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 생각 돌이켜 행복하라
오이겐 드레버만 지음, 김태정 옮김 / 토네이도 / 2014년 5월
평점 :
절판
이별은 늘 다가오고 있고, 나 또한 많은 이별을 겪었다. 그때마다 늘 슬펐지만 슬픔이 있기에 행복이 있는 것이고 슬픔과 아픔, 행복은 늘 반복된다. 개인에 따라 다르겠지만 큰 슬픔에 맞닥뜨리면 세상의 시간이 멈추고 모든 것의 욕구가 사라지며 판단력도 흐려진다.
이별의 슬픔이 찾아 올 때 하염없이 울면 나아질까, 여객선 세월호 침몰사고를 지켜보면서 많은 이들이 슬픔의 시간을 보내고 있다. 타인의 불행으로 여기기에는 감정이입의 정도가 심각하다. 누구나 겪었던 이별과 상실, 절망이 사고 장면에 겹쳐지기도 한다.
이 책은 독일의 저명한 신학자이자 심리 상담사인 오이겐 드레버만이 2008년부터 독일 노르트베스트라디오의 프로그램 <발언의 자유>에서 청취자들의 고민을 듣고 대화와 상담을 한 것을 한데 모은 것이다. 개개인이 털어놓는 사연은 때론 놀랍고 충격적이지만, 드레버만은 어떤 질문도 금기시하지 않고 가볍게 여기지 않는다. 그동안 저자는 주로 신학에 관련된 저술을 발표해 왔지만, 이번에는 종교와 삶이라는 거대한 질문에서 벗어나 지극히 인간적이며 세속적인 고민들을 들어준다.
청취자들의 사연 속에는 이별로 인한 슬픔뿐 아니라 죄책감, 소유의 권리, 자유, 양심, 배려, 시련, 성격, 양육, 건강 등 삶에서 만나는 갈등과 고민이 담겨있다. 저자가 청취자들과 나눈 대화가 바탕이 된 만큼 구체적인 사례들이 나와 추상적인 개념에 머물지 않는다.
이 책에는 알츠하이머에 걸린 아버지를 둔 가족들, 알코올중독 남편을 책임감과 모성애로 지켜보는 아내, 장애를 가진 딸을 둔 부모 등의 이야기가 나온다. 이 책이 속 시원한 해결책을 주지는 못하지만 답답한 심정을 나누고 공감하도록 해준다. 무엇보다 이 책의 미덕은 ‘나만의 고민은 아니었다’는 동질감과 보편성에서 찾을 수 있다. 나 자신이 그와 같은 상황이 아니더라도 배울 점이 너무 많다.
저자는 “누구도 조언을 구하는 당사자만큼 문제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사람은 없다. 자기 자신의 무의식 속에 잠들어 있는 답을 깨우기만 하면 된다”고 말한다. 또 누군가에게 조언자가 될 이들에게는 “거창한 충고를 하기 보다는 편견과 판단 없이 조용히 그의 소리에 귀 기울이고 공감하는 것만으로도 훌륭한 조언이 될 수 있다”고 알려준다.
저자는 한 라디오프로그램에서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마치 전문가인 양 친구를 위로하려 든다거나 무의식적으로라도 애도하는 기간을 서둘러 마무리하도록 강제하지 않는 겁니다. 슬픔을 정리하는 데에는 오랜 시간이 필요합니다.”라는 메시지를 전했다. 메시지 대상은 남편을 잃은 친구 때문에 마음이 아픈 한 여성이다. 그 여성의 친구는 30대 중반에 암으로 남편을 떠나보냈고 이제 7세와 10세인 아들을 키우며 살아야 한다.
저자는 “친구에게 더 이상 해줄 수 있는 것은 없다”고 선을 그으며 “무엇보다 그녀를 위로하는 것이 자신의 의무라고 생각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한다.
이 책을 읽고 세상의 어떤 시련에도 쉽게 상처받지 않고 강인해 질 수 있는 법을 배우게 되었다. 고민과 괴로움을 떨쳐버리고 행복하기를 원하는 분들에게 읽기를 권한다.