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한 저서나 저자는 인용은 많이 되는데 실제로 그 사람이 무엇을 했는지 아는 사람은 드문 경우가 많습니다.우리나라에서 입시공부할 때 무수히 외우는 유명인사들도 이런 경우입니다.심지어 존경받는 인물에 대해서도 그렇습니다.예전에 우스개 소리인지 실제로 일어난 일인지 모릅니다만 대학교 한국사 시험에 '안중근의 이토 히로부미 암살이 동북아시아 정세에 끼친 영향을 논하라'는 시험 문제가 나와서 수험생 모두 백지를 냈다는 말도 있으니까요.

 

  액튼(1834~1902)경도 그렇습니다.우리나라 신문의 정치관련 칼럼을 보면 "액튼이 말하기를 절대권력은 절대 부패한다고 했다 운운..."하면서 이야기를 풀어가는 이들이 참 많습니다.하지만 이 액튼이라는 사람이 누군지는 잘 모릅니다.요즘 인터넷 시대라서 위키피디아 같은 것을 검색해보면 되지만 그래도 액튼은 그 이름과 남긴 명언에 비해서  아는 사람이 드문 것이 우리나라의 현실입니다.

 

  에드워드 할레트 카(1892~1982)도 마찬가지입니다.<역사란 무엇인가>의 저자로만 알려져 있을  뿐 그외의  저서는 우리나라에선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1980년대에 그의 저서들이 꽤 많이 번역되었지만 이젠 모두 절판 상태.기껏  최근에 <도스토예프스키>가 재출간되었을 뿐입니다.또 재미있는 것은 그의 이름입니다.워낙 'E.H.카'로만 알려져 '에드워드 카'라고 하면 그게 누구지 하는 사람도 많습니다.

 

 그런데 이 <역사란 무엇인가> 역시 제대로 읽고 소화한 사람은 별로 없을 듯합니다.대학가 필독서였다는 등 소문은 무성한데 원래 필독서일수록 읽은 사람이 없는 법이지요.게다가 이 책(원래는 방송강연원고였음)에는 우리에겐 생소한 무수한 유럽인과 사건들이 인용되어 있어서 이해하기 쉽지않은 것도 사실입니다.아마 첫 페이지를 읽다가 내던져 버린 사람도 많았을 것입니다.

 

  이 책 1페이지에서 카가 처음으로 인용하는 저자가 바로 액튼입니다.액튼이 학자였던 시기에는 역사에 대해 낙관적인 시각이 널리 퍼져있어서 "오늘날은 모든 지식을 입수할 수 있고 어떠한 문제든 해결할 수 있다"는 액튼의 장담이 통하던 시기였다는 것입니다.물론 이 믿음은 나중에 산산조각이 났음을 카는 바로 밝혀놓습니다.이 첫머리에 관심이 있는 독자는 다음 내용이 무얼까 궁금해서 책을 읽어내려가겠지만 그렇지 못한 사람은 바로 책을 내려놓게 됩니다.

 

  헌책방에 참고서 사러 가면 10페이지까지는 공부한 흔적이 있는데 그 뒤엔 깨끗한 책이 많습니다.나 역시 그런 책을 많이 구입한 적이 있습니다.그런데 그 유명하다는 <역사란 무엇인가>의 첫페이지에 액튼 경이 인용되어 있다는 것을 모르는 사람이 많으니, 이 책이 우리나라 대학생들에게 많이 읽혔다는 소문은 거의 거품일 가능성이 많습니다.10페이지는 커녕 첫 페이지도 안 읽은 사람이 많다는 것입니다. 유명하다니까 읽은 체하는 사람이 많은 것일까요? 대학 나온 아저씨 아줌마들이 "우리 땐 이런 책이 필독서였어. 안 읽은 사람이 없었다고" 하고 자랑할 때 우리 20대 청춘들은 적당히 새겨들어야겠습니다.

 

***최근에 두툼한 카의 평전이 번역되었군요.우리 동네 도서관엔 아직 안 왔네요.


댓글(8)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기억의집 2012-05-11 21: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찔리는데요. 저도 앞장만 읽고 안 읽고 묵혀두고 있는 책이 수두룩합니다. 그래도 계속 책을 사 들이니 이 일을 어찌할지 모르겠슴다~

저는 좀 어렵고 두꺼운 책을 읽고 나면, 햐아, 이 작가는 어떻게 이렇게 두껍게 썼을까? 무슨 할말이 많아서~ 이런 생각이 들곤 합니다.

노이에자이트 2012-05-11 23:10   좋아요 0 | URL
솔직해서 좋아요.읽어보지도 않았으면서 읽은 체하는 게 문제죠.

쓰다 보면 예기치 못하게 할 얘기가 많아져 분량이 많아지기도 한다네요.

cyrus 2012-05-12 21: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실 저도 <역사란 무엇인가>를 읽으려했다가 끝까지 읽지 못했어요. 내용도 아직
저에게 어려운 건 사실이었거든요. 저는 카가 쓴 그 책이 재출간되었으면 좋겠어요.
카가 구 소련의 볼셰비키 혁명에 대해서 한평생 연구에 몸 담은 걸로 알고 있어요.
그 연구 성과를 담은 카의 저서가 있는 걸로 아는데 우연히 헌책방 사이트에서 80년대에
나온 판본을 본 것도 같기도 하고,, 기억이 가물가물하네요. 책 이름이 <볼셰비키 혁명>
맞는지 모르겠어요. 제가 잘못 본 것일수도 있고요.

노이에자이트 2012-05-13 17:44   좋아요 0 | URL
책이 어려우면 어렵다고 인정하는 게 솔직한 자세죠.잘 알지도 못하면서 아는 체하다간 언젠가 망신을 당하게 되어 있어요.

예.그 러시아 혁명사가 여러 권인데 그 첫 권이 <볼셰비키 혁명>(화다출판사)입니다.러시아 부근의 소수민족에 대해서도 자세합니다.카가 민족주의에 대해서도 연구를 많이 했으니까요.

네꼬 2012-05-13 11: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노자님, 글을 어쩜 이렇게 쉽고 깨끗하게 쓰세요? 부럽습니다.

노이에자이트 2012-05-13 17:41   좋아요 0 | URL
아웅~ 칭찬을 어쩜 이렇게 맛깔나고 기분 좋게 하세요? 감사 감사!

아이리시스 2012-07-27 21: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문근영은 이 책을 읽었다고 했어요 :)

(제가 전에 노이에자이트님이 제가 궁금했던 걸 언급한 포스팅이 있어 찾으러 왔거든요. 근데 모르겠네요. 하나하나 다 클릭해야 해서 내일 이후에 와서 봐야겠어요. 내일을 위해 잠을 자야해서.. 그래서 이 글 보다가 이런 댓글..)

노이에자이트 2012-07-29 19:22   좋아요 0 | URL
이 책은 읽을 때마다 새로운 그런 책이죠.우리 근영 누나는 역시! 하하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