다만 내가 말하고 싶은 점은, 초중반부의 전개에 살짝씩 떡밥 등을 뿌려놨다가 결말에 반전을 주면서 한번에 회수하는 구조라면 나도 찬성이지만, 그게 아니라는 점이다. 애거서 크리스티 소설을 많이 읽어본 사람이라면 아마 공감하지 않을까 싶다. 소설의 중간중간에 단서를 흘려놓거나 하기 보다 결말부에냅다반전을 던지는 듯한 느낌 말이다. 그런 기분을 <달고 차가운> 읽으면서도 느꼈다. (물론 내가 그런 반전의 단서들을 놓친 것일 수도 있긴 하지만그렇다면 작가님이 너무 꼭꼭 숨겨놓은 것일 수도우물쭈물…) 그래서 아주 재밌던 전개와 약간 아쉬운 마무리를 남긴 책장을 덮었다. 가볍게 읽을 만한 추리 소설을 찾는 사람들에겐 책을 추천하고 싶다. 그와 동시에 이렇게 묻고 싶다. ‘당신은 반전의 근거를 찾을 있겠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