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의 베일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37
서머셋 모옴 지음, 황소연 옮김 / 민음사 / 200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생의 베일>은 ‘키티’라는 여성 주인공의 불륜을 들키는 장면으로 시작된다. 상대는 타고난 비주얼과 피지컬을 갖춘 ‘찰스’. 세균학자인 남편 ‘월터’는 자신과 함께 콜레라가 창궐한 어느 시골 마을로 가는 출장에 동행할 것을 요구하며, 이에 응하지 않을 시 이혼 소송을 제기할 거라고 협박한다. 키티는 찰스에게 달려가서 이 상황에 대한 해결책을 강구하고자 하지만 찰스는 나몰라라(?)를 시전한다. 이로 인해 키티는 온갖 배신감과 허탈감에 사로잡힌채 남편을 따라 콜레라의 소굴로 가게 된다.

.

초반 2-30%의 내용만을 설명한 것이지만 이 자체로 한 편의 드라마를 다 본 듯하다. 그래서 이후로 어떻게 전개될지 몹시 미심쩍었으나, 기우였다. 서머싯 몸이 타고난 이야기꾼이라는 말은 결코 괜한 말이 아니었다. 전통적인 가치관으로서의 ‘여성’의 역할만을 알고 있었던 주인공이 점차 자신의 자아를 찾으려는, 주체적으로 인생을 살아보려는 그 노력의 과정들이 어렵지 않고 재미있는 문체로 쓰여있기 때문이다. 

.

정말 재밌게 읽기도 했지만, 그것과는 별개로 감동적인 여운도 느낄 수 있었다. 이 감동이라 함은 성장소설에서 으레 느껴지곤 하는, 주인공의 필사적인 노력 끝에 성취하게 되는 정신적인 성장 내지는 성숙의 결말에서 비롯되는 마음이었다. 불륜으로 시작해서 성장으로 마무리되는 서사를 담은 <인생의 베일>은 비단 나뿐만이 아닌 많은 사람들에게 재미와 교훈과 감동을 모두 선사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

그렇다고 아쉬운 점이 없는 것은 아니었다. 일단 개인적으로 이 작품을 읽게 된 것은 직전에 읽은 <달과 6펜스>가 정말 좋았기 때문에 같은 작가의 작품을 읽어보자는 심산이었다. <달과 6펜스>가 좋았던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그중에서도 작품 중 간간이 끼어있는 인생에 대한 통찰이 담긴 문장들이 마음에 와닿았던 게 가장 크다. 이를테면,


📖 인간은 신화를 만들어 내는 능력을 타고난다. 그래서 보통 사람과 조금이라도 다른 인간이 있으면 그들의 생애에서 놀랍고 신기한 사건들을 열심히 찾아내어 전설을 지어낸 다음, 그것을 광적으로 믿어버린다. (<달과 6펜스>, 11p)

📖 하지만 동정심을 발휘한다는 것은 미덕이긴 하나 그것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그 미덕을 남용하는 수가 많다. (같은 책, 31p)

📖 사랑은 몰입하게 한다. 사랑하는 사람은 자기를 잊어버린다. 사랑에 빠진 사람은, 제아무리 똑똑한 사람도 - 머리로는 알지 모르나 - 자기의 사랑이 끝날 것임을 깨닫지 못한다. 환상임을 알지만 사랑은 환상에 구체성을 부여해 준다. 사랑하는 이는 사랑이 아무것도 아님을 알면서도 사랑을 현실보다 더 사랑한다. (같은 책, 176p)

📖 사람이란 사교적인 관계를 통해서는 세상에 내보이고 싶은 외양만을 보여 준다. 따라서 사람을 진짜로 알기 위해서는 자기도 의식하지 못하는 사소한 행동이라든가, 자기도 모르게 얼굴을 스치는 순간적인 표정을 통해 추론하는 수밖에 없다. (같은 책, 229p)


다시 읽어도 너무 좋다다만 <인생의 베일>에서 이러한 문장들을 찾기는 어려웠다. 그래서 작품 자체는 아주 좋았지만, 기대했던 <달과 6펜스> 매력 하나를 느끼진 못한 듯하여 (아주 조금) 아쉬운 마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