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떻게 의욕을 끌어낼 것인가 - 컬럼비아대학교 인간성향 대탐구
하이디 그랜트 할버슨.토리 히긴스 지음, 강유리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4년 5월
평점 :
절판
어떤 상황을 만나게 되면 두 종류로 구분된다. 직장에서 열심히 일하는 사람 가운데도 승진하기 위해서 일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어떤 사람은 해고당하지 않기 위해서 일하는 사람도 있다. 승진하기 위해 일하는 사람은 현재보다 더 나은 생활을 하기 위해 ‘성취지향형’으로 볼 수 있고, 해고당하지 않기 위해 일하는 사람은 더 나쁜 상황을 막으려는 ‘안정지향형’으로 볼 수 있다. 이렇게 똑같이 열심히 일하는 사람이라고 하더라도 다른 동기를 갖고 있다면 전혀 다른 사고와 행동을 하게 된다.
이 책은 컬럼비아대학교 동기과학센터 부소장인 하이디 그랜트 할버슨과 토리 히긴스 두 공동 저자가 똑같은 상황에서도 사람들이 전혀 다른 방식으로 판단하고 결정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인간의 동기 성향에 대해 묻고 그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고 있다.
저자들은 사람들이 세상을 이해하고 행동하는 방식이 둘로 나뉜다는 데 주목하면서 ‘성취지향’과 ‘안정지향’의 두 가지 행동 동기가 있음을 내세우며, 이 가운데 어떤 동기가 더 지배적인가에 따라 ‘성취지향형’과 ‘안정지향형’으로 나눌 수 있다고 말한다.
이 책을 읽어보면 성공의 가장 기초적인 힘이라고 할 수 있는 ‘의욕’을 어떻게 하면 불러일으킬 수 있는지 그 방법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려준다. 막상 필요할 때에는 쉽사리 생겨나지 않았던 의욕이 정작 필요 없을 때에 솟아난 경험은 누구에게나 있을 것이다. ‘그래, 해보는 거야!’ 하고 결심하지만, 시간이 흐르자 그 의욕이 어느새 사라져버린 경험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분명 내 안에 있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의욕이라는 존재는 변덕스럽기 짝이 없다.
‘의욕’이란 무엇을 하고자 하는 적극적인 마음이나 욕망을 나타내는 말로서 의욕을 상실하지 않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자기 자신에 대해 투자해야 한다. 이 세상에서 가장 중요한 사람도 ‘나’이고, 가장 가치 있는 사람도 ‘나’이다. 또한 나에 대한 최상의 조언자도 바로 ‘나’이다.
자기계발이란 자신의 본래 모습을 찾는 것이다. 자신의 본래 모습을 찾기 위해서는 매일같이 움직여야 한다. 움직인다는 것은 살아 있다는 증거이다. “살아 있는 사람이 되라.” 그러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자신을 위해 투자해야 한다.
책은 총 12장의 구성을 통해서 인간의 두 가지 동기 성향이라는 주제를 일상적인 예를 들어 가면서 재미있게 이야기 한다. 업무를 대하는 태도, 자녀 양육, 연애, 의사결정 방식, 정치적 관심 등 성향이 미치는 영향을 다양한 실험과 사례를 통해 살펴본다.
이 책에서 저자는 “성취지향과 안정지향은 우리 시대의 중요한 몇 가지 사회 문제에 대해 강력한 통찰을 제시해준다.”(p.163)고 말했다.
책을 읽으면서 느낀 것은 이 책은 일관된 지침서보다 더 실용적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부정적인 생각을 하는 것이 나쁜 결과를 불러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좋은 결과를 나을 수 있다는 것을 논리적으로 설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을 통해 사람을 쉽게 설득하고 자신의 가치를 높이는데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자신은 물론 타인, 그리고 세상을 바라보는 눈을 바꿔놓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