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가족! 하면 모두 화목한 모습을 떠올리도록 강요받습니다.이른바 억지감동입니다.이에 대해서 심리학자 김정운 씨는 이렇게 꼬집습니다."멋진 정원이 있는 저택에서 가족끼리 모여 하하하 웃고...가족 하면 그런 것을 떠올리는데 그게 다 환상이에요...그런 시간이 얼마나 되겠어요.대부분은 그냥 지지고 볶고...울며 불며 사는 게 가족이에요." 영화배우 기타노 다케시 씨는 더욱 적나라하게 가족을 정의합니다."가족이란 뭔고 하니...누가 안 볼 때 내다버리고 싶은 존재!" . 하긴 기타노 씨 역시 다른 가족이 보기엔 내다버리고 싶은 존재일지도 모릅니다.

 

  가족 간 불화는 서양이라고 다르지 않습니다.영어 관용구 중에는 'Black sheep'이라는 단어가 있습니다.가족이나 친인척 중의 말썽꾸러기를 이르는 말입니다.예를 들어 늘 남 두들겨 패면서 합의금으로 돈 날리는 삼촌, 가출해서 유흥업소에 있다 가족들에게 붙들려 머리를 깎이운 고모나 이모...명절날 모였다 하면 재수없는 소리 해서 분란을 일으키는 누구누구...이런 사람이 검은 양입니다.

 

  조금 긴 관용어로 'Every family has a skeleton in its cupboard'라는 것도 있습니다.직역하면 '어떤 가족도 그 벽장엔 해골이 하나씩 있다'는 말인데 의역하면 '어느 가족이나 남에게 밝히고 싶지 않은 비밀이 있다'는 뜻입니다.사람이란 존재가 성인군자로만 살 수 없으니 이러저러한 부끄러운 일도 있는데 차마 남에겐 말하기 힘든 수치가 어느 가문이나 다 있다는 뜻입니다.

 

  이병철 씨는 삼성 창업주로서, 그 특유의 통찰력과 용인술로 많은 이들의 찬사를 받는 기업인입니다.그의 아들 이건희 씨 역시 탁월한 지도력으로 삼성을 일류기업으로 키웠다고 일본에서는 삼성을 배우자는 붐이 일어나고 있다고 합니다.하지만 최근 들어 삼성일가의 형제자매 간 다툼은 많은 사람들을 당혹케 하고 있습니다.길거리 장삼이사들도 입에 담지 못할 막말을 형제지간에 주고 받고 있습니다.어린아이들도 형제 간에 저런 식으로 드잡이를 하면 야단을 맞을텐데 8순의 형과 7순의 동생이라니 뭐라 할 말이 없습니다.

 

  왕실에서 장남이 승계하지 못한 경우엔 꼭 무슨 사단이 나던데 재벌일가도 마찬가지인가 봅니다.삼성가의 형제 싸움을 보면 오랜동안 참고 참은 것이 폭발하는 모양새입니다.나이 먹을만치 먹고 세상경험 할 만치 한 사람들이 주변에 신경쓰지 않고 하고픈 말을 마구 내뱉습니다.동생이 형에게 '집안에서 이미 퇴출된 사람. 나는 한 푼도 더 못준다'고 하질 않나, 형은 동생에게 '집안 분란을 일으킨 사람'이라고 하질 않나...이게 일류기업을 일군 사람들이 맞나요?

 

  아마 이건희 씨는 이맹희 씨가 집안의 black sheep이라고 간주하고 싶은 것 같습니다.당연히 맹희 씨는 건희 씨가 black sheep이라고 말하고 싶겠죠.하지만 결국 삼성가는 벽장에만 숨겨둬야 할 해골을 전세계에 내보이고 만 꼴이 되었습니다.우리나라 재벌은 유독 가족 간 재산다툼이 많습니다.이제 삼성까지 여기에 끼어들었으니...

 

  이런 세태를 두고 요즘 '정치가는 측근이 웬수고, 재벌은 핏줄이 웬수다'는 말이 생겼습니다.하긴 천하를 호령한 영웅이나 철학사에 이름을 남긴 학자들도 가족 간 불화로 불행하게 산 사람이 드물지 않습니다.그러니 치국평천하보다 수신제가가 더 힘든가 봅니다.


