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앞으로 가자. 오른쪽은 왔던 길이고 왼쪽은 산이 높아지니."
아이는 말이 없었다. 둘은 길을 떠났다.
사람들도 각자 굴로 돌아갔다. 감알심만 나무 곁에 남았다. 제탈을 내려다보았다.
‘이 탈이 무엇인가! 미쳐 날뛰는 숲에서 우릴 지켜 주시려는그느르님 뜻이 아니던가.
마음자리 한구석엔 미처 끄지 못한 불이 아울야울 타올랐다.
‘틀이 어그러지고 있어. 이대로 가면 무너져 내리고 말 거야.

"누군가와 맞맺는다는 건 말이다. 몸이 먼저든 마음이 먼저는 맞닿아 서로 이어지는 거야. 벗이나 아음은 보이지 않는 끈으로 몸과 마음이 엮인 사람들이지. 헤아림이 짧은 사람들이 곧잘하는 잘못이 뭔 줄 아니? 맞맺는 끈이 둘이란 걸 잊는 거야. 그들- 그서 자기가 묶은 끈 하나만 끊으면 끝이라 여기지. 받아들이는 데 여러 날이 걸릴 뿐이라면서, 하지만 그렇지 않아. 다시 만지도록 멀리 떨어져도, 해오름달이 매듭달이 되고 그렇게 한온을 지난다 해도, 한
‘을 지난다 해도, 한쪽에 이어진 끈이 끊어지지 않고 끝없이 늘어나기도 하니까. 때론 억지로 잘라 낸 자리에 아물지 않을 생채기가 남기도 하고. 네 아음들이 하늘이름인지 뭔지를 가졌는지는 몰라도 헤아림을 갖지는 못했더구나. 네가 남은 끈을 풀어 버려라. 그 사람들은 이제 네
아음이 아니라고."

 "시끄러, 듣기 싫어."
숨탄것들은 때를 기다렸다.
고 사 결결이 처음으로 개구리를 잡았다. 개구리는 눈을 껌벅이며 물었다.
"배고프니?"
너무나 잘 들려 결결은 놀랐다. 어찌할 바를 몰랐다. 못 들은척 새침을 떨었다. 사납게 개구리를 잡아 휘휘 돌렸다. 개구리가말했다.
"내 목숨을 네게 줄게."
결결은 미끄덩거리는 다리를 놓쳤다. 개구리는 날아가 땅에 처박혔다. 허연 배를 드러내고 헐떡였다.
"내 목숨을 받아."
‘다리를 쭉 뻗었다. 꼬록‘ 숨이 넘어갔다. 결결은 개구리를 집
‘어 들었다. 귀를 들이댔다. 더는 들리지 않았다. 머물러 기다렸
‘다. 어둑해졌다. 얼럭이 결결을 불렀다. 결결은 개구리를 땅에 묻었다. 로가 개구리들이 우어대다. 결결은 절 나무라는 소리에 몹시 부끄러웠다
"잘못했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독자 여러분도 최근에 한 번쯤은, 개인의 가치관이나 정치적 신조를 막론하고, 세상 돌아가는 모습에 이렇게 한탄한 적이 있을 것이다. "나 원 참, 세상이 어쩌다 이 꼴이 됐지?"
이 책은 그런 독자에게 좁쌀만큼이라도 위안이 되고자, 이렇게 말하려고 한다. 걱정 마시라, 인간 세상은 항상 그 꼴이었다. 그리고 우린 아직 살아 있지 않은가?

혁신이 전통이 되고 전통이 또 새로운 혁신으낳다 보면, 결국 ‘문화‘ 또는 ‘사회‘라고 하는 것이 생겨난다.
쉽게 말하면 이런 단계로 진행된다. 하나, 둥그런 물건이 모난 물건보다 비탈을 잘 구른다는 것을 발견한다. 둘, 도구를 써서 모난 물건을 둥그렇게 다듬으면 더 잘 굴릴 수 있음을 깨닫는다. 셋, 둥근 물
‘건을 만들어 친구에게 보여줬더니, 친구가 똑같은 것을 네 개 갖다.
붙여 수레를 만든다. 넷, 전차 군단을 만들어 왕의 위엄을 과시하고
‘백성들이 왕을 존경하면서도 까불지 않게 한다. 다섯 고급 세단을
‘몰고 소프트 록 명곡 모음에 심취해 고속도로를 달리면서 길을 막는화물 트럭에 쌍욕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삼국사기》에는 고구려 장수왕이 도림 스님을 백제에 첩자로 보내 바둑으로 개로왕을 꾀어 나랏일을 엉망으로 만들었다는 내용이나옵니다. 《왕자 융과 사라진 성》은 이 이야기를 훗날 백제를 다시일으킨 무령왕의 어린 시절과 연결 짓습니다. 덕분에 왕릉에 남아있는 유물로만 알고 있던 무령왕을 보다 가까이서 만나는 기쁨을누리게 되지요. 그리고 과도한 부역으로 몹시 힘겹게 살아가야 했던 백제 사람들의 생활 모습도 엿볼 수 있답니다. 철기방‘이 따로있을 정도로 발달했던 백제의 철기 문화도 만날 수 있고요.
초등학교 5학년 사회 교과서에서는 한강 유역을 두고 뺏고 뺏기
‘ 며 전쟁을 벌였던 삼국에 관해 이야기합니다. 삼국은 왜 그렇게 한강 유역을 차지하려 했을까? 그 지역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백제는 한강 유역을 어떻게 뺏고 빼앗겼을까? 관심을 갖고 보면 질문이 꼬리를 물고 이어질 법한데, 교실 속 아이들은 한 번도 이런
‘질문을 하지 않습니다. 그런 생각을 할 기회가 아예 없었으니까요.
‘그러다 보니 풍납토성 성벽 위에 올라도, 몽촌토성을 뛰어다니면서도 아무런 느낌을 가질 수 없었겠지요.
‘ 이 책을 아이들과 함께 읽고 곧 개관할 한성 백제 박물관과 몽촌
‘토성, 풍납토성을 둘러보며 흑풍이와 함께 질주하던 왕자 융을 떠올려 보고 싶습니다. 그렇게 한성 백제 500여 년의 역사를 더듬어보고 싶습니다. 여러분도 함께 해 보는 거 어때요??

융도 생각했던 바였다. 그 정도 빠르기라면 고수였다.
"걸취라는 놈, 혹시 다치진 않았겠지?"
수상한 일도 많고, 알아볼 일도 많았지만 융은 그보다 걸취가어찌 됐을지 걱정이었다. 길거리 아이까지 괜한 일에 끼어들게했나 싶었다.
 빌어먹는 애들은 쉽게 다치지 않아, 쉽게 굶기는 해도."

 거기에 멍석을 깔아 사람이 잘 수 있도록 했다. 한쪽은 부엌이었다. 쪽구들과 부엌살림이 있었다.
살림이라고 해 봤자 그릇 몇 개가 다였다. 항아리는 텅 비어 있었다. 융은 걸취에게 줄 보리를 바가지에 덜어 주었다.
"어느 집이나 이럴까?"
흑풍이를 끌고 대숲으로 들어가면서 융이 말했다.
"성 밖은 다 이래, 씨앗으로 쓸 것까지 먹어 버려서 농사를 못짓는 집도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눈에 보이지 않는 사물 사이의 관계를나타내는 언어가 수학이다.
수학을 제대로 사용하고 응용하려면상상력이 필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