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향의  수필 몇  편을 읽었습니다.20세기 초반에 살다간 사람들의 회고를 읽는 것이 취미입니다.지금과 비교해 보면 그 시절도 비슷한 면이 있는 반면, 과학기술 쪽으로는 전혀 다른 세상 이야기라서 세월이 많이 지났구나 하고 끄덕거릴 때가 있습니다.

   나도향은 24살에 사망했습니다.하지만 이미 10대 때부터 글을 썼고, 20이 되자 마자 문단 동호회를 만드는 등 왕성하게 활동했습니다.그의 수필을 읽으면 지금의 20대 초반으로는 도저히 상상할 수 없는 성숙한 사색이 드러나 있습니다.연애에 대한 글을 읽으면 특히 그렇습니다.짤막하게 소개해 보도록 합시다.

 

---사탕 맛 같은 사랑보다도 밥맛이나 면맛 같은 사랑이라야 오래간다는 말은 내 말은 아니지만 잊어서는 안 될 말이다.

---남자여, 상대가 처녀이길 바라지 말라. 처녀성은 하루 밤만에 사라질 수 있다. 또 동정을 지킨 남자는 하나도 없다 해도 과언이 아닌 까닭이다.

---연애 많이 했다고 사랑을 많이 한 것이 아니다.이성을 접해보지 못한 사람이라고 꼭 사랑을 못하는 것도 아니다.

---사랑이 죽음보다 강하다 하나 삶보다 강한 줄은 모르겠다.사랑을 위하여 죽느니보다 나는 더욱 살아보고 싶다.

 

 나도향의 연애론 중에 가장 인상 깊은 구절----- "사랑을 돈 주고는 살 수 없다.그러나 돈 없이 사랑을 할 수도 없다.이것이 현대인의 고통이며 비관이다" ---100년 전이나 지금이나 절실히 와 닿는 말이지요.특히 남자의 경제적 능력을 강조하는 우리 사회에서는...

 

  위의 연애론은 1925년에 쓴 것이니 이로부터 1년 후 나도향은 저세상 사람이 됩니다.그런 것을 생각하며 이 수필을 읽으니 마음이 더욱 짠해지더군요.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진 2012-03-08 22: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세상에... 24살에 돌아가셨단 말이십니까.
한번도 읽어보지는 않았는데 나도향 작가분도 천재셨군요...!
아니면 노력파이신가요. 저도 10대부터 글을 꾸주...준히 써야겠습니다.
지금부터요.

노이에자이트 2012-03-08 22:48   좋아요 0 | URL
그때는 평균수명이 50이 안 되던 시절이니 스무살이면 다 어른이었죠.
나도향 따라잡으려면 소이진 님도 부지런히 글 쓰셔야 할 듯.

숲노래 2012-03-09 09: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 이런 수필이 있었군요.
저도 찾아서 읽어야겠어요~~

노이에자이트 2012-03-09 16:27   좋아요 0 | URL
저런 비슷한 구절은 그의 소설 몇 편에도 간간이 나오더군요.

cyrus 2012-03-09 12: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방금 이 글 읽고 나도향을 알라딘에 검색해봤어요. 아쉽지만 나도향의 수필을 따로
모아 놓은 책이 없더군요, 그나마 유명한 '그믐달'을 수록한 한국 작가 수필집만 있네요.
그래도 인용하신 구절을 보니 나도향도 죽기 전에 뜨거운 사랑을 한 번 해봤겠죠? ^^;;
문득 든 생각이지만 일찍 요절한 한국 작가들은 죽기 전에 사랑을 한 번쯤은 경험해본거
같아요. 지금 떠오르는 작가가 이상뿐이네요.

노이에자이트 2012-03-09 16:30   좋아요 0 | URL
나도향 전집이 있으니 도서관에서 찾아보십시오.

나도향이 사랑한 여인이 있었죠...결핵이 도져서 죽는 순간에도 못잊은...

페크pek0501 2012-03-13 13: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성을 접해보지 못한 사람이라고 꼭 사랑을 못하는 것도 아니다." - 전, 왜 이 말에 끌리는 건지...ㅋ

노이에자이트 2012-03-13 21:57   좋아요 0 | URL
그 말에 끌리는 사람이 의외로 많더군요.

신지 2012-03-21 10: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이 말에 좀 놀랐습니다 ; " 또 동정을 지킨 남자는 하나도 없다 해도 과언이 아닌 까닭이다." ㅡ> 그때도 그랬구나, 완전히 현대의 사람이 하는 말 같아서요...
그리고 "사랑을 위하여 죽느니보다 나는 더욱 살아보고 싶다."고 말했다니.. 그분의 너무나 이른 죽음이 더 안타깝게 느껴집니다 ㅠ
잘 지내시죠. 추천은 자주 하면서도 댓글은 자주 못했습니다. 좋은 얘기 들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노이에자이트 2012-03-21 15:56   좋아요 0 | URL
일제시대 우리나라 소설을 보면 상당히 모던함을 알게 됩니다.아무래도 조선시대와는 다르죠.

자주 자주 오십시오.환영합니다.

stefanet 2012-03-21 16: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랑이 죽음보다 강하다 하나 삶보다 강한 줄은 모르겠다.사랑을 위하여 죽느니보다 나는 더욱 살아보고 싶다." 라는 구절이 눈에 확 들어오네요.

노이에자이트 2012-03-21 17:25   좋아요 0 | URL
예. 나도향의 글 중 은근히 멋진 내용이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