댓글(8)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oren 2012-04-25 00: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스티븐 핑커가 언급했던 '영원한 공식'이 떠오릅니다. ㅎㅎ
* * *
자연은 살과 피를 나눈 사람들의 감정을 살짝 어긋나게 조율하는 잔인한 장난을 쳤지만, 그럼으로써 모든 시대의 소설가와 극작가들에게 끊임없는 일거리를 제공했다. 두 명의 인간이 동물의 세계에세 가장 강한 끈으로 묶일 수 있고 그와 동시에 때때로 서로에게 최선을 다하지 않을 수 있다는 사실은 연극적 가능성을 무한히 증폭시킨다. 비극적 이야기가 가족 관계에 집중되어 있다는 사실에 주목한 최초의 인물은 아리스토텔레스였다. 그가 지적했듯이, 두 명의 낯선 사람이 싸우다 죽는 이야기는 두 명의 형제가 서로 싸우다 죽는 이야기에 비해 조금도 흥미롭지 않다. 카인과 아벨, 야곱과 에서, 오이디푸스와 라이오스, 마이클과 프레도, 제이알과 바비, 프레지어와 나일스, 요셉과 형제들, 리어왕과 딸들, 한나와 자매들 ·······, 수세기에 걸친 드라마 목록에서 볼 수 있듯이, "일가의 증오"와 "일가의 적대"는 영원한 공식이다."

- 스티븐 핑커, 『빈서판』中에서

노이에자이트 2012-04-25 15:30   좋아요 0 | URL
하하하...사실 가족관계의 갈등이란 워낙 극적인 데가 있죠...핑커가 언급한 사례를 본다면 더더욱...
아주 좋은 구절을 인용하셨네요.

기억의집 2012-04-25 10: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CJ가 이맹희 큰아들이 회장으로 있는 곳이죠. 삼성이 지난 번에 시제이 회장 미행한다고 할 때 뭔가 있구나 싶었는데..그게 비자금으로 묶인 재산다툼때문이었나 봐요.삼성이 이기겠죠. 이건희가 대한민국 판검사를 좌지우지 하는데.

노이에자이트 2012-04-25 15:28   좋아요 0 | URL
제게 이맹희 회고록인 <묻어둔 이야기>가 있어요.웬만한 이야기는 거기 다 있죠.누가 이기든 이제 법정에서 온갖 추한 모습을 다 드러낼 거에요.벌써부터 방송에 대고 하는 이야기가 적나라하잖아요.

카스피 2012-04-25 22: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뭐 지금 젊은 사람들이야 그 내용을 잘 모르겠지만,이병철 회장이 사카린 밀수 사건으로 한 6개월간 회장 자리를 물러나면서 큰 아들 맹희에게 회장 자리를 물려주었는데 그때 처신을 제데로 하지 못했다고 하더군요.그래서 삼성 후계자를 자리를 3남이 이건희에게 물려주려고 하자 이맹희는 아버지를 사법 당국에 고발했다고 합니다.당시 정부와 유착했던 삼성인지라 내부 고발이 무의로 돌아갔고 이에 대노한 이병철이 결국 후계자를 이건희에게 물려주엇다고 하죠.
하지만 집안의 큰아들이고 장손자가 있기에 이병철도 지금의 CJ지분을 아들이 아닌 큰 며누리에 증여했다고 합니다.그래서 CJ경영에 이맹희가 직접 참여하지 못한 부분도 있죠.

노이에자이트 2012-04-25 23:08   좋아요 0 | URL
특별히 재벌가문에 관심없다면 노인들도 수박 겉핥기 식 지식밖에 없는 것 같아요.요즘 신문들이 자세히 취급하기 때문에 사카린 밀수 사건 당시 이야기는 중학생들도 조금만 관심을 가지고 읽으면 웬만한 지식은 얻을 수 있을 것 같아요.

사카린 사건 때 국회에 똥물을 뿌리다가 붙들려가 얻어맞은 김두한 의원도 있죠.

페크pek0501 2012-04-27 13: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신문에서 형제간에 막말이 오가는 걸 보고서 좀 놀랐어요.
인간은 다 자기중심적이라서 의견일치의 접점을 찾기 힘들죠. 더군다나 자신의 이익과 관련한 문제에서는요.

"결국 삼성가는 벽장에만 숨겨둬야 할 해골을 전세계에 내보이고 만 꼴이 되었습니다" - 잘 일축한 표현입니다.

노이에자이트 2012-04-27 15:38   좋아요 0 | URL
화날 때일수록 행동이나 말을 삼가야 하는데 홧김에 마구 내지르는 것 같습니다.

그 속담의 핵심을 잘 지적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